"한국, 여성 자살률 세계 4위 국가" Global suicide mortality: Using data to inform action and monitor progress


Global suicide mortality: Using data to inform action and monitor progress

February 6, 2019

Mohsen Naghavi and Heather Orpana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pproximately 800,000 people globally die by suicide each year. The WHO’s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includes a target for countries to reduce their suicide mortality rates by 10% by 2020. [1] Similarly, reducing suicide mortality by a third is on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indicators for target 3.4, to reduce premature mortality from non-communicable diseases through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promot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2] Not only are accurate and comprehensive suicide mortality data essential for monitoring progress towards achieving these goals, but they are also necessary to inform the prevention efforts that will move us towards these reductions.




https://www.bmj.com/content/364/bmj.l94


Rise in the number of suicide deaths - despite a huge drop in the global rate: Experts warn attempts to curb deaths worked in Europe but not in the US and Russia

https://www.dailymail.co.uk/health/article-6675283/Rise-number-suicide-deaths-despite-huge-drop-global-rate.html


 

"한국, 여성 자살률 세계 4위 국가"


전세계 자살자 수 연 80만명 돌파


    전세계에서 자살로 목숨을 끊는 사람의 수가 한 해 81만 명을 넘어섰다는 사실이 국제연구팀의 대규모 분석 결과 밝혀졌다. 매년 대도시 하나의 인구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잃는 셈이다. 연구팀은 국가나 지역별로 자살자의 수와 발생 특징을 세밀히 밝힌 뒤, 이를 바탕으로 지역에 맞춰 자살을 막을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상단 이미지 설명:

전세계의 2016년 자살률을 표시한 지도. 남녀 합한 수치다. 파란색이 진할수록 자살률이 낮고 붉은색으로 갈수록 높다. 한국보다 자살률이 높은 나라는 손에 꼽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진 제공 영국의학저널


모센 나가비 미국 워싱턴대 교수팀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분석한 가장 최근의 세계 질병 현황 의학 통계인 '2016 세계질병부담(GBD)'의 자료를 이용해 지역, 연도 별 자살률 자료를 수집하고, 나이와 성별, 출산, 수입, 교육 정도 등 사회 경제적 요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영국의학저널(BMJ)’ 6일자에 공개했다. 전세계 자살률을 여러 가지 요인과 함께 장기간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6년 전세계 자살자 수는 27년 전에 비해 6.7% 증가한 81만 7000명에 이르렀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수다. 반면 같은 기간 인구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해, 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의 수(자살률)은 오히려 약 3분의 1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률이 떨어진 가장 큰 이유는 큰 비중(44%)을 차지하는 중국과 인도의 자살률이 크게 떨어져서다. 특히 중국의 감소가 커서, 인구 10만 명 중 자살자의 수가 23.4명에서 8.4명으로 64%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사이에는 남성이 10만 명당 15.6명으로 여성(7명)보다 두 배 이상 자살률이 높았다. 15~19세만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자살을 했다. 연구팀은 자살이 27년간 33% 줄어들었는데, 이런 감소세가 여성에게 더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봤다. 27년 동안 여성의 자살률은 거의 절반(49%) 줄어들어 남성(24%)의 두 배였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 젊은이와 60세 이상 노인들의 자살이 두드러져 양극화를 보였다. 남아시아에서는 전체의 46%가 30세 미만의 젊은이가 자살을 했다. 중남미 국가와 북부 아프리카, 중동 지역도 자살자의 39%가 30세 미만이었다. 반면 아시아 태평양의 선진국들은 60세 이상 노인의 자살이 전체의 21%였고,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호주 등은 25%가 60세 이상 노인이었다.


                                                                   https://www.bmj.com/content/364/bmj.l94

edited by kcontents


한국은 특히 여성 자살률이 높게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 당 15.5명으로 아프리카의 레소토(35.4)와 우간다(18.7), 라이베리아(17)에 이어 세계 4위였다. 연구팀에게 한국을 비롯해 특정 국가의 여성 자살률이 특별히 높은 이유에 대해 문의했으나 연구팀은 구체적인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엘리콧 메테이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역학및생물통계학과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각종 자살 관련 증감 현황을 (처음으로) 구체적인 수치로 알게 된 연구로, 아직 모든 이유를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다"며 "답보다는 앞으로 연구로 해결할 질문을 더 많이 던지는 결과로 받아들여 달라"고 말했다. 다만 한국의 경우, 남녀를 합산한 전체 자살률도 최상위권에 속하며, 중국 등 주변국이 모두 자살률이 낮아진 상황에서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자살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임을 짐작할 수 있다.


연구팀은 “세계의 자살률은 줄어들고 있지만 자살자 수는 늘고 있고, 자살률 감소세도 아직 불충분하다”며 “자살을 줄이기 위한 연구와 활동이 더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현재 추세라면 2030년까지 자살률을 2015년 대비 66%로 줄인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에 대부분의 나라가 미달할 것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27년 동안 자살률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자살 예방 활동 때문인지 전반적인 보건 수준이 개선돼서인지는 불분명하다”며 “자살은 지역, 국가, 사회경제적 요건에 따라 복잡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번과 같은 조사 및 연구가 정기적으로 필요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이나 국가에 맞는 전략을 계속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신영 기자 ashilla@donga.com 동아사이언스


edited by kcontents


While most high income countries have high quality vital registration systems from which suicide mortality rates can be calculated, few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have high quality vital registration systems. Yet, an estimated 80% of global suicides take place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3] Even in countries with high quality vital registration systems, suicide deaths may be misclassified due to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intent, as well as sociocultural, religious, or legal sanctions against suicide. [4]


In light of increasing international attention on the prevention of suicide, we decided that it was an opportune time to use the data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to provide baseline and historical estimates of suicide mortality across time and geography, and by sex and age group. [5]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enhances existing data on suicide through data processing that enhances international comparability and partially addresses misclassification by reassignment of ICD codes from ill-defined or improbable cause of death. [6] In the absence of suicide mortality data for a jurisdiction, the GBD Study estimation process borrows strength across geography and time to calculate estimates of suicide mortality.




Suicide prevention research and strategies must be informed by patterns of suicide mortality. For example, differences in the female to male suicide mortality ratio by socio-demographic index (SDI) are striking, with lower SDI countries generally demonstrating higher female to male mortality ratios. This finding calls for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what is driving relatively higher suicide rates among women in lower SDI countries, or relatively lower suicide rates among men, as compared to those living in higher SDI countries. Higher rates of suicide death can be due to higher rates of suicide attempt, or choices of methods with higher fatality rates, and this can impact the choice of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Countries in eastern Europe such as Russia, Lithuania and Ukraine had higher rates due to greater access to weapons and alcohol, experts say

edited by kcontents


We also found that changes in suicide mortality rates over time have not been consistent across age, sex, region, and nation, and important differences in suicide mortality persist between sociodemographic groups. The decrease in the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 over time was greater among women (49%) than men (23.8%), and this trend will only further widen disparities in suicide mortality by sex. [5]




While both the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suicide reduction goal,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Indicator on suicide mortality rates both target population levels, it will also be important to monitor whether any reductions are consistent across sociodemographic groups.


One promising observation is the estimated 30% reduction in the global age-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reported in our paper; however, despite this progress, if current trends continue, no countries are expected to meet the SDG goal of a one-third reduction in suicide mortality by 2030, based on projected mean values. [5,7]


If we want to ensure meaningful reductions in suicide mortality both globally and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a continued focus on accurate and comprehensive data on suicide mortality is required, both to inform suicide prevention interventions, and to evaluate their impact on a population level. While the methods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include advances that yield more robust and comprehensive estimates of global suicide mortality, there is still significant room to improve global suicide mortality data, in low-, middle- and high-income countries. Our study provides insight into where efforts might be focused, both for reducing suicide mortality and for collecting better data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which populations are most vulnerable.




Heather Orpana is a research scientist at the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and an adjunct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Epidemiology at the University of Ottawa. She is also a collaborator with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View Full Text

https://blogs.bmj.com/bmj/2019/02/06/global-suicide-mortality-using-data-to-inform-action-and-monitor-progress/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