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확정 발표

정부,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확정 발표


2023년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으로 도약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에 따른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산ㆍ학ㆍ연ㆍ관 300여명이 참여하는 ‘로봇 포럼’이 지난해 12월 공식 출범했다.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하에 2023년 로봇산업 시장 규모를 지난해 5조7천억원에서 15조원으로 확대하고 1천억원 이상 로봇 전문 기업수를 현재의 6개에서 20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제조 로봇 보급대수(누적)를 지난해 32만대에서 2023년까지 70만대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뿌리ㆍ섬유ㆍ식음료 산업 등 3대 제조업 중심으로 제조로봇 보급을 확대하고, 돌봄ㆍ웨어러블ㆍ의료ㆍ물류 등 4대 서비스 로봇 분야를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로봇 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제조업 및 서비스업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이 같은 비전과 목표를 담은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하고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이번 기본 계획은 작년 12월 제3차 기본 계획 마련을 위해 산·학·연·관 300명이 참여해 구성한 로봇 전문가 포럼을 중심으로 도출한 최종 결과물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공고했다.




비전 및 목표

이번 기본계획은 ▲기본 계획 수립 배경 ▲글로벌 산업 동향 및 각국 대응 현황 ▲국내 로봇산업 현황 및 최근 동향 ▲비전 및 목표 제시 ▲추진과제 ▲기대효과 ▲향후 추진계획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1,2차 기본계획이 로봇산업 성장을 위한 정부 주도의 지원 체계, 지원 분야 및 성장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이뤄진데 반해 3차 기본 계획은 유망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및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을 통한 체계적인 보급 확산 추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번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에 담긴 주요 추진 과제를 살펴본다.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제조 로봇 70만대(누적) 보급을 위해 업종별, 공정별로 108개 로봇 활용모델을 선행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108개 공정에 대해 로봇 활용 표준 모델을 개발하되, 근로 환경 개선 및 인력부족 해소가 시급한 분야부터 우선 개발하기로 했다. 뿌리, 섬유, 식․음료 등 3대 업종 표준 모델 개발을 우선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표준 모델당 10개 기업, 총 1080개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사업과 실증 보급(7560대)사업을 추진한다. 로봇 활용이 시급한 뿌리, 섬유, 식․음료 업종부터 필요 공정에 적합한 제조 로봇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뿌리산업의 경우 열악한 작업 환경, 인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스마트 선도 시범 산단(창원, 시화반월 등)을 대상으로 ‘취약공정 지원형 모델’ 지원 사업을 펼치고, 섬유 산업의 경우 동대문 프로젝트 등과 연계하여 협동 로봇을 활용해 봉제, 의류, 재단, 염색 등 ‘작업 환경 개선형 모델’ 지원 사업을 펼친다. 식·음료 산업의 경우는 식품 자동화 관련 협단체와 함께 HACCP 인증 등 식품 위생 규정을 고려한 ‘청결제조공정형 모델’을 지원한다.


또한 정부는 협동 로봇 보급 촉진을 위해 설치 작업장 안전 인증 체계를 검토 및 개선해 민간 확산을 유도하기로 했다. 특히 국내 인증 기관이 부재한 점을 고려해 국내 인증 기관 발굴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제조 로봇 도입 기업 중심의 재직자 로봇 활용 교육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제조 로봇 수요 급증에 따른 각 기업들의 활용인력(Operator) 해소를 위해 미취업자 및 재직자 대상 집체교육을 지원하고 업종별․공정별 표준 모델, 교육 훈련 커리큘럼 자료 등의 DB를 구축하고 인터넷/모바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렌탈/리스 서비스 등 구매 지원을 통해 민간 자율 확산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로봇 제조기업이 주도적으로 로봇을 판매․보급할 수 있도록 렌탈, 리스 등 금융 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올해 중에 캐피탈, 은행 등과 함께 관련 상품을 개발하고 2020년부터 렌탈, 리스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수요자 중심의 로봇 보급 확산을 위한 설명회 및 네트워크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지역 소재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로봇 도입 과정의 애로 해소와 로봇 보급을 확산하는 설명회를 분기별로 1회 개최하고, 로봇 수요 기업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로봇사용자협회의 설립을 지원하기로 했다.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 육성

전체 1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중 글로벌 시장 규모, 비즈니스 잠재 역량, 도전가치 등을 고려해 돌봄, 웨어러블, 의료, 물류 등 4대 서비스 로봇 분야를 전략 분야로 선정했다.


드론봇, 농업·탐사 로봇 등 니치 마켓형 10대 분야는 국방부, 농림부 등 소관 부처 주도로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지원한다. 국방분야(무인수상정, 착용형 증강로봇 등), 농업분야(시설원예용 스마트팜 로봇, 무인트랙터, 방제 수확 작업이 가능한 농업용 로봇 등), 수중/탐사분야(수온 확인 등 환경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중 로봇시스템, 해양사고 대응용 안전 로봇, 수중건설 로봇 등), 구조/안전분야(협소공간 탐색 로봇, 마약류 센서 등을 탑재한 원격 이동형 측정장치 등) 등의 로봇 개발을 추진한다.


4대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개발 및 보급 지원 사업도 펼친다. 15개 지자체, 810개 수요처에 약 1만대 보급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돌봄로봇(10개 지자체에 5000대 보급), 웨어러블 로봇(5개 지자체에 945대 보급), 의료 로봇(5개 병원, 수술용 로봇 5대 보급, 5개 재활병원·요양원 등에 재활 로봇 50대 보급), 물류 로봇(공장, 마트 등 800개 수요처에 4000대 보급)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추진과제 가운데는 선택적 약물 방출 및 회수 등이 가능한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 보급, 복합 작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 핸들링 로봇’, 스마트 시티 대상 실외 배송 로봇 개발 및 실증 사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정부는 규제 개선, 해외 진출 등을 지원해 국내외 시장 창출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규제 샌드박스' 전주기 완성도 제고를 위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구축된 ‘규제혁신 센터’를 통해 상시 지원을 추진한다. 우선 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로봇 등의 4대 분야에 대해 로봇실증 특례지역 지정을 추진(1개 제품당 5천만원 지자체에 지원)한다.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현상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안에 ‘로봇경제경영연구소’를 구축 및 운영하기로 했다.




국가별 맞춤형 수출 전략도 마련해 시행한다. 말레이시아(자동차 생산라인), 태국(물류산업), 사우디(병원), 터키(교육시설), 싱가포르(공항 및 병원) 등과 연계해 수출 지원 활동을 펼치고, 해외 로봇 시장 및 수요를 고려해 권역별 로봇지원센터(KRC) 구축 및 ODA(공적개발원조) 추진을 통한 한국 로봇 기업의 수출 활로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로봇 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차세대 로봇 핵심부품 및 SW 등 요소기술 경쟁력을 강화하여 국내 로봇 산업의 기초 체력 보강 및 신시장 창출을 촉진하기로 했다. HW부품 총 13개 중 차세대 3대 핵심부품(지능형 제어기, 자율주행 센서, 스마트 그리퍼)과 SW부품 총 7개 중 4대 SW핵심부품기술(로봇 SW플랫폼, 잡는 기술SW, 영상정보처리SW, 인간-로봇상호작용)의 자립화를 지원하고 감속기, 모터, 모션제어기 등은 실증 및 보급을 중심으로 지원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국산부품 실증·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수요기업, 로봇제조사, 부품기업이 참여하는 로봇부품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정부 보급 사업시 국산 부품을 우선 채택하기로 했다. 또 공작기계에 로봇기술을 적용하는 '기계의 로봇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AI, 5G 등 IT 신기술과 융합하는 로봇 제품의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같은 지원 정책을 통해 2023년 로봇 산업 글로벌 4대 강국으로 도약하고 스타 로봇기업 20개를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로봇신문사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