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자 금융방식 해외건설 수주, 은행 외면에 `발동동'

수출입은행에 문의

'투자 리스크가 커 불가능' 대답

앞으로 시공자 금융 방식 발주 가능성 높아

중국 일본의 자금 공세에 수주 경쟁력 약화 


[참고사진]


출처 매일경제


[관련기사]

절름발이 해외건설…시공은 1류, 금융은 3류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926732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최근 베네수엘라에서 3조원대 정유공장 공사를 수주한 A사는 갑자기 발주처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해줄 금융사를 구해오라'고 요구해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당초 현지 정부가 재정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유가가 급락하면서 발주처가 '돈이 없다'며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A사는 수출입은행에 문의했지만 '투자 리스크가 커 불가능하다'는 대답만 들었다. 


해외건설시장의 패러다임이 시공사가 금융사를 끼고 공사 자금 대출까지 조달해오는 '시공자 금융' 중심으로 바뀌고 있지만 우리나라 건설사들은 여기에서 뒤처지고 있다. 


리스크 부담을 이유로 시공자 금융을 꺼리는 국내 금융사들의 몸사리기 탓에 수주조차 못하거나 울며 겨자 먹기로 중국 등 해외 은행들과 손잡고 공사에 나서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이란 경제제재 해제로 연간 500억달러의 인프라스트럭처 시장이 열릴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나오지만, 대부분의 일거리가 시공자 금융 방식으로 발주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강한 일본과 유럽 경쟁사에 치여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가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시공자 금융 공사 수주는 말 그대로 곤두박질치고 있다. 2012년 10억7300만달러였던 수주 실적은 2013년 109억달러로 '반짝' 늘었지만 지난해 69억400만달러로 1년 새 36%나 줄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8억9100만달러에 그쳤는데, 이런 추세라면 올해 실적은 지난해의 30% 수준까지 급감할 전망이다.



문제는 최근 시장에 나오는 대부분의 해외건설 먹거리는 이 같은 시공자 금융 방식으로 발주된다는 것이다. 시공자 금융은 일반적으로 정부 재원이 취약해 자체적으로 사업을 꾸릴 능력이 없는 개발도상국들이 이용한다. 하지만 최근 저유가 기조가 계속되자 사우디아라비아와 베네수엘라 등 주요 산유국까지 이 같은 시공자 금융 방식으로 사업을 발주하고 있다. 정창구 해건협 금융지원처장은 "건설사가 시공만 맡는 단순 도급 형태의 일거리는 찾아볼 수 없다"며 "지난해 싱가포르에 뺏긴 미얀마 신공항 프로젝트도 모두 시공자 금융 방식으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매일경제[김태성 기자]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