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태양광 ESS' 등 가동중단 권고

정부 '태양광 ESS' 등 가동중단 권고


심야전기 ESS 등 16곳서 화재


   현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설치가 급증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ESS)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잇따르자, 정부가 ESS 가동 중단을 권고했다. ESS는 풍력·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된 전기나 값이 싼 심야 전기를 배터리처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다.


ES 발생 화재 16건 중 8건, 태양광발전소 연계 ESS에서 발생

풍력발전소와 연계 ESS에서도 3건 화재.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충북 제천에 있는 아세아시멘트 공장의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며 "전국적으로 정밀 안전 진단을 하고 있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 긴급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아세아시멘트 공장에서는 이날 오전 7시쯤 화재가 발생해 소방서 추산으로 41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소방 관계자는 "심야 전기를 저장하는 ESS실에서 폭발음과 불길이 처음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17일 오전 7시 9분쯤 충북 제천시 송학면의 아세아시멘트 공장 건물에서 화염이 일고 있다. 소방 당국은 전력 저장 장치인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서 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종의 대형 배터리인 ESS는 공장 등 전기를 많이 쓰는 시설이나 태양광발전 시설에 설치된다. 최근 태양광발전 시설에서 난 화재도 대부분 ESS에서 시작됐다. /충청북도소방본부


정부의 가동 중단 권고 대상은 전국에 설치된 ESS 1253개 중 아직 정밀 안전 진단을 받지 않은 584개다. ESS 화재는 그동안 16차례 발생했다. 그러자 산업부는 지난달 28일부터 긴급 안전 점검에 나서 지금까지 절반이 조금 넘는 669곳의 ESS를 점검했다.




ESS에서 발생한 화재 16건 중 8건이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ESS에서 발생했다. 풍력발전소와 연계된 ESS에서도 3건의 화재가 있었다.


ESS 설치 규모는 2016년 225MWh에서 1182MWh(2018년 6월 현재)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우리나라에 설치된 ESS 1253개 중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ESS는 전체 46%인 575개이다. 낮 시간 전력을 줄이기 위해 심야 전기를 저장해두는 목적의 피크 저감용 ESS가 601개다.


산업부는 이날 아세아시멘트 공장 ESS에 사용된 것과 같은 LG화학 배터리를 설치한 사업장 중 안전 진단이 끝나지 않은 80여 개에 대해서는 즉시 가동을 중단하고, LG화학이 긴급 안전 점검을 하기로 했다. 아세아시멘트 ESS는 아직 정부의 정밀 안전 진단을 받지 않았다. LG화학 배터리가 사용된 ESS는 11월에만 4차례 화재가 발생했다.


그동안 ESS 16차례 화재 중 8차례가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ESS에서 발생했다. 지난 11월 12일 경북 영주시 장수면의 태양광발전 시설에서 불이 나 33㎡(10평)의 샌드위치 패널 건물 등을 태웠다. 지난 9월 7일에는 충남 태안군의 한 태양광발전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운영하면서 ESS까지 설치할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보조금을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에 ESS 설치는 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지금까지 정확한 화재의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긴급 안전 진단을 진행 중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ESS 배터리에 문제가 있는지, 전력변환장치(PCS)에 문제가 있는지 ESS 화재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진 못했다"고 했다. 배터리 업체는 PCS 업체에, PCS 업체는 배터리나 전선 관련 부분에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조만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아직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안전 진단 여부와 무관하게 화재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한다.


 

영암풍력 연계 ESS설비에서 발생한 화재로 706㎡규모 배터리 건물과 3500여개 이상의 리튬배터리가 전소됐다. 

[사진제공-영암소방서]/이투뉴스


펑펑 터지는 ESS 배터리, 잠자는 폭탄 될라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025

edited by kcontents




또 다른 문제는 ESS에서 화재가 나더라도 이를 진압할 소화약제조차 개발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소화액이 없어 불이 나면 전소할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화재 발생 원인도 파악하지 못하고, 화재 발생 때 소화액조차 개발하지 않은 ESS를 정부가 독려한 셈이다. 정부는 전력 수요 관리를 위해 2012년부터 ESS를 설치하려는 산업·건물·공공부문에 최대 80%의 설치비를 지원해왔다. 2014년부터 올해까지 ESS 관련 연구개발(R&D)에 1993억원이 지원됐다. 산업부는 뒤늦게 설치 규격이나 소재 등 안전성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안전에 대한 기준 등을 먼저 확보한 다음 안전 기준대로 ESS를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데, 태양광 발전과 연계되어 너무 급격하게 ESS를 늘리는 바람에 안전 조치가 많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전수용 기자 안준호 기자 조선일보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18/2018121800178.html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