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는 '주5일 근무제' 언제쯤 정착되나
사업장 전면시행 3년 지났지만 정착 안돼
대다수 발주기관 공사기간 6일 기준 산정
주5일(40시간) 근무제가 모든 사업장으로 전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건설업계에는 제대로 정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해진 공사기간(공기) 내에 공사를 완료해야 하는 건설공사 준공의 특수성 때문도 있지만 각 기관 및 지자체 등 발주기관의 무관심도 한몫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대한건설협회 전북도회에 따르면 대한건설협회는 최근 각 지회의 의견수렴을 거쳐 정부와 지자체, 공기업 등 주요 발주기관에 “주5일 근무제를 고려해 공사기간을 산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주5일제 전면 시행으로 5일 근무를 희망하는 건설노동자들이 늘고 있지만 실제 발주처에서는 주6일을 기준으로 공사기간과 예산 등을 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관행에 따라 주5일 근무제를 무시하고 공사기간을 산정하거나 합리적인 공사기간 산정 없이 준공일자를 미리 결정해 시공을 원하는 대다수 발주기관의 요청에 주5일제의 취지가 ‘유야무야’되고 있다는 것이다.
건설사들은 건설 노동자들의 5일 근무로 공기 연장이 불가피 할 경우 주말 작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노무비나 자재, 식비 등 잡비에 대한 추가 지출이 불가피하다.
추가 근무에 대한 비용 절감을 위해 값싼 자재 사용 등의 부작용을 양산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욱이 휴일 없이 작업하는 경우 피로 누적과 집중력 저하로 안전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으며, 건설사의 인력난 등의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건설근로자의 근로환경이 개선되지 못하면서 청년층의 건설현장 구직 기피에 따른 건설 기능 인력의 만성 부족도 초래돼 주5일 근무제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수도권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노조가 주5일 근무제 적용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발주기관과 건설업체 사이의 보이지 않는 갈등도 산재하고 있다는 게 대한건설협회의 설명이다.
건설협회 전북도회 관계자는 “표준화된 단순작업을 하는 제조업의 경우 3교대로 주40시간을 맞출 수 있지만 건설기능공은 불가능하다”며 “건설 노동자들이 대부분 주5일 근무를 요구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공기를 맞추기 위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일보 이강모 | kangmo@jjan.kr |
Construction News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