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3D 디지털지도 전 현장에 적용 ㅣ GS건설, '수처리기술 상용화' 프로젝트 착수


포스코건설, 3D 디지털지도 전 현장에 적용


대용량으로 활용 제한 3D데이터, 앱으로 쉽게 활용

공사구간 거리 산출·공정 진행상태 한눈에 파악


    포스코건설이 3D 디지털 지도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구축해 전 현장에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POS-Mapper라고 불리는 이 앱을 이용하면 3D 디지털 지도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공사구간의 거리, 면적, 부피 등을 간단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장의 날짜별 현장정보를 담은 슬라이드를 중첩시켜 공정 진행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고 변동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신안산선 복선전철 현장 3D 데이터 결과(사진=포스코건설)

각 현장에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드론과 3D스캐너로 촬영이 가능하다. 기술연구소에서 현장의 필요한 데이터로 바로 가공해 업로드할 수 있어 전 현장에서 모바일, 태블릿 등을 통해 활용할 수 있다.




3D 디지털 지도는 공사현장과 주변을 입체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시공오차와 공종간섭 등의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도록 해주고 정확한 물량산출도 가능하다.


그동안 3D 디지털 지도는 대용량이어서 현장에서 데이터 전송에 제약이 있고 일반PC로 구동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드론 촬영과 데이터 분석 전문인력이 부족해 본사의 기술연구소에서 직접 현장을 촬영하고 정보를 분석 후 데이터를 제공해도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포스코건설은 건설용 드론 데이터 플랫폼 연구개발 중소업체인 '카르타'와 함께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3D 디지털 지도 전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서게 됐다.


포스코건설은 그동안 기술연구소에서 촬영, 데이터분석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때 4일간 소요되던 작업기간이 POS-Mapper 앱을 통해 2일내로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드론, 3D스캐너, GPR(지표투과레이더), 토공 자동화 시스템 등 스마트건설장비에서 취득한 고정밀 데이터를 3D 모델로 구축해 계획단계부터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고정밀 데이터 활용 시스템 구축을 통해 활용에 제한이 있었던 대용량의 3D 데이터를 업무 담당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이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스마트컨스트럭션을 확대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정희 기자 jhwon@bizwatch.co.kr 비즈워치


GS건설, 신성장동력 '수처리기술 상용화' 연구 돌입


싱가포르 수자원공사와 

'친환경 저에너지 해수담수화 혁신기술' 상용화 공동연구 프로젝트


    GS건설이 신성장동력으로 삼은 수처리 기술 발전에 공을 들이고 있다.


GS건설은 싱가포르 수자원공사와 '친환경 저에너지 해수담수화 혁신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6일 밝혔다. 


 

GS건설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SWRO-PRO해수담수화 파일럿 플랜트 모습. ⓒ GS건설


이는 GS건설이 국토교통부 및 환경부 국책연구사업으로 세계 최초 개발에 성공한 기술이다. 해수담수화 플랜트와 하수재이용 플랜트에서 나오는 배출수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든다. 연구기간은 이달부터 오는 2023년 4월까지 총 3년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싱가포르 수자원공사측이 GS건설에만 단독 제한 입찰자 자격을 부여하고, 3년간 연구개발비도 싱가포르가 대부분 부담하는 조건으로 진행된다.


공동연구에는 GS이니마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민대, 고려대 등 연구기관도 참여한다.


공동연구 대상은 GS건설의 PRO(Pressure Retarded Osmosis, 압력지연삼투) 기술이다. 수처리 시설에서 나오는 배출수를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 기술로, 해수담수화 플랜트에서 나오는 고염도 배출수와 하수재이용 플랜트에서 나오는 저염도 배출수를 활용해 삼투현상을 일으켜 에너지를 얻는 원리다. 


이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는 배출수를 활용해 에너지를 생성해 해수담수화 플랜트 운영비의 약 50%를 차지하는 전력비용 절감할 수 있어서다. 플랜트에서 나오는 배출수를 재활용해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실제 GS건설의 실증연구에 따르면 이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해수담수화 전력비용을 현재보다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신재생에너지원(태양광, 풍력 등)과 달리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에너지를 일년 내 생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싱가포르는 수자원 부족으로 현재 해수담수화 및 하수재이용 플랜트로 전체 용수 수요량의 약 65%를 공급하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80%로 늘릴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번 공동연구에 상당한 공을 들이는 중이다.


GS건설 관계자는 "향후 수자원 부족 현상으로 대체 수자원 플랜트 시장이 확대되면 친환경 저에너지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라며 "싱가포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최초로 상용화될 경우 세계 수처리 시장 확대에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진솔 기자 jinsolc@newdailybiz.co.kr 뉴데일리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