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신재생 프로젝트와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VIDEO: Kuwait Plans Tender for $1.2 Billion Solar Project in 2018


쿠웨이트 신재생 프로젝트와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방재희 쿠웨이트 쿠웨이트무역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금년 말부터 입찰 시작 


한국 아직 기술력 인정 못 받아


시범 프로젝트 통해 발주처에 

한국 기술력 선보이는 방안 고려해야 



The tender for the $1.2 billion Dibdibah solar power plant will be issu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Image: James Patterson/Wikipedia/pv-magazine.com




Kuwait Plans Tender for $1.2 Billion Solar Project in 2018

http://news.kuwaittimes.net/website/coal-dependent-poland-shifts-on-wind-ahead-of-climate-meeting


1.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태양광 패널

HS Code: 854140


2. 시장규모 및 동향


시장규모

BMI 보고서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려는 쿠웨이트 정부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은 2018년 약 0.076TWh에서 향후 5년간 122% 증가할 것으로 예측


쿠웨이트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 (단위: TWh)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0.076

0.164

0.165

0.166

0.166

0.169

자료원: BMI research


쿠웨이트 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진행으로 외국인 인구가 크게 증가했고, 온난화 현상으로 고온 건조한 기후가 예년보다 길어지며 전력 소비량이 급증했음.


전력 소비를 감당하기 위해 쿠웨이트 수전력청(MEW,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은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율을 늘리고자 함. 국가개발계획 New Kuwait 2035 내에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 확대를 국책 과제로 제시하며 복합전력발전소를 건설을 추진 중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 활용 방안이 쿠웨이트 기후에 적합해 쿠웨이트 내 진행되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들은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


쿠웨이트 정부는 앞으로 진행될 대규모 신도시 프로젝트에서 친환경 건물을 조성할 계획임. 탄소를 적게 배출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주택을 건설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을 건물 외벽이나 지붕에 설치할 전망


The National




3. 수입동향

2017년 태양광 패널 수입액은 609만 달러로, 전년대비 129% 증가

쿠웨이트 내 태양광 패널 생산시설이 전무해 필요 물량 전부를 수입하고 있음.


최근 3년간 쿠웨이트의 태양광 패널 수입액 변동폭이 매우 큰 편임. 쿠웨이트의 태양광 패널 수입액은 정부 주도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큼.


대규모 태양광 복합발전단지를 건설하는 Shagaya 프로젝트 중 1단계가 2015년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수입액 급증


2017년 쿠웨이트는 총 26개국에서 태양광 패널 수입

쿠웨이트의 주요 태양광 패널 수입국은 미국, 독일, UAE, 중국 등임.


2015년 중국산 제품의 쿠웨이트 수입 시장점유율은 63%, 2016년에는 51%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음. 하지만 미국산 수입액이 급증하면서 중국의 시장점유율이 하락했고 독일, UAE, 사이프러스 등으로 수입 국가 다양화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한국은 쿠웨이트의 8대 태양광 패널 수입국으로, 2014년 약 200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체 시장점유율 30%를 기록했으나, 이후 수입액이 급감 추세를 보이다가 2017년 전년대비 47% 증가하며 약간의 회복세를 보임.


    쿠웨이트 태양광 패널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54140)(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5년

2016년

2017년

증감률

-

총계

16,140

2,664

6,088

128.5

1

미국

1,488

125

2,316

1,752.8

2

독일

352

178

888

398.9

3

UAE

39

5

860

17,100

4

중국

10,199

1,372

791

-42.3

5

네덜란드

164

53

402

658.5

6

사이프러스

0

0

224

N.A

7

이탈리아

119

148

157

6.1

8

한국

108

105

154

46.7

9

싱가포르

140

0

72

N.A

10

영국

113

2

72

3,500

자료원: Trade Map('18.11.13.)




4. 경쟁 동향, 관세율 및 인증


경쟁 동향

현지 바이어 Green Enviornment for Gen. Trad. Co.의 CEO인 Mr.Salah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산업 초기 현지 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 제품을 수입해 중국산 제품이 시장을 독점했음.


중국산 태양광 패널 설치 후 고장이 잦고 사후관리 용이성이 떨어져 가격은 높지만 품질이 보증된 미국과 유럽산 태양열 패널을 수입하며 수입처가 다변화되고 있음.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은 좋으나 가격이 높은 것이 단점이라고 언급


중국 업체 Jinko Solar는 태양광 복합발전단지 Shagaya 프로젝트 1단계 중 PV Solar사업(10MW)을 수주한 스페인 업체 ISK Electronica에 5MW의 태양열 패널을 공급한 바가 있음. 현지에서 인지도가 높은 독일 업체 SMA는 UAE에 지사를 설립하며 중동 진출을 본격화함.




이외에도 세계 각국의 중소 태양광 패널기업들이 쿠웨이트에 진출하며 경쟁이 심화될 전망

쿠웨이트 정부는 수입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해서 0%의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태양광 패널에 대한 규제는 따로 마련되지 않음.


CE인증 보유한 제품이 쿠웨이트 시장진출 유리

CE인증이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쿠웨이트 현지 태양광 패널 에이전트들은 품질에 대한 보증으로 CE인증을 보유한 제품을 선호하므로, 관련 인증을 취득하는 것을 권장함.


정부 주도 프로젝트에 참여를 희망하는 한국 업체는 우선적으로 프로젝트 발주처에 벤더등록을 진행해야 함. CE인증을 보유하지 않은 업체는 발주처등록이 불가함.




5. 유통구조


유통채널

국내 제조사 → 로컬 컨트랙터∙에이전트 → (벤더등록) 공공 프로젝트 발주처

국내 제조사 → 로컬 컨트랙터∙에이전트 → 현지 건축업체 및 기자재 생산업체

국내 제조사 → 현지 건축업체 및 건설 기자재 생산업체


6. 시사점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추진에 따라 태양광 프로젝트 입찰이 줄줄이 예정돼 있어, 태양광 패널 수요 증가 전망


쿠웨이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를 위해 국책사업으로 태양열 발전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Shagaya 1단계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올해 말부터 순차적으로 프로젝트 입찰이 추진되며, 차후 태양광 패널 제품 수요가 증가할 전망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쿠웨이트 수전력청과 쿠웨이트 과학 연구원(KISR, Kuwait Institute for Scientific Research)에서 공동으로 발주했으나, 최근에는 발주처가 쿠웨이트 국영원유사(KOC), 쿠웨이트 국영 정유사(KNPC) 등으로 다양화


  GCC Solar Equipment Market (2016-2022) graph/6Wresearch

  edited by kcontents




쿠웨이트 프로젝트 수주 환경 변화로, 새로운 쿠웨이트 진출방안 모색

쿠웨이트 공공 분야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한국 업체가 발주처에 벤더등록을 진행해야 하며, 중동 지역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레퍼런스가 벤더등록 필수조건임.


최근 중국, 인도, 터키 업체가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저가 덤핑 입찰을 진행하며, 프로젝트 수주업체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음. 더불어 쿠웨이트 내에서도 프로젝트 수주기업의 대금결제 외주비에 대해 엄격히 심사하는 방향으로 규정이 변경되며, 한국 기업들이 현재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도 추가 손실의 위험이 높아졌음. 차후 프로젝트를 수주한다고 해도 프로젝트 수익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워짐.


중동 지역 수출 레퍼런스가 미비한 한국 기업은 재래식의 방식인 발주처 벤더등록-입찰-수주의 형태보다, 시범 프로젝트를 현지 발주처에 제안해 한국 기업의 기술력과 제품 스펙을 선보이는 것이 유리함.




시범 프로젝트(Pilot Project)를 통해 발주처에 한국 기업만의 특화된 기술 소개하는 것이 필요  

일사량이 높은 쿠웨이트 기후는 태양광 발전에 적합하나, 사막에서 불어오는 모래 먼지로 인해 태양광 패널의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태양광 발전에 대한 축적된 데이터가 부족한 쿠웨이트 정부 발주처는 외국 기업과 협력해 태양광 시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선호함. 태양광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메인 프로젝트 요구 사양을 작성 가능하기 때문임.


관련 외국 기업의 투자를 통해 시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은 업체 측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현지 태양광 발전의 잠재성을 고려해 볼 때 쿠웨이트 시범 프로젝트는 극한 기후에서 제품의 품질과 효율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임.


프로젝트 결과가 성공적일 경우 발주처 측에서 차후 대형 태양광 프로젝트의 사양서에 한국 기업 제품의 데이터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품 공급이 용이해짐. 한국 기업은 시범 프로젝트를 통한 쿠웨이트 진출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한국 S사의 태양광 모듈

자료원: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보유 자료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프로젝트, 관련 동향 주시 필수

쿠웨이트에서 진행되는 태양광 프로젝트는 대부분 정부 주도로 진행되고 있어 현지 정세에 따라 진행 변동 가능성이 높아 관련 동향을 주시해야 함.

코트라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