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에 세계 최대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조성...25년까지 /새만금청-한전, 태양광 전력인프라 증설비용 놓고 '으르렁'
새만금에 세계 최대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조성
21GW 규모
4조6조000억원 민간 투자자금 유입
새만금에 세계 최대 수상태양광 단지 조성된다
정부가 새만금에 조성될 세계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사업을 승인했다. 민간자본 4조6000억원, 연인원 약 160만명 건설인력을 투입해 2.1GW 규모 수상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허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산업부 전기위원회는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해 △재원조달계획 △발전설비 건설·운영계획 △지역수용성 정도 등을 면밀히 심사한 결과, 전기사업법에 따른 발전사업 허가기준을 충족했다고 설명했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은 새만금 사업지역 중 상대적으로 개발 수요가 낮은 공항 인접 새만금호의 약 30㎢를 활용, 역대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 중 세계 최대인 21GW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 약 10배 수준으로, 매년 100만 가구에 공급 가능한 2759GWh 전력을 생산하는 규모다.
[참고자료] 한수원 주관 수상태양광 시설 설치 후보지/전북일보
edited by kcontents
정부는 단지 건설에 약 4조6조000억원 민간 투자자금이 유입되고, 연인원 약 160만명 건설인력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라북도 등 지역 경제 전반에 큰 활력을 불어 넣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새만금 발전단지에 약 500만개 이상 태양광 모듈 수요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업계가 약 2조5000억원 규모의 설비·기자재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정부는 2030년까지 30.8GW 규모 태양광 설비 확보를 목표로 하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약 273만톤 미세먼지·이산화탄소 100만톤 배출을 저감하는 효과도 예상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이 발전사업 허가 이후 내년 상반기까지 환경영향평가,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관련 인허가를 마치며 내년 하반기쯤 본격적으로 착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 전자신문
원문보기:
http://m.etnews.com/20190718000335?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csidxc145450856e92279aed300b6522c000
새만금청-한전, 태양광 전력인프라 증설비용 놓고 '으르렁'
전력인프라 간선은 한전이 감당해야
실무자 논의 공전
새만금태양광사업 민관협의회 민측위원 관계자들이 27일 전북 전주시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정부의 새만금태양광 사업 공모안 개선 및 시행을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06.27.pmkeul@newsis.com
올들어 잇달아 민간기업 투자를 유치하는 낭보를 전한데 이어 네이버 제2 데이터 센터 유치전에도 뛰어든 새만금개발청이 태양광 단지에서 생산한 전력을 실어 보낼 인프라 증설 문제를 놓고 '속앓이'를 하고 있다. 단지 주변의 인프라 간선망은 국가 기간망에 해당하니 한전이 호주머니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한전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면서 아직까지 접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15일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올해 가장 역점을 두는 사업은 재생에너지다. 그게 평수로 1000만평이 넘는다“며 ”재생에너지를 매개로 얼마나 좋은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용역을 내보냈는데 그게 나오면 거기에 맞게 공모를 할 계획“이라며 "입주기업의 투자 액수를 (인센티브 제공) 기준으로 할지, 아니면 종사자수를 근거로 할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투자, 고용창출 규모 등의) 파급효과를 따져 재생에너지를 얼마나 제공할 수 있는지 준비할 것"이라며 "그게(재생에너지 제공) 기업들에는 상당한 인센티브가 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그는 "재생에너지를 매개로, 얼마나 좋은 기업들을 새만금에 유치해 낼 수 있을 것인지가 관건"이라면서 "올해의 관심사"라고 부연설명했다.
새만금개발청이 현재 투자유치에 가장 공을 들이는 부문은 데이터 센터. 그는 “데이터 센터가 들어오면 연관산업이 많이 들어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데이터 센터를 활용하기 위해서 들어와야 하는 인력들이 엄청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센터가 4차산업혁명 관련 정보기술(IT) 기업과 인력 유치의 물꼬를 틀 수 있다는 것이다. 새만개발청은 네이버 제2데이터 센터 유치전에도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그는 “지금은 생산된 (전기) 용량을 다 태우려는(실어보내는) 걸로 돼 있다. 태우려고 하면 (관련 설비) 용량이 감당을 못한다. 태울때가 없는데 무슨 사업을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또 “새만금을 통과하는 지역은 우리가 있으니 우리가 부담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태양광발전으로 급증한) 전기중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는 전기(설비)의 용량을 키워주는 것은 한전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저희가 생산하는 에너지 양이 보통 많은 게 아니다. 생산된 용량을 태우려고 (실어보내려고) 하면 용량이 감당을 못한다. 가장 큰 문제가 걸린 것”이라며 “국가에서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설비를 하지 않은 것이다. 자율주행하자고 하고서는 설비 안한 거랑 똑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돈은 많이 드는데 누가 부담하느냐 하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태양광 단지에서 새로 생산하는 방대한 전기를 타지로 전송하려면 단지 주변의 기존 설비 용량만으로 한계가 있어 증설을 해야 하는데 이 비용은 한전이 대야 하고 ▲단지에서 자체 소비할 전력 관련 인프라는 새만금개발청이 감당하는게 맞지 않느냐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관계자는 “그게 (전력 인프라) 간선인데 한전이 감당해야 한다고 본다. 밑에서 실무자들끼리 논의해봤자 잘 조정이 안 된다”면서 “올해와 내년 (새만금 태양광 사업을) 계획하는 기간중에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설득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박영환 기자 yunghp@newsis.com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