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되면 트램으로? 앞뒤 가리지 않고 뛰어드는 '지자체'


서울 경기 대전 제주 등 각지 너도나도 도입 바람

국내법상 트램, 아직 교통수단 분류조차 되지 않아

다른 교통수단 대비 경제성 뛰어난지도 미검증


"우리나라 교통 정책의 문제점은 

한번 결정되면 번복되지 않는데 있다"

(케이콘텐츠편집자주)


   대전시는 지난해 10월, 도시철도 2호선을 트램(노면 전차) 방식으로 건설한다는 내용의 기본계획 변경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출처 충청투데이


관련기사

GS건설 '위례신사선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파산사태로 '흔들'

http://conpaper.tistory.com/48208

edited by kcontents


자가용 증가로 인한 교통 체증 문제로 고민해온 대전시는 지난 2014년부터 친환경 교통수단인 트램을 도입해 대중교통을 활성화 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대전시 트램은 서대전역~정부청사역~유성온천역~진잠~가수원역(32.4㎞/정류장 30개) 구간에 오는 2025년 개통 목표로 추진된다. 시비를 들여 대덕구 등에 시범노선을 2020년까지 개통할 예정이다. 시는 트램을 추진할 경우 사업비가 5723억원으로 고가 자기부상열차로 건설할 때보다 약 60% 정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전국 지자체에선 요즘 트램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친환경인데다 가성비가 좋은 교통수단이라는 이유로 서울 경기 대전 제주 등 각지에서 너도나도 도입하겠다며 발 벗고 나서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트램은 아직 국내법상 교통수단으로 인정 받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다 다른 교통수단 대비 경제성이 뛰어난 지도 불확실하다. 표가 된다는 이유로 국회와 지자체에서 선심성 공약을 남발하고 있어 트램이 제2의 경전철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권선택 대전시장이 지난 7월 28일 확정한 트램 방식의 도시철도 2호선 노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대전시 제공


서울 경기 대전 제주 등 지자체, 트램 경쟁 가열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에서 1960년대까지 트램이 운행됐지만, 버스 운행이 확대되고 자가용 이용이 증가하며 교통 체증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자취를 감췄다. 


그런데 최근 지자체들이 트램을 잇따라 도입하고 나서고 있다. 트램은 도로에 선로를 깔아 운행하는 전차로 홍콩과 유럽에선 흔하게 볼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땅을 파지 않기 때문에 공사비가 지하철의 6분의1, 경전철의 2분의1 수준이고 전기로 움직여 친환경 교통수단이라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위례신도시 북쪽의 서울 지하철 5호선 마천역과 신도시 남쪽의 우남역(지하철 8호선) 간 5.4㎞를 운행하는 트램을 오는 2021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수원시도 수원역과 화성행궁~야구장~장안구청을 잇는 6㎞ 구간에 트램을 설치하기로 했다. 성남시도 신분당선 판교역~판교테크노밸리(10.38㎞, 성남1호선)와 판교차량기지~판교지구, 정자역(13.70㎞, 성남2호선) 2곳에 트램 건설을 추진한다. .


제주도도 트램 도입을 검토 중이다. 제주시 한라생태숲에서 한라산 성판악 휴게소에 이르는 7㎞ 구간이 대상이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제주도 교통 혁신을 위해 트램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트램 달리려면 갈 길 멀어…경제성 분석도 아직 

하지만 국내에 트램이 도입되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 국내법상 트램은 아직 교통수단으로 분류조차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트램이 교통수단으로 인정받으려면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이 개정돼야 하는데 현재 도로교통법 개정안은 아직 통과되지 않은 상태다. 


트램이 경제성이 있는지도 아직 불확실하다. 트램은 건설비와 운영비가 기존 지하철보단 적게 들지만 국내에 건설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실제 비용이 얼마나 드는 지 구체적으로 추산하기는 어렵다. 거기다 시내버스, 택시 등 기존 교통수단보다 경제적으로 뛰어나다고 보기도 어렵다.


기존 도로에 궤도를 깔아야 하므로 차량 통행 공간이 더 좁아진다는 단점도 있다. 자가용 이용자들이 교통 체증이나 사고를 우려해 반대할 가능성도 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6/2017011602231.html?related_all#csidx44580536d32c1008dca9c9e62ecf0f4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