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4차 산업혁명] “한국 건설산업 부합 대응책 마련 시급"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일본 국토교통성 추진 생산성 혁명 프로젝트 실태 분석

7가지 대응방침 수립

일본 건설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20개 프로젝트 선정

일본 대응전략 정리

한국, 건설산업 현안 해결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필요


    본 국토교통성은 4차 산업혁명을 위해 최우선 목표로 생산성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4차 산업혁명을 자신들의 연구개발 성과를 실전화하는 계기로 활용하고 있어 대한민국 역시 한국 건설산업에 부합한 4차 산업혁명 대응책 모색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출처 国土交通省


일 국토교통성 생산성 프로젝트 国土交通省 生産性 革命 プロジェクト

http://cafe.naver.com/cetech2003/118876

edited by kcontents


대한건설정책연구원(원장 서명교)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본 건설산업의 대응 전략 및 시사점’(연구 수행자 조재용 선임연구원)을 통해 ‘2016년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다뤄진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한 국내 건설산업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일본 국토교통성이 추진하고 있는 생산성 혁명 프로젝트의 내용과 실태를 분석하고, 정책점 시사점을 정리하는 연구를 수행했다고 31일 밝혔다.


건설정책연구원은 일본 건설산업은 2011년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이후의 복구공사, 2013년에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가 확정돼 주경기장 건설 및 주변 지역 개발로 인해 2016년 기준 건설 투자가 51조엔으로 증가하고, 호황을 맞고 있으나 일본 건설산업은 낮은 출산율, 고령인구 증가, 젊은 층의 건설산업 기피로 인해 인력 문제를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건설업에는 현재 약 500만명의 취업자가 있으나, 이 가운데 118만명이 60대 취업자이며, 20대 이하는 54만명에 불과, 일본 정부(국토교통성)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은 내각부와 경제산업성이 중심이 돼 전 산업 공통 대응을 수립하고, 건설산업에 대해서는 국토교통성에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투 트랙(Two-track)으로 대응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신산업구조비전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일본 정부의 7가지 대응방침을 정리하고 있다. ① 산업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과 시장, 보안 정책을 정비하고 ②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고 고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 ③ 기술개발 및 국제표준화를 위해 노력 ④ 금융기능을 강화 ⑤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 구조 전환 ⑥ 관련 규제 개혁 ⑦ 지역과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대응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게 7대 대응방침으로 전 산업을 대상으로 한 공통 대응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일본 국토교통성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건설산업 목표로 설정, 2016년부터 교통․부동산․인프라․건설․물류 등 각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20개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20개 생산성 혁명 프로젝트는 ▲핀 포인트 정체 대책 ▲고속도로를 현명하게 사용하기 위한 요금제 ▲크루즈 새로운 시대의 실현 ▲컴팩트 플러스 네트워크 – 밀도의 경제에서 생산성 향상 ▲부동산 최적상황의 촉진 – 토지, 부동산에의 재생투자와 시장의 확대 ▲인프라 유지보수 혁명 – 확실하고 효율적인 인프라 정비 추진 ▲댐 재생 – 지역경제를 지지하는 치수 능력의 조기 향상 ▲항공 인프라 혁명 – 공항과 관제의 베스트 조합 ▲i-construction의 추진 ▲주생활산업의 새로운 전개 – 기존 주택 유통, 리모델링의 활성화 ▲I-shipping와 j-Ocean – 해상 생산성 혁명, 강한 산업, 고성장, 윤택한 지방 ▲물류생산성혁명 – 효율적이고 고부가가치 스마트 물류의 실현 ▲도로의 물류 이노베이션 – 화물 운송 생산성 향상 ▲관광산업의 혁신 – 관광 산업을 일본의 기간산업으로(숙박업 개혁) ▲하수도 이노베이션 – 일본산 자원창출 전략 ▲철도 생산성 혁명 – 차세대 기술 전개에 의한 생산성 향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안전대책 ▲고품질 인프라의 해외 전개 – 거대시장을 일본의 기폭제로 ▲자동차의 ICT혁명 – 자율 운전 사회 실현 ▲기상 비즈니스 시장의 창출 등 20개 프로젝트가 선정됐다.


건설 인력 감소에 대응하고 건설현장의 휴일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생산성 향상이 필요하다. 2016년부터 측량, 시공, 검사 부분에서 ICT기술을 활용하는 i-construction이 추진됐다.


국토교통성에서는 건설자동화와 관련 1980년부터 약 68억엔의 연구개발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Komatsu사, Hitachi사 등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규모의 연구개발투자를 진행했다. 그 결과 중장비 조작에 서투른 여성과 학생 등의 비숙련 작업자가 운전하더라도, 장비가 작업자를 서포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MG(머신 가이던스) 기술은 완성단계에 도달했다.


국토교통성은 과거 7년 간 공공공사를 대상으로 해당 기술이 탑재된 건설중장비를 시범 운용, 4차 산업혁명에 맞춰 2016년 4월 전면 도입했다. 또한 이러한 신기술이 시장에서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보조금 및 세제혜택 등의 지원 정책이 실시됐다.


건설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일본 국토교통성은 4차 산업혁명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최우선 목표로 생산성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했으며, 4차 산업혁명을 자신들의 연구개발 성과를 실전화하는 계기로 활용하고 있다”며 “일본 건설업의 대응 전략을 정리한 본 보고서를 통해 일본 건설업의 최신 동향 이해는 물론 한국 건설산업의 맞춤형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 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종숙 기자 hjs@ikld.kr 국토일보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