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잘나가던 해외건설 수주 코로나에 직격탄..."발주처 미팅 연기 또는 취소 사태"
해외건설 수주 코로나에 '발만 동동'…발주처 미팅 연기 또는 취소되기도
3월초 94억달러 수주…전년比 2.4배 높아 장밋빛 전망
코로나19 각국 확산…"의료 취약해 추가발주 상반기 이후"
한국인 입국금지 95개국…주 고객 중동 확산에 망연자실
해외건설 수주에 제동이 걸렸다. 코로나19(우한폐렴) 감염이 팬더믹(pandemic, 세계 대유행) 기미를 보이면서 한국인 입국금지 국가들이 늘고 있어서다. 5일 기준 한국인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한 국가는 90개국을 넘어섰다. 입맛에 맞는 해외수주건이 있어도 협상테이블조차 앉을 수 없게 된 셈이다. 그간 해외발주처와 국내 건설사간 신뢰를 바탕으로 견뎌오긴 했지만 올 상반기 분수령이 될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세계 각국 코로나19 감염현황. ⓒ 질병관리본부
올해 해외건설 수주에 있어 시작은 좋았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들어 3월5일까지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94억1318만달러로 전년동기 37억8992만달러보다 2.4배가량 많았다. 특히 중동지역 수주액이 57억5904만달러로 전년 3억9546만달러보다 14.5배나 늘었다.
코로나19는 한때 우리나라 건설시장에 호재로 다가왔다. 덤핑수주 등 해외건설시장서 눈엣가시로 여겨졌던 중국기업이 코로나19로 주춤하자 시장을 장악해 보자는 생각도 가졌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은 오래가지 못했다. 대구 신천지의 집단감염을 시작으로 국내 감염이 빠르게 진행된 까닭이다. 외국의 경우도 중국, 이란, 이탈리아, 일본 등으로 코로나가 확산됐다.
문제는 한국의 해외건설시장 '큰손'인 중동지역으로 감염이 확산되면서 수주활동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점이다.
더 큰 문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한국인 기피현상이 수주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5일 기준 한국인 여행객 입국금지 제한국가는 총 95개국으로 늘었다. 유엔 회원국이 193개국이란 점을 감안하면 절반에 가까운 49%가 한국인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A건설사 베트남 파견직원 B씨는 "본사에서 6월까지 한국으로 입국하지 말라고 하더라"며 "해외파견 10년만에 이런 상황은 처음이다. 나라를 잃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이런 탓에 올 상반기 해외수주는 물건너 갔다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연초 해외건설 수주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제시됐지만 예상치 못했던 코로나19 확산으로 그런 희망은 잠시 접어둬야 할 상황"이라며 "한국인 출입금지조치를 취한 해외국가는 이미 90개국을 넘어섰고 해외바이어 또는 발주처 미팅이 취소됐거나 연기, 혹은 비대면으로 전환된 사례가 계속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감염확산으로 동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폭행이 이어지고 있다. ⓒ 인터넷 SNS
이어 그는 "특히 중동에선 정계 고위급인사들 감염·사망 사례들이 발표되고 있어 기존에 예정된 공사든 신규발주든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따라서 당분간 코로나19가 확산중인 지역을 중심으로 공사 발주물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고 설령 발주를 하더라도 (입국금지 등으로) 국내건설사들이 용이하게 입찰에 참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개발도상국들의 열악한 의료환경도 국내기업 해외건설 수주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원은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어느정도 수습되더라도 다른 국가들이 수습단계를 따라오지 못할 수도 있다. 국내 건설기업의 주요 수주지역이 중동과 아시아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며 "이렇게 될 경우 발주는 물론 해외현장 공사착수나 진행에 있어서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발주처 또한 이런 상황을 예견하고 추가발주를 상반기 이후로 연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박지영 기자 pjy@newdailybiz.co.kr
The Economic Times
코로나19·유가하락' 설상가상···순풍 불던 건설사 해외수주 '빨간불'
정부-해외건설협회, 코로나19 대응 TF 가동 '피해 최소화'
지난해 2006년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바닥을 찍었던 해외 건설수주가 최근 중동에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점차 확대되면서 해외건설·수주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 해외 건설 수주는 2012년 한화건설이 약 80억 달러 규모의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사업(왼쪽 사진)을 수주하는 등 2010년대 초 호황을 누렸다. 1976년 당시 현대건설이 한국 정부 예산의 4분의 1에 이르는 공사비를 받으며 수주한 사우디아라비아 주바일 산업항. 한때 ‘수출 역군’으로 꼽혔던 한국 건설의 위상을 보여준다. 동아일보DB
edited by kcontents
4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액은 총 94억달러(11조14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동안 38억달러 보다 약 2.5배 높은 수준이다. 뿐만 아니라 △수주건수(21%) △시공건수(13%) △진출국가(6%) △진출업체(10%) △최초진출(75%) 등 모든 부문에서 나아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48억달러 수주에 머물렀던 중동 수주는 이날 58억달러를 기록하며 이미 연간 수주금액을 넘어섰으며, 대형건설사들의 대규모 공사계약이 해외수주 실적을 견인했다. 삼성엔지니어링에서 사우디아라비아·알제리 등지에서 35억달러를 수주한 것은 물론 삼성물산(25억달러)과 현대건설(18억달러) 등이 10억달러 이상의 공사를 수주했으며, 이들 세 건설사는 올해 해외수주 전체 규모의 8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코로나19 사태가 점차 확대되자 해외수주시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건설업계는 연초 중동시장에서 훈풍이 불어오며 지난해의 부진을 씻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발주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코로나19 국내 감염자가 증가하면서 한국인을 입국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지역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제한 조치를 취한 국가와 지역은 총 92곳에 달하며, 이중 한국발 외국인 입국을 금지하는 곳은 39곳이다. 때문에 해외출장 및 현장파견 등의 활동에 제약이 걸리는 것은 물론 향후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해외수주업무 및 발주도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안전팀이 매일 현장 근로자 및 직원들에 대해 열 체크는 물론 유행 중인 코로나19 사태에 빠르게 대응하고 한다"면서도 "다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발주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프로젝트 연기, 기술 미팅 지연 등의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유가 하락 전망도 해외수주의 또 다른 악재다. 지난 1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에 따르면 지난달 두바이 유가는 배럴당 평균 55.1달러로 전월 대비 13.6% 하락했으며, 브렌트 유가 역시 12.4% 하락했다.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자 석유수요가 줄고, 글로벌 경기에 충격이 가해질 것으로 우려했기 때문이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해외수주는 글로벌 발주로 진행되는 내용인 데다 유가에 따라 변동되기 마련인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침체가 우려되면서 유가 상황이 녹록치 못하다"면서 "발주처들이 빠르게 발주에 나서고자 하는 의지가 사라질 것이며, 이달까지 영향이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불확실성이 강한 현재 뿐만 아니라 당초 올해 유가 상승 전망이 크지 않았던 만큼 장밋빛 전망은 금물"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경제뉴스
edited by kcontents
이에 대해 정부와 해외건설협회는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TF) 팀을 만들어 해외건설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겠다는 방침이다.
김종국 해외건설협회 대외협력실장은 "현재 정부와 함께 각 현장마다 비상연락망을 가동하고 주기적으로 현장 동향도 살피고 있는 것은 물론 현지에 있는 주재원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면서 "외교라인을 통해 건강검진 확인증 등 간이 검사절차를 통해 예외적으로 해외업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현재까지 발주가 연기되거나 미팅이 지연되는 등의 사례는 없었고, 최근 확진자가 늘어난 상황은 발생 초기이기 때문에 (해외수주에는)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