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청망청, 퀸치광이 [김창식]


퀸청망청, 퀸치광이 [김창식] 




www.freecolumn.co.kr

퀸청망청, 퀸치광이

2019.01.29

지난해 10월 31일 개봉해 극장가에서 가장 화제를 모은 영화는 단연 <보헤미안 랩소디(Bohemian Rhapsody)>입니다. 영국 록 밴드 퀸의 일대기를 다룬 이 영화의 관객 수가 1,000만 명에 이르렀다고 하네요.(1. 27 현재 950만, 영화진흥원). 지구촌 최고의 흥행성적을 우리나라에서 거두었다고 합니다. ‘퀸청망청(퀸+흥청망청)’ ‘퀸치광이(퀸+미치광이)’ 같은 인터넷 조어까지 통용되는 판국입니다. 광풍에 가까운 퀸 열풍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는지?

퀸(Queen) 음악을 처음 접한 것은 1970년대 중반 <보헤미안 랩소디>를 통해서였습니다. 노래가 금지곡이어서 ‘백판(불법 제작 LP 음반)’으로 들었죠. 노래가 심히 괴이(queer)해요. 문틈을 비집고 들려오는 배교(背敎)의 주문이나 중얼거림, 흐느낌, 아니 귀곡성(鬼哭聲)을 듣는 느낌이었어요. 그런가 보다 하는데 ‘맘마미아’와 같은 감탄사에 더해 ‘갈릴레이 갈릴레오’ 무슨 천문학자 이름이 뒤섞여 어리둥절하게 해요. 가창력을 자랑하는 것 같기도 하

  -보헤미안 랩소디 포스터(네이버 영화)

고, 게다가 노래는 왜 그리 길며 음역의 변화는 왜 그리 갑작스러운지? 가사 또한 장난이 아니에요. ‘엄마, 사람을 죽였어요.(Mama, just killed a man).’

이 같은 형식과 구성의 파괴, 혼종성, 실험성, 비주류성이야말로 록 밴드 퀸과 리드 싱어 프레디 머큐리의 시대를 앞서가는 독창성이라고 할 것입니다. 그에 더해 대중성까지 확보한 특이한 경우입니다. 이후 퀸의 다른 노래들도 찾게 되었습니다. 크게 히트한 귀에 익은 노래들을 열거해보죠. 위 <보헤미안 랩소디>를 비롯해 <Love of My Life> <You‘re My Best Friend> <Somebody to Love> <We Will Rock You/We are the Champion> 등. 어쨌거나 전반적인 록 음악의 퇴조와 함께 잊혔던 퀸의 노래들이 특히 우리나라에서 부활을 넘어 광풍을 몰고 온 것은 어떤 연유에서일까요?

우선 ‘아이들’이 판치는 ‘아이돌’의 주류 음악에서 밀려난 중장년층(일부 노년층 포함)의 향수를 자극한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들에게도 그런 시절이 있었답니다. 엘비스 프레슬리와 비틀스에 열광하던 시절이. 1969년 클리프 리처드(<The Young Ones>)의 내한 공연은 보수적인 한국 사회를 뒤흔든 깜짝쇼였어요. 소녀 팬들은 소지품뿐만 아니라 옷가지도 내던지며 울부짖었고 실신하기까지 했죠. 이후 톰 존스 등을 거치며 열기가 지속되다 1980년 레이프 가렛(I Was Made for Dancin'>)의 내한 공연을 끝으로 시들었습니다.

아웃사이더 록 밴드인 퀸이 이질적인 부적응자의 음악을 추구했지만 결과적으로 일반 대중과의 소통으로 이어진 점도 평가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화려한 오페라적 구성, 추종을 불허하는 지옥의 샤우팅, 무엇보다 떼창을 유도하는 후렴구의 주술적인 매력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떼창이야말로 분위기를 띄우고 세력을 과시하는 퍼포먼스에서는 필수 코스프레가 아니겠어요? ‘갈릴레이 갈릴레오, 맘마미아 맘마미아, 위윌록유 위윌록유, 라디오가가 라디오가가….’ 음악적 소외계층인 중장년층이 중독성 있는 후렴구를 흥얼거리며, 아니 응얼거리며 실로 오랜만에 박탈감에서 벗어나 음악적 욕구를 분출할 계기를 찾은 것이 아닐까요?

영화 자체의 완성도는 후한 점수를 주기는 어렵습니다. 음악을 들려주는 영화인지, 무명 록 밴드의 성공담인지? 그에 더해 동성애 코드를  과도하게 삽입해 혼란스러웠어요. 영화적 완결미보다 시대를 지배한 팝음악을 들으려 간 사람도 많을 텐데 그에 대한 배려도 살짝 아쉽습니다. 이를테면 영화의 하이라이트라고도 할 수 있는 ‘라이브 에이드(1985)’ 공연 대목입니다. 퀸 공연 위주로 할당한 것이야 당연하다 할지라도 함께 참가한 레전드 뮤지션들의 무대를 잠깐씩이라도 편집해 보여주었더라면! U2, 엘튼 존, 데이비드 보위, 폴 매카트니….

퀸 열풍이 문화 예술적 이슈를 넘어 우리 사회를 강타한 사회 현상이긴 한 모양입니다. 신문(J일보, 1월 7일)을 뒤적이며 노래 후렴구를 맥락 없이 흥얼거리는데 시사만화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유튜브 시장을 달구는 인터넷 방송을 풍자하는 만평에 쓰인 글자들이 음표처럼 날아올라 귓전을 맴돌더라고요. 알릴레오, 고칠레오, 바꿀레오, 감출레오, 빠질레오, 뻥칠레오…. 

*이 칼럼은 필자 개인의 의견입니다.
자유칼럼의 글은 어디에도 발표되지 않은 필자의 창작물입니다.
자유칼럼을 필자와 자유칼럼그룹의 동의 없이 매체에 전재하거나, 영리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필자소개

김창식

경복고, 한국외국어대학 독어과 졸업.수필가, 문화평론가. 
<한국산문> <시에> <시에티카> <문학청춘> 심사위원. 
흑구문학상, 조경희 수필문학상, 한국수필작가회 문학상 수상. 
수필집 <안경점의 그레트헨> <문영음文映音을 사랑했네>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