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싸움 막아주는 '아내의 뇌' 알기

 

  남편이 아내와 두 딸을 태우고 운전을 하고 있다. 아내와 딸은 서로 좋아하는 연예인을 얘기하며 맞장구치고 깔깔 웃기도 한다. 그런데 남편이 갑자기 조용히 좀 하라고 화를 낸다. 깜짝 놀란 아내가 왜 화를 내느냐고 물으니 남편은 시끄러워서 운전을 할 수가 없다고 말한다. 아내는 남편이 이해가 안 된다. 딸도 “우리가 이야기하는 게 아빠가 운전하는 거랑 무슨 상관이야?”라며 어이없어 한다.

 

 
Quora edited by kcontents

 

이런 경우도 있다. 거실에서 TV를 보고 있는데, 남편의 휴대폰이 울린다. 남편이 통화하는 동안 아내는 계속 TV를 보고 있다. 전화를 끊은 남편이 별안간 한마디 한다. “옆에서 통화 중일 땐 TV를 끄거나 음량을 좀 낮춰야 하는 거 아니야?” 아내는 “왜 그래야 하냐”고 화를 낸다. 왜냐하면, 반대의 상황에서 아내는 남편이 TV 소리를 줄이거나 전원을 끄지 않아도 아무렇지 않게 통화하기 때문이다.

 

 

왜 이럴까? 내 남편만 이러는 것일까? 대부분 아내는 남편의 이런 행동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남편과 아내, 남자와 여자의 뇌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남자와 여자의 두뇌 차이를 발견하려는 무수한 연구 끝에 밝혀진 사실이다.

 

남자는 태초에 사냥꾼이었다. 사냥할 때는 사냥에만 집중해야 한다. 남자의 두뇌는 한 번에 하나씩, 특화된 일에만 집중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게다가 남자의 두뇌는 좌뇌와 우뇌의 연결 상태가 좋지 않다. 그래서 남자는 운전할 때 운전만 해야 하고, 전화를 받을 때는 통화에만 집중해야 한다. 만약 남편이 신문을 읽고 있을 때 그의 두뇌를 본다면, 거의 아무것도 듣지 못하는 상태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남편이 무언가에 집중해 있을 때에는 아내가 어떤 말을 해도 들리지 않는다. 만약 이때 아내의 말에 “알았다”고 대답한다면 남편이 자신이 집중하는 일에 방해받지 않기 위해 건성으로 대답하는 것이다.

 

짝사랑 하던 사람이 막상 "나도 그래" 답하면 감정이 식는 이유

https://conpaper.tistory.com/110995

 

짝사랑 하던 사람이 막상 "나도 그래" 답하면 감정이 식는 이유

"온 신경이 항상 그 사람을 향할 정도로 깊이 좋아했던 사람인데, 막상 그 사람이 저를 좋아하면 마음이 식어요." 꽤 많은 사람이 겪는 현상이다. 연애 상담 프로그램에 올라오는 단골 사연인 것

conpaper.tistory.com

edited by kcontents

 

그러나 아내는 태초에 아이의 양육자이고 둥지 수호자였다. 아내는 아이를 돌보면서 식사 준비도 하고 둥지를 침범하려는 침략자도 미리 발견할 수 있어야 했다. 그래서 아내의 두뇌는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하는 다중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여자는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corpus callosum)이 남자보다 30%나 두텁고 우수하다. 다시 말해 서로 관련 없는 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차를 운전하면서 수다를 떨고, 라디오를 들으면서 휴대전화로 통화까지 할 수 있다.

 

 
southbayriders.com edited by kcontents

 

 

한편 남성은 뇌의 공감 기능이 여성보다 떨어진다. 사냥꾼인 남편이 동물의 상황에 공감하면 사냥에 성공할 수 없다. 사냥꾼인 남편은 동굴에 있을 시간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비언어 신호를 간파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우지도 못했다. 쉽게 말해 눈치가 없고 직관력이 떨어진다. 그리고 남편의 뇌는 사냥을 끝내고 둥지에 들어오면 휴식 상태에 돌입한다. 두뇌 활동 중 70%가 정지된다.

 

그러나 아이의 양육자이고 둥지 수호자인 아내는 가족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자식의 행동에서 배고픔, 부상, 화남, 절망 등 사소한 변화를 읽어낼 수 있어야 했다. 아내는 가족들의 미묘한 분위기 변화와 태도 변화를 간파하는 능력이 필요했다. 따라서 아내는 공감 능력이 발달돼 있고, 아내의 두뇌는 휴식 중에도 90%가 활동을 계속한다. 아내의 뇌는 쉬지 않는 것이다.

 

여자들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끊임없이 정보를 받아서 분석한다. 아내는 남편과 자녀의 희망, 꿈, 생각, 감정, 그들의 거짓말까지도 훤히 꿰뚫을 수 있다. 그래서 남편이 아내에게 거짓말을 하면 들킬 확률이 높다. 꼭 필요한 거짓말이라면 말이 아닌 글로 해야 한다. 글에는 표정이나 제스처 같은 시각적 요소,와 목소리, 톤, 억양 등 청각적 요소가 없기 때문에 들킬 확률이 그나마 낮아진다.

 

다시 가정으로 돌아와 보자. 아내가 남편에게 묻는다. “내가 왜 화났는지 알겠어?”, “당신이 뭘 잘못했는지 알겠어?”, “오늘이 무슨 날인 줄 알아?”

 

 

 
Digital Synopsis  edited by kcontents

 

평화를 원한다면, 아내여 남편에게 묻지 마라. 남편은 직관력도 공감 능력도 떨어져 있는 가여운 인간이다. 수수께끼를 내지 말고 그냥 말해주는 게 좋다. “오늘은 내 생일이고, 나는 축하를 원해.” 이렇게 아주 명확하게 말이다. 남편이 너무 밉다면, 남편이 못을 박을 때 말을 시키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이런 이야기의 핵심은 남자의 뇌 구조가 한 가지에만 집중하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차이를 알고 서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남편과 아내의 두뇌 차이를 정당화하려 함이 아니다. 남편과 아내가 더 나은 관계로 나아가려면, 때론 차이를 알고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온 세상의 남편과 아내가 지금보다 더 행복하기를 바란다.

(*이 칼럼은 동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사공정규 교수의 기고입니다.)

헬스조선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