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이라크 정정 불안 건설업체 '좌불안석', 공사 지체 보상금 물어야 할 판
국내 건설사 20곳, 이라크서 240억달러 규모 공사
초기 단계 현장,
기성금 수령 지연에 따른 매출 손실 우려
발주처 갑질에 지체보상금 납부 요구받을 수도
IS의 이라크 공략 루트, 출처 dailymail
어제 미국 전투기가 시리아 가스시설을 폭격하고 있다. 출처 dailymail
kcontents
내전이 발생한 리비아와 이라크의 정정불안이 계속되자 이들 지역에 진출한 건설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현지에 파견된 인력을 철수해 내전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공사를 신속히 재개하지 못하면 지체보상금을 물어내야 하는 입장에 처할 수 있어서다.
국내 업체들이 담당하고 있는 현장 상당수가 공정률 80% 이상을 기록하고 있어 당장 기성 공사비 미수령에 따른 손실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전이 장기화되면 공사 초기 단계의 사업장에서 공사비 수령이 늦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업체들도 이들 지역의 정국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내전이 격화되고 있는 리비아에서는 33개의 국내기업이 공사 14건을 진행하고 있다. 이라크에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한화건설 등 26개 건설기업이 진출해있다.
이들 업체 중 리비아에 가장 많은 현장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대우건설이다. 대우건설은 이들 지역에서 총 5건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중 리비아 즈위티나 발전소 공사는 현재 공정률이 30%가량 진행된 초기 사업장으로 5곳 현장의 계약금액을 모두 더하면 총 20억4500만 달러에 달한다.
대우건설은 아직까지 이들 사업에 대한 공사를 재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전투기가 리비아 벵가지 이슬람 무장 세력에 대한 폭격을 감행하는 등 내전이 격화되고 있어 공사재개 시점도 가늠하기 힘든 실정이다. 업계는 즈위티나 발전소와 관련된 기성금과 나머지 현장에 대한 잔금 수령이 늦어지면 대우건설이 2000억원 이상의 매출 손실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리비아에서 알 칼리즈 화력발전소, 트리폴리 화력발전소 등 4개 현장을 보유하고 있는 현대건설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현대건설은 리비아에서 내전이 발생하자 지난 8월 내·외국인 직원 1300여명을 철수시킨 바 있다.
현대건설은 리비아에서 진행하고 있는 공사 대부분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기성금 미수령에 따른 매출손실은 거의 없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공사지연에 따른 지체보상금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체보상금이란 약속한 공사기간을 지키지 못했을 경우 발주처에게 벌금성격으로 납부하는 돈을 말한다. 금액은 계약서에 정해진 기준금액에 지체 날짜수를 곱해 계산되며 보통 계약금액의 0.1%가 기준이 된다.
현대건설이 리비아에서 담당하고 있는 알 칼리즈 발전소와 아즈다비야 송전시설 건설 공사는 각각 7억 달러, 1억3000만 달러 짜리 사업이다. 공사가 한 달 지연됐다는 가정 아래 발주처가 공사 지연의 책임을 물어 지체보상금을 요구하면 2490만 달러의 금액을 물어내야 하는 식이다.
보통 정국불안을 이유로 공사가 지연되면 현지 발주처가 이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 게 일반적이지만 리비아에서는 발주처 일부가 내전으로 현장을 철수한데 따른 공기 지연 피해를 건설기업에게 부담하도록 한 전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같은 우려에 대해 "내전에 따른 공사 지연은 리비아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면서 "간혹 발주처가 이른바 갑질을 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체보상금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라크는 국내 업체들이 담당하고 있는 현장 대부분이 수도인 바그다드 아래 남부에 위치하고 있어 아직까지 공사가 중단되는 등의 직접적인 피해는 없다. 다만 내전 사태가 6개월 이상 장기화되면 기성금 수령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국내업체들의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은 있다.
현재 국내 건설기업들이 이라크 현지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곳은 한화건설의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현장을 포함해 총 6건이다. 공사금액은 99억 달러 정도로 국내 업체들이 수주해 설계단계에 접어든 현장도 3곳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건설이 이라크 국가투자위원회로부터 4차 선수금을 수령하는 등 아직까지 별다른 이상 징후가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은 다행스럽다"면서도 "하지만 내전이 1년 이상 이어지면 돌발 변수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과거 이라크 걸프전이 발생했을 때 고속도로와 발전소 등 인프라 공사를 수행했던 현대건설이 받아야할 공사대금을 6년간 나눠 겨우 수령한 전례가 있다"며 "이 정도까지 사태가 악화되지는 않겠지만 정정불안이 장기화되면 건설업체들의 매출손실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www.news1.kr/articles/?1907190 |
Construction News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