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君子)와 소인(小人)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중국 당나라의 화가 오도자가 그린 공자 초상 wiki

 

 

 

동양철학의 묘미는 음미할수록 깊은 맛을 느끼게 해줍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 조선시대에 큰 비중을 지녔던 유교철학은 공자의 『논어』를 통해 그 맛의 진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대체로 『논어』는 군자와 소인을 대비하여 소인에서 벗어나 군자의 인격과 지혜, 그 인격과 지혜를 구체적인 행위로 실천만 한다면 올바른 세상이 되어지고, 공자가 원하던 요순시대가 도래한다고 믿었습니다.

 

“군자는 화(和)하지만 동(同)하지는 않은데 소인은 동하면서도 화하지는 못한다”(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군자는 태(泰)하지만 교(驕)하지 않으나, 소인은 교하지만 태하지는 못한다”(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 “군자는 주도면밀하지만 힘으로 결합하지 않으나, 소인은 여러 사람이 힘으로 결탁하지만 주도면밀한 사귐을 이루지 못한다”(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라는 내용들이 바로 군자와 소인의 차이를 명쾌하게 대비해놓은 대목들입니다.

‘주이불비’와 ‘비이불주’에 대하여 『논어고금주』에서 다산의 해석은 정쟁과 당파싸움의 해독이 얼마나 크고 무서운 것인가를 제대로 알게 해줍니다.

 

다산은 주(周)를 밀(密)로 해석하여 주밀, 주도면밀, 즉 빈틈없이 친밀하고 밀접하게 가까운 사이로 해석하고, 비(比)는 병( )으로 해석해 어깨를 맞대고 친한 척하면서 나란히 함께한다는 뜻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면서 주밀(周密)은 마음으로 가까움을 말하고 비병(比 )은 힘을 과시해보이려 외형으로 가까운 척 한다는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그러한 풀이를 한 다음에 다산은 군자와 소인에 대한 결론을 내립니다. “군자는 덕(德)을 함께하는 사람이 있어 항상 마음으로 친밀하게 지내기에 세력으로 결탁하는 일이 없으나, 소인은 세력과 이익으로 사귀니 언제나 힘으로 어울려 당파를 만들지 마음과 의리로 친분을 굳게 하지 못한다”(君子有同德之人 未嘗不以心親密 而不以勢力相結 小人有勢利之交 未嘗不竝力樹黨 而不以心義相固)라는 주장입니다.

 

덕을 함께하는 군자들이 마음으로 친밀하게 모여 나라를 이끄는 정당은 없을까요. 세력과 이익에만 치우쳐 마음과 의리로는 굳어지지 않는 소인들의 정당만 판치는 우리들의 세상은 언제쯤 희망이 보일까요. 200년 전에 오늘의 당파싸움을 예리하게 진단해낸 다산의 혜안이 무섭기만 합니다.

박석무 

 

Arts & Culture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