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 모래 찜질은 세균 찜질? Differential Decay of Wastewater Bacteria and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Beach Sand and Seawater Microcosms

바닷물의 100배... 

모래는 바닷물보다 훨씬 더 비위생적



출처 nemopan.com


[관련기사]

해수욕장 모래찜질 하다 배탈 잘나

http://www.nemopan.com/knowledge/1606843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본격적인 휴가철로 접어들면서 연일 바닷가에 피서 인파가 몰리고 있다. 그런데 꿀 같은 휴식을 위해 찾은 휴가지에서 사건·사고를 당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바닷가라면 무엇보다 물놀이 안전수칙에 주의해야 한다. 물뿐만 아니라 모래에서 놀 때도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래는 바닷물보다 훨씬 더 비위생적이다. 


최근 ‘환경과학&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모래야말로 바닷가를 방문한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복병일지 모른다. 바닷물보다 모래에 더 많은 박테리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타오 얀 박사는 미국 건강지 '헬스'와의 인터뷰에서 “바닷가를 즐겨 찾는 사람들은 모래가 오염돼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며 “모래가 바닷물보다 안전하다고 단정 짓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닷물과 모래를 비교 연구한 선행 연구에서 이미 모래가 바닷물보다 지저분하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최소 10배에서 최대 100배까지 더 많은 박테리아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팀은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하와이 해변 3곳에서 바닷물과 모래 샘플을 채취한 다음 실험실 내에 바닷가 축소판을 만들었다. 


그리고 바닷가 축소모형에 살고 있는 박테리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물속에 사는 박테리아보다 모래에 사는 박테리아가 훨씬 더 천천히 부패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것이 모래가 세균의 온상이 되는 이유다. 


그렇다면 이러한 박테리아는 진짜 사람에게 해로울까. 미국 ‘역학저널(Journal Epidemiology)’에 실린 한 논문에 따르면 더러운 모래는 질병을 일으키기 충분한 조건이다. 연구팀이 해변을 찾은 관광객 5000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모래에서 놀거나 모래찜질을 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설사, 구토, 메스꺼움을 비롯해 위장질환을 보일 확률이 높았다. 


물론 이번 실험결과를 해변에서 휴가를 보내선 안 된다는 의미로 확대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만 좀 더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만큼은 명백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주장이다. 바닷가에서 즐겁게 휴가를 보내되 모래를 만진 손으로 음식물을 만진다거나 눈을 비비는 등의 행위를 삼가라는 것이다. 또 바닷가에서 놀고 난 뒤 곧바로 샤워를 하는 습관 역시 중요하다

코메디닷컴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Differential Decay of Wastewater Bacteria and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Beach Sand and Seawater Microcosms


Qian Zhang , Xia He , and Tao Yan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Honolulu, Hawaii 96822, United States


Environ. Sci. Technol., 2015, 49 (14), pp 8531–8540

DOI: 10.1021/acs.est.5b01879

Publication Date (Web): June 30, 2015

Copyright © 2015 American Chemical Society


Laboratory microcosm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cay kinetics of wastewater bacteria and the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beach sand and seawater. Cultivation-based methods showed that common fecal indicator bacteria (FIBs; Escherichia coli, enterococci, and Clostridium perfringens) exhibited biphasic decay patterns in all microcosms. Enterococci and C. perfringens, but not E. coli, showed significantly smaller decay rates in beach sand than in seawater. Cultivation-independent qPCR quantification of 16S rRNA gene also showed significantly slower decrease of total bacterial densities in beach sand than in seawater.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further illustrated that the decreasing relative abundance of wastewater bacteria was contrasted by the increase in indigenous beach sand and seawater microbiota, and the overall microbial community dynamics corresponded well with the decay of individual FIB populations. In summary, the differential decay of wastewater bacteria in beach sand and in seawater provides a kinetic explanation to the often-observed higher abundance of FIBs in beach sand, and the NGS-base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understanding the fate of wastewater bacteria in the context of indigenous microbial communities in natural environments.

http://pubs.acs.org/doi/abs/10.1021/acs.est.5b01879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