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봉우리 중국의 원전은 괜찮고 한국 원전은 안되고...이게 무슨 모순된 발상?

 

원전 자체를 싫어하는게 아니라

원전 업적 자체를 말살하고 싶은 심정일 것

 

   지난 21일 한국에서 서쪽으로 180㎞ 떨어진 중국 산둥반도 끝, 룽청(榮成) 스다오완(石島灣) 원전 단지. 200㎿급 초고온가스로(VHTR)에 처음으로 연료가 장착됐다. VHTR은 멜트다운(원전 노심이 녹는 것) 위험이 적은 4세대 원전 기술이다. 미국, 독일, 일본 등이 연구용으로 운영한 적이 있지만 상업용에 가까운 실물 원자로는 중국이 맨 먼저 지었다. 중국핵공업그룹은 “4세대 원전 기술에서 중요한 한걸음을 내딛게 됐다”며 “올해 말 전기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푸젠성에 있는 푸칭 원자력 발전소. 이 원전 5호기에는 처음으로 중국이 개발한 화룽1호 원자로가 들어갔다. /중국전력보

 

 

문재인 정부 들어 한국이 월성 원자로 1호기를 조기 폐쇄하며 탈원전의 길로 나가는 동안 중국 곳곳에선 ‘원전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달 중국 남부 하이난성 창장(昌江)에서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육상 소형 모듈 원전(SMR)인 링룽 1호 건설 공사가 시작됐다. 중국이 자체 개발한 ACP100 원자로가 적용됐다. 중국과학원이 서부 간쑤성 우웨이(武威)에 짓고 있는 토륨 용융염 원자로(TMSR)도 다음 달 가동될 것으로 알려졌다. 물 없이 원자로를 냉각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아직은 연구용(2㎿급)이지만 상업화될 경우 사막 등 물이 귀한 내륙 지역에도 원전을 지을 수 있게 된다.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중국은 첨단 원전 건설과 개발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 4월 중국 원자력 업계가 발표한 백서에 따르면 중국은 작년 연말 기준 원전 48기를 가동 중이고 17기를 건설하고 있다. 지난 5년(2016~2020년) 동안에만 새 원전 20기가 상업 운영에 들어갔고 11기를 짓기 시작했다. 205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한국 정부가 탈원전을 채택하는 것과 대비된다.

 

2010년부터 10년간 신형 원전 기술 개발에 매달린 중국은 올 들어 실제 원전을 짓고 가동하는 실증 사업에 나서고 있다. 9월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진 TMSR도 그 중 하나다. 우라늄 대신 토륨을 연료로 하고 물 대신 용융염(액체 상태 소금)을 이용해 원자로를 식힌다. 원리는 60년 전 미국에서 나왔지만 초고압을 견뎌야 하는 등 설비가 까다로워 실용화가 미뤄져 왔다.

 

 

중국과학원 상하이응용물리연구원 옌루이(嚴睿) 박사 연구팀은 최근 중국 학회지에 100㎿급 원자로 개념 설계를 담은 논문을 발표하고 “TMSR은 물 없이 (원자로) 냉각이 가능해 가뭄에 적합하다”며 “(물이 귀한) 중국 중서부 지역에 지으면 10만명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에 풍부한 토륨을 원료로 하고, 발전 후에도 핵무기로 전용할 수 있는 폐기물이 적어 핵 확산 우려가 적다”며 “아프리카 내륙, 중앙아시아 등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국가에 수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소형 원전 분야에서도 중국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달 15일 중국 남부 하이난에서 건설을 시작한 중국 첫 SMR 링룽 1호의 경우 52만6000가구에 전력⋅온수⋅증기 등을 공급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 원전보다 경제성은 떨어지지만 공장에서 제품을 찍어내듯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건설 기간도 짧다. 육지뿐만 아니라 섬, 선박 위에도 건설할 수 있다.

 

 

 

링룽 1호 프로젝트에 참여한 류청민(劉承敏) 중국원자력연구설계원 부원장은 중국 계면신문 인터뷰에서 “공단에 건설해 전기와 증기를 공급하거나 섬의 해수담수화 시설, 바다 위 석유 채굴 현장 등 다양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다”며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태국 등이 소형 원자로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했다.

 

중국이 원전 기술 개발에 매달리는 것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뒤늦게 원전을 지은 중국은 그간 핵심 기술을 미국이나 프랑스에 의존해왔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력핵공학과 명예교수는 23일 본지에 “기존 우라늄 원자로에서 중국은 세계 2~3등밖에 안 되지만 토륨 원자로 등 신형 원자로에서는 세계를 선도할 가능성이 있다”며 " 미국이 만들어 놓은 원자력 규제에서 벗어나 미래 원전 시장을 접수하겠다는 의지가 표명된 것”이라고 했다. 서 교수는 “공학자가 보기에 매우 위협적인 상황”이라며 “과거에는 중국이 우라늄 원자로 기술을 배우러 한국에 왔지만 이제는 우리가 중국에 기술을 배우러 가야 할 수도 있다”고 했다.

베이징=박수찬 특파원 남지현 기자 조선일보

 

인천서 330㎞, 中 원전 3기 또 건설… 동·남해안에 58기 조선일보

 

中 원전 폭발사고로 방사성물질 서울로 유입?

12일 '중국 톈완원전 폭발' 소문 급속 유포…SNS서 큰 관심·우려

'핵연료 교체 중 폭발' 기술적으로 불가능…원안위 "사실아니다"

 

     중국 원자력 발전소에서 폭발사고가 나 고농도의 방사성 물질이 우리나라에 상륙할 것이라는 내용의 출처 불명의 '지라시'가 12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유포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중국 톈완 원전 2호기 대규모 폭발 사고 발생'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상에 유포된 이 글은 "중국 장쑤성 소재 톈완 원전 2호기가 핵연료 재충전 과정에서 1번 증기발생기 온도 차이로 격리 밸브 이상 압력으로 폭발사고가 발생해 시간당 124mSv 고농도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내용이다.

 

2013년 방사성 물질 누출 신고된 중국 광둥성 타이산 원자력 발전소

 

또 이 원전이 서울과 970㎞ 거리라면서 "방사능물질 세슘-137 검출, 이르면 금일 오후 3시경 고농도 방사능물질 한반도 상륙 예정"이라고 경고했다.

 

 

방사성 핵종인 세슘-137은 피부를 뚫고 인체 내부를 조사(照射)하는 감마선을 방출해 다른 핵종보다 피해가 크고 위험하다.

자연에서 존재하지 않는 인공 핵종으로 원전과 같은 시설에서 사고로 유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소문이 급속도로 퍼진 12일 오후 온라인상에서는 방사능 오염을 걱정한 시민들이 진위를 묻거나 걱정하는 질문이 넘쳤다.

 

온라인에 유포된 중국 원전 폭발 내용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문건의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폭발사고가 발생했다는 텐완원전 2호기는 중국 동부 장쑤성 연안에 실재하는 발전 시설이긴 하다.

 

 

이 원전이 가압수형이라는 점을 근거로 '압력 이상으로 인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는 내용이 이 문건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압수형 원자로의 상세한 작동원리에 밝은 전문가들은 이 문건의 폭발 과정이 기술적으로 성립할 수 없는 허무맹랑한 낭설에 불과하다고 설명한다.

 

가압수형 원자로에서 핵연료를 교체할 때는 원자로 전원을 모두 끈 상태에서 원자로 뚜껑을 열어 교체작업이 이뤄지기 때문에 폭발사고를 일으킬 압력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황주호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13일 연합뉴스에 "핵연료 교체는 원자로 전원을 다 끄고 압력을 다 없앤 뒤 이뤄지는 작업"이라며 "압력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압력 이상으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성립할 수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hyun@yna.co.kr 매일경제

 

[전문]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8/785586/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