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하면 뭐하나...이산화탄소(CO2) 저장 실증(CCS) 사업, 포항지진 무관 불구 재개 안해

포항 CCS사업 '지진과 무관' 조사결과에도 재개 결정 늦춰

정부 "계속 추진 여부 종합 검토 필요…지역과도 충분히 협의"

   정부는 24일 경북 포항의 영일만 이산화탄소(CO2) 저장 실증(CCS) 사업과 포항지진이 무관하다는 전문가 조사단의 발표와 관련, "실증사업의 계속 추진 여부는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참고자료를 통해 "포항 실증사업과 관련해 안전성과 주민 수용성, CCS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계속 추진 여부를 검토·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포항 앞바다 이산화탄소 저장시설(CCS) 모습


*이산화탄소 저장시설(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처리 문제가 전 지구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도 그런 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화석연료 사용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플라스틱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산업통상자원부

edited by jkcontents




정부는 이 같은 검토 과정에서 포항 등 지역과도 충분히 협의할 계획이다.


CCS 사업과 2017년의 규모 5.4 포항지진 사이에 관련성이 없다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조사결과가 나왔지만 포항 지역 민심의 반발이 거세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사업 재개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 시기를 늦춘 것이다.


CCS는 CO2를 화력발전소 등 대량발생원으로부터 포집한 후 수송과정을 거쳐 육상이나 해양 지중에 영구 저장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지난 3월 인근 지열발전소에 의해 지진이 촉발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오면서 또 다른 지진유발 요인 가능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등 조사단은 이날 서울대에서 조사결과 발표회를 갖고 "포항 CCS 사업의 주입행위와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찾을 수 없고, 포항 실증사업이 포항지진의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조사단 7명은 작년 11월 구성돼 올 4월까지 연구 분석을 진행했으며 국내외 전문가·관련 지자체 등 자문단 11명도 참여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에도 포항 현지 주민들은 CCS 사업에 대해 여전히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소 후처리 이산화탄소 포집 프로세스/GE리포트 코리아

edited by kcontents


산업부 관계자도 "포항 주민들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추가로 정부가 재검토에 들어가는 이유에 대해 "조사단의 조사는 2017년 100t의 CO2를 시험 주입한 후 8개월만에 발생한 포항 지진과의 인과 여부를 따진 것"이라며 "가령 CO2 주입량을 1만t까지 늘려도 괜찮을지, 추후 문제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해야할지 등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파리협정 목표 달성에 필요한 추가 감축수단 가운데 CCS가 약 14%를 담당할 것으로 추산됐다.


국내 CCS 실증사업은 포항 육상(과기부 담당)과 해상(산업부 담당)에서 진행됐으며 국비를 포함해 300억원 가까이 투입됐다. 당초 내년까지 마무리될 예정이었으나 포항지진으로 현재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연합뉴스]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