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16조弗 AI시장 놓고 뜨거운 경쟁..."국가안보와도 직결"VIDEO: Is China Winning the AI Race?
美-中, 16조弗 AI시장 쟁탈전 뜨겁네
미래 핵심기술로 국가안보와도 직결
中, 데이터센터 등에 205조 통큰 투자
美는 "5G 동맹블록화" 가속 등 中견제
세계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중국 화웨이를 둘러싸고 미중 갈등이 첨예해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 헤게모니를 차지하기 위한 양국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AI는 자율주행차·모빌리티·헬스케어·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의 핵심 기술인데다 군사력 증강 등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차세대 기술의 세계 표준을 정립하기 위한 중기 전략인 ‘중국 표준 2035’의 초안을 마련했다. 5세대(5G)와 AI 등의 분야를 육성하는 ‘중국제조 2025’를 보완한 것으로 4차 산업의 핵심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잰걸음의 연장선이다.
Illustration: Soohee Cho/The Intercept
Is China Winning the AI Race? The COVID-19 pandemic has revealed the capabilit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o deploy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lving real-world problems. While America's performance hasn't exactly inspired confidence, it maintains some important competitive advantages. CAMBRIDGE – COVID-19 has become a severe stress test f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From supply-chain management and health-care capacity to regulatory reform and economic stimulus, the pandemic has mercilessly punished governments that did not – or could not – adapt quickly. The virus has also pulled back the curtain on one of this century’s most important contests: the rivalr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or supremacy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scene that has been revealed should alarm Americans. China is not just on a trajectory to overtake the US; it is already surpassing US capabilities where it matters most. View full text |
edited by kcontents
이에 더해 중국은 오는 2025년까지 5G 망·데이터센터 등 신(新) 인프라 건설에 1조2,000억위안(약 205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또 최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산업 지원책에는 반도체 제조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담겼다. 15년 이상 사업을 해온 반도체 제조기업이 28㎚ 혹은 이보다 더 고도화한 공정을 적용할 경우 최대 10년간 법인세를 면제해주기로 한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세계 각국이 몸살을 앓는 사이 중국은 나 홀로 국가 주도하에 첨단산업정책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FT는 “사회주의체제인 중국에서는 미국보다 개인정보 축적이 훨씬 수월하다”면서 “중국이 미국과의 기술패권 전쟁에서 장기적으로 유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거침없는 중국의 행보에 미국의 긴장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미국이 동맹국을 향해 5G 장비 선정에서 화웨이를 배제하라고 압박하며 5G 선점을 위해 동맹블록화에 속도는 내는 것도 이런 행보를 견제하기 위해서다.
AI 성능 향상의 관건은 빅데이터인데 5G 없이는 다량의 데이터 처리가 어렵다. 자율주행과 IoT·AI·빅데이터·클라우드·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스트럭처가 모두 5G 네트워크 위에 구축되는 탓이다.
특히 AI 발전이 곧 향후 국가 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은 미국의 조급함에 불을 지피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AI 발전으로 전 세계에서 2030년까지 15조7,000억달러(약 1경8,600조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중국과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각각 26%, 14.5%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제프리 색스 미 컬럼비아대 석좌교수는 첨단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 세계가 ‘제조업 민족주의’로 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미중 신기술 냉전은 안보 문제와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 행보가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다. 당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최근 자국 안보를 위협한다며 틱톡과 위챗 등 중국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재에 나선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화웨이의 경우 지난해 5월부터 일찌감치 제재 명단에 올리고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며 고사 작전을 펴왔다. 이 같은 미국의 압박으로 인도 역시 이미 틱톡 사용을 금지했으며 호주, 유럽연합(EU), 일본 등에서도 퇴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보호무역정책에서 비롯한 무역전쟁이지만 진짜 이유는 디지털 기술패권을 위해 안보문제로 둔갑시켜 동맹블록화를 통해 대중 견제에 나서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국은 중국의 혁신 기업들을 시장에서 내쫓는 한편 자국 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 대형 기술 기업이 유럽 통신장비 업체인 노키아나 에릭손을 인수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 밖에 미국은 AI 기술개발과 활용을 저해하는 규제장벽을 최소화하도록 올해 1월 ‘AI 애플리케이션 규제에 관한 가이드’를 내놓았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 측은 “기술패권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현 상태를 신냉전에 비유할 수 있다”며 “기술 냉전(Technology Cold War)이 시작됐고, 미 정부가 소비자 기술 업종에 전례 없는 개입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서울경제
The Future of the U.S. and Chin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chnology Diplomacy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