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불황] 지방건설업체, 변해야 산다
지방건설업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매년 7월말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발표된다. 하지만 순위를 보면 대부분 수도권 업체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공사실적, 경영상태 등 여러 이유로 지방업체들이 순위가 뒤떨어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시공능력평가제도란 건설업체의 시공능력을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금액으로 환산한 뒤, 이를 공시하는 제도다.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게 하려는 취지다.
폴리뉴스
edited by kcontents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나 지자체에서 노력은 하고 있지만 올해 코로나19 악재와 더불어 지방 건설경기는 불황이 더욱 심각하다.
침체원인은 갈수록 공사 물량이 줄어들고, 그동안 건설업 성장 동력 역할을 했던 주택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좀처럼 해빙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건설업이 다시 생존하기 위해서는 시공능력과 기술력 향상, 국외시장 개척, 체질개선, 그린 홈 개발 등 새로운 사업이 발굴돼야 한다.
하지만 직원 수가 수 명에 불과한 지방의 영세하고 소규모 건설업체에서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시공능력을 개발하고 새로운 사업 영역을 확충하는 것은 남의 집 이야기다.
특히 최근 들어 해외건설시장에서 큰 역할을 했던 중동의 정세변화로 이곳 건설시장이 예측 불가능한 상태로 빠져 대기업들도 건설수주 금액이 급감하는 현실에서 지방건설업체들의 해외 진출은 어떻게 보면 건설업을 접으라는 말과 같을 수 있다.
이와 관련 지방건설업체들은 대안을 찾지 못하고 정부의 건설 정책을 비판하면서 확률 싸움으로 여기는 관급공사 입찰만 바라보고 있다. 그동안 로또복권보다 수백 배 확률이 높은 낙찰률로 상당히 재미를 보았고 그 단맛을 아직 잊어버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edited by kcontents
하지만 앞으로 이러한 확률 싸움으로 사업을 영위하려는 것은 곧 사업을 접는 길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앞으로 건설경기 침체는 현재보다 더 심했으면 심했지 나아지기는 어렵다는 여론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나무 밑에서 입 벌리고 앉아 홍시만 떨어지기를 바라는 것처럼 정부만 쳐다보는 사업방식을 접고 나름대로 자구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건설업체들도 지방에서 살아남으려면 고유한 영역을 특성화로 타 업체와 차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장정흡 기자 기계설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