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신한류 모색하다] 대림산업 편

#1 브루나이 양쪽 땅 이어라! 史上 최대 교량 작전 


브루나이만 건너는 템부롱 교량 프로젝트 

대형장비 도입한 新공법으로 난관 돌파해 

차로 4시간·배로 1시간→20분으로 단축 


   인구 40만명 동남아시아 국가 브루나이는 동서로 나뉘어 있다. 내륙은 말레이시아 국경을, 바다는 '브루나이 만(Brunie Bay)'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나뉜다. 서쪽 '무아라' 지역에서 '템부롱' 지역까지 가려면 말레이시아 국경을 2차례 넘어 자동차로 4시간을 달려야 한다. 배를 타고 건넌다고 해도 1시간 이상이 걸린다.



브루나이 템부롱 교량 건설 현장. 




브루나이는 동서로 갈린 국토를 연결하는 역사상 최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조원을 투자해 교량 건설에 들어갔다. 대림산업이 수주한 '템부롱' 교량건설 프로젝트다. 이 교량이 완공되면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 인근의 무아라와 여전히 밀림으로 덮인 템부롱 지역이 하나로 연결된다. 사실상 2곳으로 나뉘어 있었던 국토가 하나가 되는 것이다.


브루나이는 교량 건설을 통해 제2의 건국을 도모하고 있다. 무궁무진한 산유량으로 1인당 GDP가 전 세계 5위(2014년 기준 7만8000만 달러) 수준이지만 다른 산업 기반이 없다. 이에 사실상 버려진 땅이었던 템부롱 지역을 개발해 미래에 대비할 계획이다.

30㎞ 길이의 템부롱 교량은 자동차로 4시간을 달려야 했던 물리적 거리를 단 20분으로 줄인다. 이 프로젝트는 41개월 동안 바다 위 13.65㎞를 포함해 총 30㎞ 길이의 도로를 만들어야하는 탓에 불가능한 프로젝트로 평가를 받았지만 대림산업은 '론칭 갠츄리(launching gantry)'를 활용한 새로운 공사 기법으로 난관을 돌파했다.




론칭 갠추리는 교각을 세우고 그 위에 상판을 올리는 장비다. 진행 중인 템부롱 교량 건설에는 한꺼번에 2개의 상판(1700t)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장비가 투입됐다. 800t 규모 상판 하나를 올리는 수준의 기존 장비보다 2배 이상 크다. 대림산업이 유럽 건설기계 제작사에 의뢰해 만든 유일무이한 장비로, 공사기간을 절반으로 줄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템부롱 교량은 오는 5월 완공을 앞두고 있다. 대림산업은 하루 평균 1500명을 투입해 예정대로 공사를 마칠 예정이다. 안병욱 현장소장은 "자국내 건설실적을 기반으로 한 중국업체들의 실적이 무시무시하지만 특수교량분야에서는 중국 업체들이 발붙이지 못하고 있다"면서 "안전, 기술력 면에서 가진 우위를 통해 시장을 장악하겠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2 건설 너머 사업발굴·운영까지…글로벌 디벨로퍼로 우뚝 


'플랜트 수출 1호' 대림, SOC 중심 해외시장 개척  

작년 3.5조 규모 세계 최장 현수교 사업권 따내 

민자발전산업 개척도 활발, 전담회사 설립 운영 


국내 시장은 좁다. 수익성을 끌어올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는 이유다. 이제 해외 건설 수주 실적에 따라서 건설사의 수익성과 성장 가능성이 갈린다.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시장 진출에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건설사들이 과거에는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건설 또는 설계만 담당했다면 이제는 오랜 기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디벨로퍼(Developer)로 역할을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디벨로퍼는 사업 발굴에서 운영 관리까지 사업 발굴, 기획, 지분투자, 금융 조달, 건설, 운영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개발사업자를 의미한다. 


대림산업이 시공해 2017년 10월 개통한 브루나이 순가이 대교. 서울의 한강에 해당하는 브루나이 강에 놓인 첫 사장교로 총 길이 721m, 주경간장(교각과 교각 사이 거리) 300m 규모다.  




'해외 건설 외화 획득 1호', '해외 플랜트 수출 1호', '아프리카 진출 1호 건설사' 등 타이틀을 가진 대림산업은 이 분야의 선두주자다. 그간 쌓은 해외 건설 경험에 사회간접자본(SOC), 플랜트 등을 중심으로 해외 시작을 개척하고 있다. 현재 미국, 중국, 베트남을 포함해 40여개국에서 플랜트, 댐, 도로, 항만, 공공주택 건설 등 폭넓은 사업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중동 뿐 만 아니라 러시아, 오만, 터키, 브루나이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을 개척해 다변화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해외 SOC 분야 디벨로퍼 사업자로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 3조5000억원 규모의 터키 차나칼레 현숙 프로젝트 사업권을 따냈다. 세계 최장 교량이다. 민간투자방식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에서 대림산업은 시공을 포함해 16년 2개월 동안 최소 운영 수익을 보장받으며 운영까지 맡는다.


터키 차나칼레 현수교 프로젝트는 2017년 4월 착공해 20개월째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 수주는 독자 현수교 기술력이 큰 역할을 했다. 지난 2013년 이순신 대교를 준공하면서 세계에서 6번째,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현수교 자립기술을 완성했다. 대림산업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2015년 브루나이에서 가장 큰 국책사업이었던 템부롱 교량공사 프로젝트에 5구간 중 2구간을 수주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템부롱 교량공사 프로젝트는 13.65km의 해상교량과 사장교를 건설하는 공사다. 또한 파키스탄에서 102㎿ 굴푸르 수력발전소 프로젝트에 지분을 투자해 민간 개발 사업에 참여했다. 현재 공사를 진행 중이며 발전소를 34년간 운영하며 수익을 거둘 예정이다. 




글로벌 민자 발전 시장을 통한 해외 개척도 활발하다. 대림산업은 동남아는 물론 인도, 중남미 등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발전 프로젝트 발주를 전망하고 민자 발전 산업(IPP) 분야 강화를 중장기 전략으로 삼았다. 


IPP(Independent Power Producer)는 민간 업체가 투자자를 모집해 발전소를 건설한 후 일정 기간 소유하고 운영하며 전력을 판매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상생 모델이다. 이 모델은 설계ㆍ구매ㆍ시공(EPC) 기술력뿐만 아니라 사업 기획, 금융 조달 등 다방면에서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에 대림산업은 IPP분야 강화를 위해 2013년 민자발전을 전담하는 대림에너지를 설립했다. 설립 첫해 호주 퀸즐랜드주에 속한 퀸즐랜드 851㎿ 밀머란 석탄화력발전소 지분을 인수하면서 해외 민자 발전 시장에 초석을 다졌다. 현재 경기도 포천시에 첫 IPP프로젝트 포천복합화력발전소를 준공해 가동하면서 연료 조달, 발전소 유지ㆍ보수, 효율적인 전력 공급 등 전반적으로 발전소 운영에 관한 노하우를 쌓았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대림은 앞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석탄화력발전소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IPP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림산업이 시공해 2017년 9월 상업운전에 돌입한 1000MW급 말레이시아 만중5 석탄화력발전소. 연약지반과 협소한 사업부지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신공법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동일 지역 동일 규모 발전소 대비 3개월 이상 공기를 단축하는데 성공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