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30년 후 24기 원전 단 9기만 남는다 ㅣ이런!...원전 줄이고 대신 러시아 중국 전기 수입한다
에너지 전문가들
“원전을 줄이면서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건 비현실적”
에너지 전문가들은 “원전을 줄이면서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건 비현실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수소 등 신에너지 비율을 대폭 늘리기 위해서라도 원전 활용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태양광·풍력 발전은 날씨와 계절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들쭉날쭉하다. 해가 나지 않는 밤이나 흐린 날, 바람이 불지 않는 때에는 발전을 하지 못해, 태양광의 설비 이용률은 평균 15%, 풍력은 23% 수준에 그치고 있다. 화력발전소나 원전 설비 용량을 대체할 만큼 태양광·풍력발전소를 많이 짓는다고 해도, 이런 ‘간헐성 전력’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다.
원전이 석탄이나 LNG 등 화력발전과 함께 지금까지 ‘기저(基底) 전원’ 역할을 해온 것은 이 같은 전력 공급의 안정성 때문이다. 탈원전과 탈석탄을 동시에 진행해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발전원 구성을 바꾸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일본 등 대부분 국가가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화력발전을 줄이는 대신, 원전을 유지·확대해 재생에너지의 내재적인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에너지 믹스를 추진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주한규 서울대 교수는 “재생에너지는 발전 단가가 점차 낮아지겠지만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같은 필수 보조 설비와 송·배전망 확충 등에 많은 비용이 든다”며 “이는 결국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조선일보
관련기사
환경 진보 '셸런버거'...한국, 탈원전 정책에서 유턴해야
https://conpaper.tistory.com/95826
[탄소 제로 30년 전쟁]
정부가 마련한 ‘2050 로드맵’ 분석
정부가 2050년 이전에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지하고, 태양광·풍력 발전량을 2018년 대비 64배로 키워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방안이다. 태양광·풍력을 급격히 늘려도 전기 공급이 모자라, 중국·러시아 전기를 수입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반면 탈(脫)원전 정책은 현행대로 유지해 23% 수준인 원전 발전 비율을 7%로 떨어뜨린다는 방침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탈석탄, 탈원전을 동시 추진하면 전력 공급 안정성이 떨어지고, 탄소 감축도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말 안 통하는 돌대가리들?
(편집자주)
대통령직속 탄소중립위원회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정부 합동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방안을 제출받아 심의를 벌였다. 이 방안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50년 온실가스 순(純) 배출량은 2018년(7억2760만t) 대비 99% 감축한 750만t으로 정해졌다. 2018년 기준 국내 발전량의 41.9%를 차지한 석탄발전은 완전히 퇴출하고, LNG(액화천연가스) 비율도 26.8%에서 7.5%로 축소된다. 산업, 수송, 건물, 발전 등 모든 분야에서 화석연료 사용을 대폭 줄이되,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광·풍력을 급속히 늘려 전기로 조달하겠다는 것이다. 러시아·중국에서 들여올 전기(5.4GW·기가와트)는 신고리 3호기 용량(1.4GW) 원전 3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같은 ‘에너지의 전기화(化)’ 방침에 따라 2050년 발전량은 2018년 대비 2.3배 늘어난 1235테라와트시(TWh)로 책정됐다. 이 가운데 61%(752TWh)는 태양광·풍력으로 공급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이는 2018년(11.7TWh) 대비 64배 규모다. 반면 원전은 신고리 2~6기, 신월성 1·2기, 신한울 1·2기 등 총 9기 11.4GW만 남는다. 정부는 “핵융합 등 신기술을 활용하겠다”고 했지만, 소형 모듈 원전(SMR) 등 차세대 원전은 계획에서 배제했다.
탄소중립위 관계자는 “이번에 제출받은 탄소 중립 시나리오는 정부가 작년 12월부터 6개월간 TF를 구성해 마련한 것”이라며 “최종 방침은 올 7~8월 중 나올 수 있고 정부안은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2050년엔 무탄소 사회 목표, 태양광·풍력 3%→60%로
정부의 ‘탄소중립 시나리오’에는 2050년엔 사실상 ‘무(無)탄소 사회’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 담겼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5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발전 비율을 6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좁은 국토에 이런 목표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급격한 에너지 전환에 직면한 기업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2050년 기준 총발전량은 1235.3테라와트시(TWh)로 현재의 2.3배 수준으로 급증한다. 그동안 발전소·공장·자동차에 사용해온 석탄·석유 연료를 신재생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전기화(化)’에 따른 변화다. 이에 따라 발전 부문에서 현재 2~3%에 불과한 태양광·풍력 비율이 60.9%(총 752.3TWh) 수준으로 급증한다. 정부가 2050년 태양광·풍력 발전량 규모를 제시한 건 처음이다.
선정민 기자 박상현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