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일로 제주 주택·건설경기 걱정이다/제주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가격도 하락할 것"
침체일로 제주 주택·건설경기 걱정이다
2017년을 기점으로 크게 위축
[사설]
제주지역 주택·건설경기가 위기다. 불과 몇년전까지 호황세를 누리던 주택·건설 관련 각종 지표가 빠르게 악화되면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분양 주택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가 하면 주택 인허가 및 착공 실적도 뚝 떨어졌다. 주택·건설경기가 위축되면서 고용시장마저 얼어붙고 있어 걱정이 더욱 크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8년 12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도내 미분양 주택은 1295로 관련 집계를 시작한 후 최대치다.
2012년 945호였던 미분양 주택은 2015년 114호까지 줄었지만 이후 개발 바람을 타고 주택 건설 증가로 2017년에는 전년(271호)보다 1000호 많은 1271호까지 늘었다. 더 큰 문제는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의 증가다. 2016년 90호던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2017년 530호로 5배 이상 증가하더니 지난해는 750호에 이르렀다.
edited by kcontents
주택경기 악화는 고스란히 건설시장에 반영되고 있다. 지난해 도내 주택 인허가 실적은 7372호로 전년(1만4163호)보다 47.9% 감소했다. 주택 착공실적도 전년(1만2730호)보다 39.1% 줄어든 7757호에 그치는가 하면 공동주택 분양실적도 1663호로 전년(2817호)보다 41.0%가 줄었다. 건설시장 침체는 일자리로 이어졌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의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건설업 취업자는 3만4000명으로 전년(3만7000명)에 비해 3000명 가량 줄었다.
주택·건설경기 전망은 올해도 밝지 않다. 2017년 이후 건축 착공면적이 크게 줄어들면서 주거용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영세 건설업체들 사이에서는 도산에 대한 걱정도 적지 않다. 주택·건설경기는 지역경제의 중요한 버팀목이다. 침체국면이 장기화되면 지역경제 전반에 큰 타격이 올 수밖에 없다. 시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제주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가격도 하락할 것"
제주연구원, '제주주택.부동산 전망' 연구보고서
전문가 "부동산 침체기...2~4년 지속될 것" 전망
활황세를 보이던 제주지역 부동산시장이 2017년을 기점으로 크게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은 현재의 침체국면이 최소 2년에서 4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이성용 연구위원은 31일 발표한 '최근 제주지역 주택.부동산 동향과 전망' 연구보고서를 통해 전문가들의 부동산시장 전망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현재의 주택 및 부동산 동향을 분석하고 도내외 전문가(101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동산 전망을 살펴봤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문가 조사결과 대부분 전문가들은 2018년과 비교해서 2019년은 정부의 주택 및 부동산 규제, 금리인상 등에 따라 주택 및 부동산 매매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제자유도시 관련 프로젝트들이 추진됨에 따라 인구 유입효과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정책적 대응 여부에 따라서 효과의 지속성이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이 진단 지난해 주택 및 부동산 시장의 경우 후퇴기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올해 전망에서는 주택 및 부동산에 대해 침체기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주택 및 부동산에 대한 경기가 얼마정도 지속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2∼3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비율이 43.6%로 가장 많았고, 3∼4년간 지속된다는 비율이 37.6%로 나타나 81.2%의 응답자가 가량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1∼2년간 지속된다는 답변은 15.8%였다.
또 전문가들은 추가공급을 원하는 주택 유형으로 행복주택 등 임대주택 45.5%, 대단지형 아파트 33.7%, 단독주택 8.9%, 아파트 7.6%의 순으로 답했다.
도내외 전문가들은 미분양주택의 해소를 위해서는 LH 등 공공에서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 40.6%, 건설사가 자체적으로 해소 27.7%, 미분양주택 과다 지역 신규 인허가 제한 15.8% 의 순으로 응답했다.
또 토지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물어본 결과 현행 제도 유지 48.5%, 토지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 운영 44.6%의 순으로 응답했다.
국제뉴스
edited by kcontents
전문가들은 조사에서 투자매력의 감소 전망, 그러나 2018년 주택 및 부동산 매매현황에서는 서울 거주인들의 매매가 많아져서 제주지역이 투자의 매력은 있는 것을 판단했다.
제주지역은 제주형주거복지 실현을 위해 공공주택(공공임대주택 등)의 비율을 10% 목표로 행복주택 등을 공급하고 있음에 따라서 제주형 주거복지는 지속돼야 할 것이며, 공공주택의 비율이 10% 달성될 때까지 더욱 더 노력해 나가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성용 박사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도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제도 정비, 서민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등이 포함된 만큼, 제주도정의 부동산투기대책본부의 활동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2018년 사회조사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정착주민들이 원하는 주택 및 토지지원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정착주민들이 농지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토지를 임대해 줄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상위계획에서 제시된 목표인구에 근거한 토지수요 관리를 통해 기존 도심내의 미활용지의 분석, 읍면지역의 공유지를 활용한 택지 및 농지 확보를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증가추세인 빈 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조례를 제정할 것을 제언했다.
홍창빈 기자 headlinejeju@headlinejeju.co.kr 헤드라인제주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