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급한 탈원전 안된다"..."세계 최고의 환경전문가들, 문에 성명서한" South Korea Letter


‘환경의 전진(Environmental Progress)’ 소속 전문가 27명

우려 담긴 공개서한 보내

"한국이 원전 포기하면 중국·러시아가 세계시장 독식"


   국내 주요 공과대학 교수들에 이어 해외 전문가그룹도 한국의 ‘탈(脫)원전’에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미국 등 해외 저명 환경론자와 기후변화 연구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그룹은 한국의 성급한 탈원전 정책이 자칫 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높여 기후 변화에 대한 지구적 대응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012

South Korea Letter

http://conpaper.tistory.com/54350

edited by kcontents


5일 관련 학계에 따르면 미국 환경단체인 ‘환경의 전진(Environmental Progress)’ 소속 전문가 27명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 앞으로 한국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우려를 담은 공개서한을 보냈다.


서명에는 마이클 셸렌버거 환경의 전진 대표를 비롯해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UC버클리, 컬럼비아대 등 미국 주요 대학 교수와 연구원들이 대거 참여했다. 인도와 홍콩 등 아시아 지역 전문가들도 포함됐다.


서명에 동참한 케리 이매뉴얼 매사추세츠공과대(MIT) 기상학과 교수는 기후 변화 연구 권위자로 2006년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0대 영향력 있는 인물’에 꼽혔다. 1986년 퓰리처상(논픽션 부문)을 받은 미국 역사가이자 작가인 리처드 로즈도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서한에서 “한국의 원전 퇴출 정책이 기후 및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할 것을 촉구한다”며 “문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전문가들과 이 문제를 충분히 숙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5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사진)을 보낸 미국의 환경단체인 ‘환경의 전진(Environmental Progress)’ 소속 전문가 27명은 한국의 ‘탈(脫)원전’은 세계 원자력산업에 커다란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서명에 동참한 해외 전문가들은 “지난 20년간 한국은 안전하고 저렴한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며 “한국은 원전 건설 비용이 갈수록 줄어든 유일한 국가”라고 평가했다. 나아가 “한국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건설을 통해 해외에서도 저렴하고 효율적인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서한에는 세계 원전시장에서 한국이 이탈하는 것에 대한 서방세계의 우려도 녹아 있었다. 전문가들은 “프랑스의 아레바, 일본과 미국 웨스팅하우스 등의 실패를 감안하면 한국의 원자력산업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한국이 원전산업을 포기한다면 러시아와 중국만이 신규 원전 건설을 놓고 경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문 대통령이 천명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태양광 및 풍력 발전에 적합하지 않은 한국의 기후와 좁은 국토 등을 거론하며 “한국에서 태양광과 풍력은 원전의 대안이 결코 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이들은 “한국의 모든 원전을 태양광으로 대체하려면 서울의 5배 면적의 국토가 태양광발전소로 뒤덮여야 한다”며 “풍력으로 할 경우 그 면적은 서울의 14.5배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개서한 참여 27명의 세계 환경전문가 명단 source environmentalprogress

edited by kcontents


한국의 원전은 결국 화석연료를 쓰는 석탄화력과 액화천연가스(LNG) 등으로 대체될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서한에서 전문가들은 “한국의 원전이 화석연료 발전소로 대체되면 독일과 미국 캘리포니아, 일본처럼 다량의 온실가스 배출에 직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한은 “지구는 활기찬 한국의 원자력산업을 필요로 한다”며 “원전산업의 강력한 동맹국이자 챔피언인 한국이 원전을 포기한다면 세계는 빈곤에서 인류를 구하고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소중한 에너지원을 잃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한국경제

케이콘텐츠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