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에 밀린 풍력 투자자들 '패닉'
제주 풍력발전 44번 멈춰놓고…그린뉴딜 목청만 돋우는 정부
발전량 급증땐 과부하 우려돼
풍력발전시설에 `셧다운` 명령
출력통제 힘든 태양광은 놔둬
풍력사업자들 "우리만 피해"
여분의 전력 관리도 못하면서
신재생에너지 권장은 불합리
똑같은 신재생에너지인데도 문재인정부가 밀고 있는 태양광에 밀린 풍력의 설움이 커지고 있다. 제주도는 한정된 지역에서 전력수용량을 초과하는 신재생에너지가 만들어지자 전력 차단이 쉬운 풍력이 먼저 '셧다운'을 당하는 형국이다. 전력판매량이 감소해 손해를 보게 된 풍력 투자자들은 정부가 소화하지도 못하면서 태양광과 풍력을 무분별하게 키운 결과라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제주소리
edited by kcontents
28일 전력거래소 이사회 공시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제주 지역 풍력발전소가 44회 멈췄다. 정상 가동됐을 때 생산 전력량으로 따지면 13.4기가와트시(GWh)의 전기가 사라졌다. 시중에 판매되는 전기차 2만2000여 대를 완충시킬 수 있는 규모다. 지난해 제주본부가 풍력발전 출력을 제한한 것은 총 46회다. 이미 상반기에만 작년 '셧다운' 횟수에 맞먹고 있어 올해 전체는 2배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풍력이 강제 '셧다운'되는 이유는 바람이 많이 불어 생기는 공급과잉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해가 맑은 날 강제로 출력이 제한된다. 태양광 순간 발전량이 높으면 전력 공급이 급상승하는데, 이때 전력계통 과부하 방지를 위해 출력을 강제 제한한다.
제주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담을 수 있는 허용량이 크지 않다. 제주 지역 신재생에너지 전력계통 접속 한계용량은 590메가와트(㎿)다. 그런데 지난해 말 기준 제주에 보급된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556㎿ 규모로, 사실상 신재생에너지 최대 운전 가능량의 한계에 달했다. 현재 제주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로 전송이 불가능한 1·2해저연계선만 운전되고 있다. 육지에서 공급을 받을 수는 있지만 남는 전력을 보낼 수는 없다.
현재 추진 중인 3해저연계선이 완공되면 제주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다른 지역으로 전송할 수 있어 제주 지역 신재생에너지 접속 한계용량은 2024년 최대 1237㎿까지 늘지만 이마저도 현재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
기존 발전량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성과 내기 차원에서 공급에만 집중하는 모양새다. 제주도에서만 한림과 대정에 각각 100㎿급, 한동·평대 지역에 105㎿급 등 총 565㎿ 규모 풍력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문제는 제주도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태양광을 필두로 한 재생에너지 공급이 급격하게 늘면서 3~4년 뒤부터는 육지에서도 풍력 강제 셧다운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이 같은 엇박자 추세는 신재생에너지 선진국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전력거래소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스페인, 독일, 아일랜드 같은 선진국은 풍력발전소 출력제어가 매년 줄어들거나 현상이 유지되고 있다. 한국처럼 출력제어가 급격히 증가하는 곳은 중국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거래소 측은 "중국은 정부 주도 대규모 풍력발전단지가 다수 건립되면서 송전 제약으로 출력제어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아직까지 풍력발전 제어의 기준조차 없다.
강제로 발전을 중단하는 데 따르는 피해 보상 대책이 있을 리 만무하다. 제주도 풍력기업 관계자는 "좁은 통 안에서 공급만 늘어나니 재생에너지의 적이 재생에너지가 된 셈"이라면서 "계통을 하루빨리 늘리고 적절한 보상체계도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력거래소 측은 "시스템이 정비되는대로 오는 10월 부터 출력 제어 기준이 시행될 것"이라며 "새로 마련되는 기준에서는 태양광 발전기도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찬종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