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제 '건설 고부가가치' 외치나
장사 잘되면 안주하고
안되면 고부가가치 찾고...건설업계 반성해야
세계 건설 경쟁력 거의 변화 없어
정부도 건설정책에 큰 책임
CM, 감리 , 설계 등 고부가가치 분야 제고
중장기 선진 건설한국 만들어야
(편집자주)
해외 건설, 이제 고부가가치화를 외칠 때
경제 성장동력 제고를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해외 인프라 수주 전략이 주목된다. 1970~1980년대 이후 해외 건설은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을 뒷받침한 전략산업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물론 저가 수주 경쟁, 저유가로 인한 중동 발주 물량의 감소 등을 경험하면서 여러 부침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지난해 해외 건설 수주액(310억달러)은 상위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 철강제품(384억달러, 6위), 자동차부품(233억달러, 7위) 등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하지만 글로벌 인프라 협력뿐 아니라 발주 방식과 친환경 분야의 성장 등 해외 건설 시장의 변화는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전문화되고 있다. 지난해 6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는 중·저소득 국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인프라·투자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향후 2027년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투자재원을 6000억달러까지 모집하는 목표를 수립했다. 다자간 인프라 협력체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해외 건설을 둘러싼 발주 방식의 패러다임 변화도 눈에 띈다. 시공(EPC)과 금융주선형(Financing)이 결합한 투자 개발형 사업 발주가 늘고 있다. 이는 발주국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 부담 완화 측면뿐만 아니라 건설 기업들이 단순 도급공사의 2~3배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영역으로의 사업 확장과 맞닿아 있다.
인프라 조성에 필요한 신흥국 중심의 투자 수요 확대도 기회 요인이다. 관련 인프라 수요는 2016년부터 2040년까지 연평균 3조8000억달러에 달한다. 이에 따라 투자 개발형 사업의 시장 규모도 2005년 463억달러에서 2021년 752억달러(WB)까지 1.6배 이상 확대됐다.
"계절 영향 받는 건설산업엔 '근로시간 유연제' 필수"
edited by kcontents
또 탄소중립 기조 확산 속 디지털 및 친환경 이슈 등이 부각하면서 건설 시장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각국은 기후변화 대응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시티 건설에 힘을 쏟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인도네시아 신수도 개발 계획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초고속 정보통신망, 도시통합 운영센터 등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고 아시아 및 중동 시장에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점은 분명 긍정적이다.
하지만 우리 해외 건설 사업을 둘러싼 환경이 장밋빛만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투자 개발사업의 후발주자로서 실적(track record) 부족으로 시장 접근에 한계가 있다. 발주국의 국가 리스크, 사업 개발의 장기화, 무배당 구간의 지속 등은 기업들의 투자 의지를 약화시키는 요소다.
이에 우리 기업의 해외 투자 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사업 발굴 및 개발에 있어 인프라 분야 정부 간 협상(G2G) 지원뿐 아니라 민간 인프라 금융의 선순환 체계 구축에 전후방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미래 세대를 위한 중장기 투자라는 측면에서 KIND의 자본금 확충도 필요할 것이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밀턴 프리드먼은 "위기만이 진정한 변화를 만들어낸다"고 했다. 경기 불황 속 투자 개발형 사업을 중심으로 해외 건설이 세계 4대 강국 진입, 연 500억달러 수주 달성을 통해 미래를 선도할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기를 기대해본다.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
매일경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