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미건설,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펀드 참여ㅣ 한진 경영권 분쟁에 뛰어든 반도건설...왜?


직방, 프롭테크 특화 VC 설립…200억원 펀드 우미건설도 참여


    국내 프롭테크 회사 직방이 벤처캐피털 ‘브리즈인베스트먼트’(Breeze Investment)를 설립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회사는 작년 12월 23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창업투자회사 인가를 받았으며 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할 예정이다.


직방이 세운 브리즈인베스트먼트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로, 부동산에 기술을 접목하는 ‘프롭테크’에 특화된 IT 전문 투자회사다. 프롭테크 영역에서도 성장성이 높은 다양한 스타트업들을 발굴하고 투자해 프롭테크 생태계를 형성하는게 목표다.


venturesquare.net



edited by kcontents


브리즈인베스트먼트가 조성한 펀드 명칭은 ‘PWF’(Proptech Watering Fund)로, 투자금 200억원은 직방과 우미건설이 각각 100억원씩 출자했다. 우미건설은 직방이 갖고 있는 프롭테크 산업 육성 의지에 공감하고 벤처기업들을 성장시키고자 펀드 조성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브리즈인베스트먼트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핀테크, 블록체인 등 다양한 프롭테크 분야의 기업들에 투자할 계획이다. 또 후속 투자와 협력사업 연결까지 체계적인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브리즈인베스트먼트의 수장으로는 박제무(사진) 직방 이사가 선임됐다. 박 대표이사는 미국 실리콘밸리 VC 블루런벤처스 출신으로, 안강벤처투자, 원앤파트너스 등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투자 경험을 쌓아왔다. 대표적인 투자 성과로 게임 개발사 펄어비스(IPO), 게임 퍼블리셔 엔터메이트(IPO), 항공부품 제조업체 샘코(IPO), 개발사 비전브로스(M&A) 등이 있다.




박제무 브리즈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는 "브리즈인베스트먼트는 국내 프롭테크 활성화와 더불어 벤처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단순한 재무적 투자보다는 기업의 입장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사업 성공의 긴 여정을 돕는 동반자로서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허지윤 기자 조선비즈 

한진 경영권 분쟁 뛰어든 반도건설, 목적은 일감 따내기?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지주회사인 한진칼 경영권을 놓고 조원태 회장과 조현아 전 부사장을 비롯한 한진가(家), 행동주의 펀드 KCGI, 델타항공, 국민연금 등이 얽히고설킨 상황에서 반도건설까지 경영 참여를 선언했기 때문입니다. 느닷없는 반도건설의 등장에 업계에서는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는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도건설 등장에 셈법 복잡해진 한진家 경영권 분쟁/조선일보


edited by kcontents

권홍사 회장이 설립한 반도건설은 1980년 부산에서 '태림주택'으로 출발한 시공능력 13위 건설업체입니다. 한진그룹과도 인연이 깊은데요. 2001년 한진이 낙찰받은 473억원 규모의 부산 신항 북컨테이너 터미널 배후단지 3공구 조성공사에 함께 참여했습니다.

조 회장 일가가 KCGI와 한진칼 경영권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던 지난해 10월, 대호개발을 비롯한 반도건설 계열사들은 지분 5.06%를 확보하며 주요 변수로 등장했습니다. 당시에는 확보한 지분 규모가 그리 크지 않고 오너 집안끼리의 친분 때문에 '백기사' 성격이 강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그런데 지난 10일 지분을 8.28%까지 늘리고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지분 매입 목적을 바꾼다고 공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재계에서는 반도건설의 입장 변화가 조씨 일가의 경영권 분쟁을 이용해 사업상 이익을 취하려는 것 같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한진그룹으로부터 일감을 약속받는 대신 주총에서 지지해주겠다는 물밑 거래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진그룹 보유 부동산을 두고, 공동 개발 사업을 추진하려 했지만 한진그룹 오너 일가 반응이 부정적이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반도건설은 지금 주식을 팔더라도 상당한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막상 반도건설 측이 주식 매각에 나서면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에 당장 주식을 팔지도 못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고 희망퇴직까지 받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진칼의 경영권 분쟁은 점점 더 복잡한 양상으로 확전하고 있습니다. 회사 정상화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임직원들의 걱정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강한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