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모든 공공공사 'BIM 설계 의무화', 업계 '우려반 기대반'

전기설계 업계,

무리한 추진이라는 의견도 있어


건축 토목공사의 BIM 설계에서 기계 전기 소방 통신 분야의 간섭 모니터링은 공정에 중요한 사안이다.


고속도로공사 BIM 설계 사례


[관련기사]

인프라공사의 BIM 정책 및 추진동향

http://conpaper.tistory.com/29233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2016년은 조달청이 발표한 공공건축물에 대한 BIM(빌딩정보모델링) 설계 의무화 시행년도다.


2012년 500억원 이상 공공조달발주에서 BIM설계가 의무화됐고, 내년부터 모든 발주공사를 대상으로 BIM 설계가 적용되는만큼 전기 설계 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엄청나다.


의무화까지 3개월이 채 남지 않은 시점이지만 전기 설계 업계는 우려와 기대 두 의견으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사회 전반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전기계도 서둘러 시행해야 한다는 찬성 진영과 BIM 설계를 위한 제도 마련과 소프트웨어 구축 비용 등 산적한 문제가 많아 무리한 추진이라는 반대 진영이 대립각을 세우며 도입 여부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BIM 설계는 현재 건설은 물론 통신, 소방 등 각 업계에서 사용폭을 넓혀가고 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2018년까지 시장 규모가 3000억원 이상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BIM이 미래 건설 시스템을 혁신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이라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설계자 측면에서 BIM은 소방·기계설비 등과 실시간으로 상충되는 부분을 점검하기 때문에 설계 오류나 누락을 쉽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다. 


유지 관리자는 데이터화 돼 있는 자료를 이용해 설비 교체 시기와 점검 계획을 세울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BIM 설계 도입에 발목을 잡고 있는 부분은 ‘비용’과 ‘제도’다.


BIM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외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 하는데 세트 당 1000만원을 호가하고 있어 중소업체가 감당하기 쉽지 않다.


제도면에서도 정해진 고시 요율표에 따라 대가를 산정하는데, 기존 CAD 설계 대가만 정해져 있을 뿐, 시간과 인력이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BIM 설계를 위한 대가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전기신문 김승교 기자 kimsk@electimes.com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