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교통 환경 대응 '초소형 전기차(Micro-모빌리티) 개발' 박차

3·4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 및 산업생태계 구축 활발


4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 디자인 

산업부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산업통상자원부가 빠르게 다가오는 거대 도시화,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 등 미래 교통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초소형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작년부터 4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3년, 70억 원)을 착수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은 현재 의장등록이 완료된 상태로, ‘17년에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 4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 디자인 >

아울러 중소·중견기업에게 보다 다양한 초소형 전기차 개발 기회의 제공 필요성에 따라 올해는 3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2년, 50억 원)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한국형 초소형 전기차가 ‘17년에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 도요타는 3륜 초소형 전기차 i-ROAD의 본격적인 실용화를 위해, ‘15년 7월부터 1년간 도쿄 도심 프로젝트’를 진행 예정


< 사업 개요 >

사업명: 디자인 융합 초소형 전기차(Micro-모빌리티) 신산업 생태계 구축

사업내용: 3·4륜 Micro-모빌리티 개발, 평가·인증기반 구축(센터구축 및 평가 장비 등 중소·중견기업 지원 인프라), 법제도 개선안 도출

주체: (기술개발) 중소·중견기업, 비영리 연구소, 대학 등, (기반구축) 자동차부품연구원 및 지자체(전남+영광군), 한국교통연구원

사업규모: ’14∼’16(3년), 국비 280억 원 / 지자체 120억 원

 

초소형 전기차의 특징은 엔진기반 차량 대비 저가(1천만 원 이하)이고, 근거리 이동수단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해 장애인, 여성,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맞춤형 차량 개발이 가능하다.


* 현재, 노인 및 장애인 등 이동취약자를 위한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는 차실이 없어 궂은 날씨에 매우 취약하며, 별도의 차로가 정의되어 있지 않아 일반차량과 함께 위험한 주행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임


또한, 전기차 보급의 문제점인 전기차 충전소 구축에도 보다 자유로워 저용량 배터리, 홈 충전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여 친환경차 보급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초소형 전기차는 일반전압 완속 충전기로 충전시간이 1~3.5시간으로, 일반 충전 스탠드만으로도 보급 활성화가 가능


더불어 완성차 업체의 고유 작업으로 생각되는 창의적인 모델 디자인 분야에서도 중소·중견기업이 직접 참여·개발할 수 있어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새로운 산업 생태계도 기대하고 있다.


초소형 전기차의 선진 개발국인 유럽과 일본은 법적 준비를 마치고 차공유(카쉐어링) 서비스, 실증사업 등 실제 도로에서 운행되고 있다.


* (일본) 경차-이륜차 사이에 새로운 등급을 정의하고, 지역별로 7년 이상 실증 중

* (유럽연합(EU)) 기존 법체계에 존재하는 사륜차(L-category(Quadricycle))로 분류→정식 번호판 발급


그러나 우리나라는 초소형 전기차의 개념정의가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자동차관리법상 승용차와 이륜차 등 어디에도 속하지 않아 도로 주행이 불가한 상태이다.


* 자동차로 분류되면 안전기준 충족여부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고, 현재 이륜차 기준으로 분류도 불가능


산업부는 초소형 전기차 개발과 더불어 법·제도 개선을 위해 초소형 전기차의 법적정의와 안전규정, 그리고 보조금 등 지원제도를 산·학·연·관 전문위원회를 통해 검토 연구하여 효율적 방안을 찾고 있다.


자동차의 안전규정을 모두 적용할 경우 초소형 전기차가 가지는 장점을 모두 잃게 되며, 반대의 경우는 저품질, 저가형 모델의 시장 난입으로 탑승자 안전과 권익을 해칠 수 있어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으로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합리적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초소형 전기차 개발이 포화상태인 자동차 산업의 미래 신시장으로 전망하고, 전기차 시대와 도심 속 수송분야(1~2인용) 틈새시장*의 한 축의 역할을 기대하며, 관련 연구개발과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 반복적 근거리 이동(배달 등), 대중교통 연계(환승주차장 이용), 나홀로차량 대체(근거리 출·퇴근) 등에 보다 효율적인 새로운 이동수단 수요 급부상

산업부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