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건설중단·LNG발전소 전환땐..." 7조원 전력비 추가 부담해야"
文정부 에너지전환 정책 대응방안 토론회
신고리·火電 건설땐 3조6,000억으로 줄어
신재생 발전단가 하락 이끄는 정책 필요
문재인 정부 에너지 정책대로 원자력·석탄 발전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늘리면 2030년 우리나라가 부담해야 할 전력비용이 수조원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현장. 출처 한국일보
edited by kcontents
허돈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는 28일 전력산업연구회와 대한전기학회가 주최한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전력분야 대응방안 대토론회’에서 에너지 정책이 전환되면 2030년 전체 전력구입단가가 약 3조 6,000억원에서 최대 7조원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 교수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와 공정률이 낮은 석탄화력발전소 9기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전환 여부를 변수로 4가지 시나리오를 짰다. 4개 시나리오 모두 2030년까지 신재생 비중 20% 증가, 노후석탄 10기 조기 폐지, 수명종료 원전 폐지, 계획 중인 원전 6기 취소를 가정했다. 원전과 석탄발전소 연료비는 최근 3년 평균 정산단가를 적용했다. 신재생에너지는 기술이 발전하며 앞으로 단가가 40% 떨어질 것으로 가정했다.
허 교수는 신고리 5·6호기와 석탄발전소 9기를 모두 건설한다면 2030년 전력구입단가는 6.9% 상승해 총 전력구입비가 3조 6,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중단하고 석탄발전소 9기를 모두 LNG 발전소로 전환하면 2030년 전력구입단가는 13.4% 오르면서 총 전력구입비는 약 7조원 증가할 것으로 계산됐다.
허 교수는 “신재생 발전단가 하락 전제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발생한다”며 “신재생 단가하락을 이끄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분석방법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력비용 영향을 단정적인 숫자로 평가하기보다 불확실성을 고려한 범위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미래 전력비용은 전원 구성(발전소 종류 및 비중), 건설비, 연료 가격, 연료 세제, 물가상승, 환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허 교수는 전원구성 변화에 따른 영향만 분석했다. 사고 위험이나 환경 오염 등 사회적 비용과 송배전 설치 배용 등 변수는 분석에 반영되지 않았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서울경제
케이콘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