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바다의 기준면은 어떻게 결정할까?


우리나라 바다의 기준면은 어떻게 결정할까?


국립해양조사원, 

3월부터 11월까지 전국 105개 지역 기본수준점표 조사 실시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이동재)은 오는 3월 말부터 11월까지 약 8개월간 우리 바다의 수심 및 높이 결정의 기준이 되는 ‘기본수준점표’ 현황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바다의 기준면은 해당 지역의 해수면 상승,하강현상을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정해지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각 지역에서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해수면’(해수면 높이의 평균값), ‘약최고고조면’(가장 높아진 해수면 높이), ‘약최저저조면’(가장 낮아진 해수면 높이, 즉 기본수준면)을 정하였다.


수심 및 높이의 기준면 등


기본수준점표는 이러한 기준면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해안가 인근 암반이나 부두 등에 매설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서해중부, 서?남해역, 동남해안 및 제주부근 등 총 424개 지역에 1,414개가 존재한다. ‘가장 높아진 해수면 높이’는 해안선과 항만설계의 기준으로, ‘가장 낮아진 해수면 높이’는 해도에 간출지*(干出地)의 높이와 수심을 표기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썰물 시에 수면에 둘러싸여 수면 위에 있으나, 밀물 때에는 물에 잠기는 육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본수준점표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지역별 순환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에는 부산, 울산, 경남, 경북, 강원, 제주 등 총 105개 지역에 매설된 365개 기본수준점표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3월 말부터 11월까지 약 8개월간 이루어지며, 기본수준점표의 매설 현황을 점검하고 높이를 정밀하게 측량하여 변동여부를 파악할 예정이다. 또한, 사라지거나 훼손된 점표는 새롭게 매설하는 등 바다의 기준면을 명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다.


이동재 국립해양조사원장은 “기본수준점표는 해양 관련 각종 조사 및 사업을 수행하는 데 기준이 되는 지표이니만큼, 앞으로도 매년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철저히 관리하고, 국민들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연안의 기본수준점표에 관한 정보는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www.khoa.go.kr) ‘해양정보포털-기본수준점’ 항목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기본수준점표 현황

국립해양조사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