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사진에 딱 걸렸다, 중국 미세먼지 오리발/9년째 자료 안내놓고 "과학적 근거 대라" 잡아떼는 중국
NASA 사진에 딱 걸렸다, 중국 미세먼지 오리발
최근 서울 등 수도권과 충청권 등에서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 일주일씩 미세먼지 비상 저감 조치가 시행됐다.
고농도 미세먼지는 국내외 오염물질이 쌓인 탓이고, 특히 중국에서 날아온 오염물질도 주요한 원인을 제공했다.
최악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였던 지난 5일 미 항공우주국(NASA) 테라/아쿠아 위성이 촬영한 한반도 주변. 중국의 오염물질이 서해를 건너 들어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료 기상청 홈페이지]
9년째 자료 안내놓고 "과학적 근거 대라" 잡아떼는 중국
https://conpaper.tistory.com/75829
이에 대해 중국 측에서는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
지난 6일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의 미세먼지가 중국에서 온 것인지에 대해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서울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당 147㎍(1㎍=100만분의 1g)을 넘었지만 최근 이틀간 베이징에는 미세먼지가 없었던 것 같다"며 '중국 책임론'을 반박했다.
중국 미세먼지 긴 시간
하지만 미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중국발 오염물질이 한반도 상공으로 날아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NASA의 테라/아쿠아(Terra/Aqua) 위성 사진을 보면 지난달 26일에는 한반도 상공에 별다른 미세먼지 없이 깨끗하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한반도 상공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27일.
이후 지난 6일까지도 한반도 상공은 미세먼지로 뿌옇게 변했고, 7일에야 걷혔다.
이런 상황들이 NASA의 테라/아쿠아 위성 사진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미 항공우주국 테라/아쿠아 위성 사진. 왼쪽부터 2월 26일, 2월 28일, 3월 1일 사진이다. 26일 한반도 상공은 중국과 달리 맑았지만, 28일부터 중국 오염물질이 들어오면서 1일에는 서해와 한반도 서쪽이 스모그로 뒤덮여 있다. [사진 기상청 홈페이지]
테라/아쿠아 위성은 NASA 지구관측시스템(Earth Observing System, EOS)의 핵심 장비로 지구 주변 궤도를 돌면서 강수량이나 증발량 등을 조사한다. 테라 위성은 1999년에, 아쿠아 위성은 2002년에 발사됐다.
천리안 위성으로도 확인돼
한국의 천리안 위성을 통해 얻은 영상도 마찬가지다.
GOCI 사진 [자료 연세대 김준 교수]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팀이 천리안 위성 해양관측 탑재체(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미세먼지(에어로졸) 영상에서 중국발 미세먼지의 유입이 확인된다.
지난 4일 오전 중국 베이징과 그 북쪽에서부터 붉은색으로 표시된 짙은 미세먼지 띠가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 기상전문가는 "중국 측에서는 이 같은 인공위성 영상을 놓고도 '인공위성 사진은 지표면부터 높은 고도까지 공기층을 한 번에 표시하는 것이어서 한반도에 영향을 준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못 된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지표면 가까운 공기층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그대로 동쪽으로 빠져나간다는 게 중국 측의 주장이다.
이 때문에 중국 측에 미세먼지 오염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인공위성 관측 영상과 대기오염 모델링 결과 등을 상호 비교하면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최근 언론을 통해 미세먼지 이동 상황으로 자주 소개되고 있는 '어스눌스쿨(earth.nullschool.net)'의 이미지는 실제 인공위성 사진이 아닌, 대기오염 모델링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25일 오전 서울 동작대교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게 보인다. 왼쪽 스마트폰 화면은 미국 국립기상청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표면의 기상 상황을 나타내는 사이트(earth.nullschool.net)에 나타난 붉은 초미세먼지(PM2.5) 표시가 한반도를 뒤덮고 있는 모습. [뉴스1]
NASA 사이트엔 중국발 오염 증거 차고 넘쳐
2004년 10월 22일 미 항공우주국(NASA) 인공위성이 촬영한 한반도 주변.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제주도 남쪽을 지나 일본에 영향을 주고 있다. [사진 NASA]
NASA는 과거에도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발 미세먼지가 한반도 등 동아시아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2004년 10월 22일 사진이다.
이 위성 사진은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대기오염 물질이 제주도 남쪽을 돌아 일본에 영향을 주고 있는 모습을 포착했다.
특히, NASA는 2014년 2월 두 장의 사진을 나란히 비교하면서 중국발 오염물질의 이동을 설명했다.
NASA 홈페이지
2014년 2월 20일 NASA가 촬영한 인공위성 사진, 오염물질이 대부분 중국에 머물러 있다.
2014년 2월 25일 촬영한 사진. 오염물질이 한반도를 지나 동해까지 뒤덮고 있다.
강찬수 중앙일보 환경전문기자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