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에 모든 게 무너지는 느낌" 거리로 나선 원자력 전공 학생들


"탈원전에 모든 게 무너지는 느낌" 거리로 나선 원자력 전공 학생들


  “통계적으로 봤을 때 원전만큼 값싸고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발전 방식은 없습니다. 국가 핵심 에너지 사업인 원자력을 하루아침에 이렇게 찬밥 대접하는 게 말이 되나요” 

  

KAIST 원자력 전공 학생, 녹색원자력학생연대 결성 

전국 13개 대학 학생 전국서 원자력 살리기 서명운동

학생들 "탈원전 정책 바뀔 때까지 서명운동 계속"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학생들이 대전역 앞에서 원자력 살리기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 카이스트]




녹색원자력학생연대(학생연대) 조재완(29)공동대표는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께서 공개적으로 원자력의 위험성을 지적한 순간 모든 것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6월 19일 울진의 고리1호기 가동중단을 선언하면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상상할 수 없는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탈핵 국가로 가겠다”고 선언했다. 

  

학생연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지난 1월 22일 결성됐다. 서울대·한양대·경희대·부산대·중앙대·경성대 등 전국 13개 대학의 원자력공학 또는 원자력 관련 전공 학생 2500여명이 가세했다.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박사과정을 준비 중인 조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원자력 전공자들이 방향을 잃고 혼란스러워하고 있다”며 “국민에게 원자력을 제대로 알리고 정부를 설득하는 게 활동 목표”라고 설명했다. 



  

학생연대는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대전역·서울역·부산역 등 전국 주요 역에서 원자력을 살리기 위한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서명 활동은 대학별로 진행한다. 지금까지 6500여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들은 “지금처럼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면 친환경 에너지인 원자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잘못된 에너지 정책이 나라를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영화 한편 보고 와 원전을 중지시킨다는게 말이 돼?

(케이콘텐츠편집자주)

  

 

시민들이 대전역 앞에서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학생들의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사진 KAIST]


이들은 “학생들은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포기할 때까지 서명운동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당장 신한을 3, 4호기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AIST 학생들은 유튜브 등으로도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을 알려 나가기로 했다.   



  

조 대표는 “2009년 한국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며 원자력 공학도의 꿈을 키웠다”며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한국이 오히려 중동에 에너지 기술을 수출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신기하고 자랑스러웠는데 지금은 정부 탈원전 정책 때문에 원자력 연구나 산업이 망가졌고, 관련 분야 인재들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출범 전만해도 원자력 전공 희망 학생이 학기마다 20명이 넘을 정도로 인기였는데 지금은 지원자를 손에 꼽을 정도로 존폐위기에 몰렸다”고 했다. KAIST는 신입생 전원을 학과 구분 없이 선발한 뒤 2학년부터 전공을 결정한다.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에는 지난해 2학기 지원자가 한명도 없다가 올해 신학기에는 4명이 지원,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학생들이 만든 홍보 문안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박사과정인 정영은(29)씨도 “에너지 정책은 나라마다 처한 상황과 미래를 고려해 맞춤형 정책을 해야 한다”며 “태양광이나 풍력에너지 생산 여건이 열악한 한국에서 탈원전을 한다는 건 난센스”라고 지적했다. 



  

KAIST 이 학과 교수들도 동참하고 나섰다. 최성민 학과장은 “학생들이 연구에 집중하지 못하고 길거리로 나선 모습을 보니 안타까워 서명운동을 함께 하고 있다”며 “위험하다는 이유로 충분히 더 쓸 수 있는 원전(고리 1호기 등)을 폐쇄하는 것은 자동차가 위험하니 폐차하자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에너지 문제는 국가 생존과 직결된다"며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재고하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