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이후 건설업계 부실 본격화"
채무상환 어려운 ‘한계기업’
한계기업, 전체의 18.7%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서 많이 늘어
6 19 부동산대책사진 확대
내년 이후 건설업계 부실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왔다. 건설기업 5곳 중 2곳은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이하 모두 외감기업 기준)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3/11/28/4XIHGDFUE5ARVHDRWSSCABTNL4
edited by kcontents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 5.6배로 하락한 후 오름세를 지속해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다. 그러나, 지난해 급락하면서 최근 5년 동안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감안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하며,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본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기업을 ‘취약기업’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이 배율이 1 미만인 건설기업, 즉 잠재적 부실기업은 929곳으로, 건설업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전체 산업 평균인 36.4%보다도 컸다.
한국은행 등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곳으로, 이는 전체(최근 3년간 재무 자료가 존재하는 건설 외감기업 기준)의 18.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건설기업 중 한계기업의 비율은 2020년 15.8%(305곳), 2021년 17.3%(349곳)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소기업은 급증세를 보였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중소기업은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에는 333곳으로 매년 큰 폭 증가했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평균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은 4.5%로 전년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건설업계 영업이익률은 2018년 6.2%에서 2019년 5.6%로 내렸다 재차 상승해 2021까지는 6%대를 지켜냈으나 지난해 급락했다.
순이익률도 2021년 4.9%에서 지난해 3.6%로 하락해 전반적인 수익성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같은 기간 건설업계의 부채비율은 144.6%로 전년(133.5%)보다 11%포인트 넘게 상승했다.
건설 외감기업 이자보상책임 1미만 업체 및 비중 동향.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18년 132.8%였던 부채비율은 2019∼2020년 120%대로 떨어졌으나, 지난해에는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건설기업들은 코로나19 시기 저금리 기조에 따라 투자와 부채를 늘려왔다. 그런데 작년부터 잇다른 기준금리 인상과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늘면서 부실 위험이 커졌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건설 자잿값까지 치솟으면서 수익성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와 건설 원가 상승 영향으로 올해 건설업의 부실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 현실화와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 ·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 부도와 흑자도산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었다.
조성신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