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대비?… SK하이닉스, 전기 끊길까봐 발전소 직접 짓는다
탈원전 대비?… SK하이닉스, 전기 끊길까봐 발전소 직접 짓는다
1조6800억 들여 이천·청주에 건설
1기당 월성 원전 1호기 규모
SK "정부 정책과 무관, 정전 대비"
세계 3위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가 1조6800억원을 투입해 LNG(액화천연가스) 열병합 발전소 2기를 건설한다. 완공되면 발전 규모가 1GW(기가와트)가 넘는 대형 발전소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전력 수급이 불안정해지고 산업용 전기 요금이 인상될 것을 우려해 선제 대응에 나선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경기도 이천의 SK하이닉스 M14 공장 전경. /SK하이닉스
5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2022년까지 경기도 이천과 청주 공장에 각각 발전규모 570㎿(메가와트)인 발전소를 건설한다. 1기당 발전용량이 월성 원전 1호기(670㎿)와 맞먹는 규모다. 이곳에서 생산하는 전력은 모두 이천·청주 반도체 공장에서 쓸 계획이다.
SK하이닉스 측은 "신규 발전소에서 만드는 자가 전력으로 반도체 공장의 소비 전력 절반을 충당하고 나머지는 현재처럼 한전에서 공급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전력 수급이 현재 세계 어느 나라보다 안정적인 국가"라며 "이런 상황에서 SK하이닉스가 거액을 들여 자체 발전소를 만드는 것은 결국 향후 전력 수급에 대한 불안함 때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 발전을 줄이는 대신 태양광·풍력 같은 친환경 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는 것이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는 원전에 비해 발전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은 날씨가 흐리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면 전력 생산량이 급감한다. 매일 균등한 전력량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게다가 산업용 전기 요금은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한전은 물론이고 정부와 여당도 산업용 전기 요금이 지나치게 싸다는 주장을 공개적으로 하면서 '요금 인상 군불 때기'를 하고 있다. 김종갑 한국전력 사장은 "지나치게 싼 산업용 심야 요금이 기업의 에너지 과소비를 부추기고 전력 소비 시장을 왜곡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한 작년 한전은 값싼 원전 가동을 줄이고 비싼 석탄·LNG 발전을 늘리면서 6년 만에 처음으로 208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1년 사이 영업이익 감소 폭은 5조1600억원에 달한다.
SK하이닉스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이번 발전소 건설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면서도 "반도체 공장은 1초라도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수백억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막고 경제성도 끌어올리기 위해 자체 발전 설비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동철 기자 조선일보
[사설] 탈원전으로 전기 끊길까 기업이 자체 발전소 짓는 나라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전력을 자체 조달하기 위해 총 1조7000억원을 투자해 두 공장에 LNG 발전소를 1기씩 짓기로 했다. 한국만큼 질 좋은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온 나라가 없었다. 그런 나라에서 기업이 자체 대형 발전소를 지어야 한다는 것은 국가 시스템에 심각한 이상이 온 것이다. SK 측이 직접적 표현은 안 했지만 사실은 탈원전 여파로 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에 대비하겠다는 뜻이다. 세계 D램 반도체 시장에서 30%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기업이 정부의 잘못된 에너지 정책 때문에 자구책을 마련하고 나선 것이다.
경기도 이천에 있는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사진=윤은식 기자)/서울파이낸스
edited by kcontents
24시간 쉬지 않고 가동해야 하는 반도체 공장은 잠시라도 전기가 끊기면 클린룸의 청정 진공 상태가 망가져 불량품이 대량 발생한다. 120조원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새로 짓고 이천·청주 공장 증설을 추진하는 SK하이닉스 처지에선 전력의 안정적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밖에 없다. SK하이닉스보다 반도체 생산량이 두 배 더 많은 삼성전자는 더할 것이다. 삼성전자 역시 자체 발전소를 짓고 싶은 생각이 크겠지만 탈원전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으로 비칠까 눈치를 보고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 평택 공장은 작년에 잠시 정전사고가 났는데도 500억원 손실이 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엔 양질 전기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공급하느냐가 한 국가의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된다. 게다가 우리는 미국·유럽처럼 비상시 인근 국가에서 전기를 공급받을 비상 안전망이 없다. 현재 원전 이상의 안정적 전력 공급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이 원전 재가동에 나서고, 대만이 탈원전 정책을 포기했다. 그런데 한국 정부는 세계 최고 기술력을 가진 원전 산업을 망가뜨릴 일만 하고 있다. 아무런 합리적 이유 없는 대통령의 정치적 오기일 뿐이다.
조선일보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05/2019030503082.html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