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드론으로 스마트 안전점검 한다


댐 안전점검, 무인기로 꼼꼼하게 살핀다


6월부터 소양강댐과 안동댐에 무인 드론으로 

입체적인 안전점검 시범 적용 거쳐 

'댐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단계적 구축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올해 하반기부터 '무인기(드론)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도입 대상은 환경부가 관리(한국수자원공사가 위탁관리) 중인 37개 댐(다목적댐 20개, 용수전용댐 14개, 홍수조절용댐 3개) 시설이다.


K-water가 충북 충주댐에서 드론을 활용해 댐 균열 복구훈련을 진행하고 있다./중도일보




사업개요

(목적) 4차산업 기반의 드론,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등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선제적 보수보강, 성능개선 및 자산관리로 댐의 장수명화

(사업기간) `20~`25년

(총사업비) 총 1,061억(국고 100%) ※ ’20년 추경 12억원

(사업대상) 환경부 댐 37개소(다목적댐 20, 용수댐 14, 홍수조절용댐 3)

환경부

edited by kcontents


소양강댐 등 현재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댐 37개 중 43%는 건설된 지 30년 이상 경과했고, 전체 저수용량*도 농업용댐 등에 비해 크기 때문에 평상 시 체계적인 안전점검이 중요하다.

* (전체 저수용량) 환경부댐 160억m3, 농업용댐 30억m3, 발전용댐 18억m3


그간의 댐 안전점검은 안전점검 인력이 작업줄 등을 통해 댐의 벽체를 타고 내려가며 맨눈으로 결함 여부를 점검하는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주로 점검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댐 벽체의 결함을 판단했으며, 일부 구간은 접근이 어렵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따랐다.


이번 '무인기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은 인력에만 의존한 점검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인기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촬영한 후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벽체 등 댐의 손상여부를 살펴보는 지능형 안전점검 방법이다.




환경부는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진행 중인 국가안전대진단 기간동안 소양강댐과 안동댐에서 '무인기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을 시범적용할 계획이다.

* 소양강댐은 6월 26일, 안동댐은 6월 30일에 국가안전대진단 예정


올해 국가안전대진단 대상 댐은 환경부 관리 댐(37개) 중 12개* 댐으로, 건설한지 40년이 경과되었거나 최근 정밀안전점검·진단 결과 '보통(C등급)' 이하인 댐이다.

* 12개 댐: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대청댐, 주암댐, 선암댐, 사연댐, 대암댐, 안계댐, 수어댐, 연초댐, 영천댐


무인기를 이용하면 기존에 인력으로 접근이 힘들어 인력으로 점검하지 못했던 곳도 사각지대 없이 댐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꼼꼼한 안전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사업 플랫폼/환경부

edited by kcontents


환경부는 무인기로 촬영한 영상 등이 거대자료(빅데이터)로 축적되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댐의 이상유무를 점검·진단하는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도 단계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지적능력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기술로서, ①상황을 인지하고, ②이성적·논리적으로 판단·행동하며, ③감성적·창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까지 포함




이와 같은 첨단기술이 도입되면 선제적으로 댐의 보수·보강이 가능하여 기후변화 대비 위기대응 능력이 높아지고, 노후화된 댐의 성능이 개선되어 댐을 오랫동안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하여 위기대응 능력를 강화하겠다"라면서,

"댐의 수명을 장기간으로 크게 늘려 국민들이 물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겠다"라고 말했다.

환경부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