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축서비스산업, 9,745개 업체 ·종사자만 6만명
건축서비스산업 실태조사안
산업규모 크지만 소규모 업체 많아
대표적 건축서비스업 건축설계. 출처 v3wall.com/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우리나라 건축 서비스산업 사업체는 모두 9,745개이며, 종사자 수는 6만 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매출액은 5조 5천억 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10위지만, 단위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0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건축서비스산업 진흥을 위한 기초통계를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건축서비스산업 실태조사 안을 이 같이 발표하고, 관계부처, 관련협회, 건축 관계자 등의 진위 확인을 거쳐 7월말 조사 결과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건축서비스산업의 정의(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제2조) 건축서비스 : 건축물과 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요구되는 연구, 조사, 자문, 지도, 기획, 계획, 분석, 개발, 설계, 감리, 안전성 검토, 건설관리, 유지관리, 감정 등의 행위 건축서비스산업 : 건축서비스 활동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동 조사는 2014년 6월 시행된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제정 ’13.6.4)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금번 실태조사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2013년 기준, 국내 건축서비스산업* 및 유관산업**의 사업체는 총 17,705개(건축 9,745, 유관 7,960), 종사자수는 17만 6천 명(건축 6만, 유관 11.6만), 총 매출액은 19조 6천억 원(건축 5.5조, 유관 14.1조)이며, 매출액의 경우 건설 산업(216조)의 1/11 수준이다. * 건축설계 및 관련 서비스업, 도시계획 및 조경설계 서비스업 ** 건물 및 토목엔지니어링 서비스업,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인테리어 디자인업 지역별 산업 규모 조사 결과 서울과 경기의 사업체수는 전체 산업의 49.5%, 종사자수는 62.9%, 매출액은 69.6%를 차지하여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된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OECD국가 28개국과 우리나라 건축서비스산업 및 유관산업의 규모를 비교해 보면, 매출액은 10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는 각각 9위이지만, 단위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0위권*으로 조사되어, 산업 전체의 매출액 및 종사자 수는 어느 정도 갖추었으나, 소규모 업체가 많아 이에 대한 육성 기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한국의 건축서비스산업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32백만$로 OECD 국가(사업체당 3.69백만$)의 63% 수준 ③ 건축서비스산업 사업체 직원의 연령별 분포는 40대(32.5%) > 30대(31.2%) > 50대(17.2%) > 20대(13.0%)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근속기간은 6.5년으로 나타났다. 향후 2년 인원충원 계획은 ‘현재 인원 유지 예정’이라는 응답이 67.7%로 가장 높았고, ‘충원 예정‘은 28.4%로 나타났으며, 신규인원 충원계획이 없는 주요이유(중복응답)로는 ‘임금 등 근로조건 미충족’ (40.6%)가 가장 많았고, ‘업체가 요구하는 경력·자격·학력 지원자 부재’ (34.1%)가 그 뒤를 이었다. 저조한 인원충원 계획에 따라 향후 건축서비스산업 시장의 고용문제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신규 건축 시장을 발굴하고, 실무중심의 대학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④ 국제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건축서비스산업 사업체는 전체의 22.1%로 나타났으나, 실제로 국제사업 수행 경험이 있는 사업체는 전체의 2.5%, 계약건수는 총 831건에 그쳐, 해외시장의 발주 정보 제공, 고급 인력 육성 등 건축서비스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⑤ 건축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 실시율은 외부교육 36.9%, 사내교육 51.8%로 나타났으며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IM, GIS 등 정보기술을 도입, 적용한 업체는 전체의 9.6%이며, 업체 규모가 클수록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원교육 및 정보기술의 이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소규모 업체에 대한 교육 및 기술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⑥ 건축서비스산업 육성, 발전 장애요인(중복응답)으로는 ‘낮은 설계단가 및 용역비’(76.6%), ‘건설경기 침체’(60.9%)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건축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필요 정책으로는 ‘공정한 계약체계의 성립’ 33.3%, ‘소규모 신진업체 육성기반마련’ 24.4%, ‘건축문화에 대한 인식 전환’ 18.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 및 관련 보고서를 통해 국내 건축서비스산업의 현 위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건축서비스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건강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국토부 |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