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부실시공 현장


#1 피트 오배수관 구배 시공하지 않아  하자 발생 시공사 책임져야

역류현상 발생

부실시공으로 사용검사 후 하자…시공사가 책임져야

서울중앙지법

 

  아파트에서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하수 역류사고. 이에 따른 책임소재 공방이 법정에서 치열하게 벌어졌다. 초고층아파트인 부산 해운대구의 B아파트의 경우 시공상 하자에 해당, 사업주체인 시공사에 그 책임이 있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참고자료]  피트 오배수관 출처 온라인매체

edited by kcontents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27부(재판장 김광진 부장판사)는 B아파트를 건설한 시공사 A사가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를 상대로 ‘피트 오배수관에 관한 하자보수채무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제기한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에서 A사의 청구를 기각했다.


B아파트에는 피트 오배수관에 구배를 두지 않고 시공해 하자가 발생, 입대의는 사용검사일인 2008년 11월경부터 2년 이내인 2010년 3월경부터 A사에 주방배수관 역류 현상에 대한 하자보수를 요청해왔다. B아파트 사용검사도면에는 피트층 오배수관의 구배기준이 표시돼 있지 않았으나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에는 배수 수평관의 구배 기준이 정해져 있다. 


A사는 “시공사는 구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의 ‘분양자’가 아니어서 구 집합건물법 제9조에 따른 하자보수채무를 부담하지 않으며, B아파트 하자는 설계상 하자로, 설령 시공상 하자로 보더라도 사용검사 전 하자에 해당해 구 주택법 제46조에 따른 하자보수채무도 부담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B아파트 입대의는 “설계상 하자가 아니라 시공상 하자로서 사용검사 후 하자에 해당, A사가 구 주택법 제46조에 따른 하자보수채무를 부담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재판부는 먼저 “구 집합건물법 제9조는 집합건물 ‘분양자’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해 규정하고 있을 뿐이므로, 집합건물의 시공자가 분양계약에도 참여해 분양대상인 구분건물에 대해 분양에 따른 소유권이전의무를 부담하는 분양계약 당사자로 해석된다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구 집합건물법 제9조에 따른 하자담보책임을 부담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면서 “특별한 사정에 관한 입대의의 증명이 없는 이상 A사가 구 집합건물법 제9조에 따른 하자보수채무를 부담한다는 입대의의 주장은 이유 없다”고 봤다.


하지만 A사에게는 구 주택법 제46조에 따른 하자보수채무가 있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대법원 판례(99다69662, 2005다77848 등)를 참조, “구 주택법상 하자보수청구 대상이 되는 하자는 미시공, 변경시공 그 자체가 아니라 ‘공사상 잘못으로 인해 건축물 또는 시설물 등의 기능상·미관상 또는 안전상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균열·처짐 등의 현상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 공사상 잘못이 미시공이나 변경시공이라 할지라도 달리 볼 것은 아니어서 비록 미시공이나 변경시공으로 인해 건축물 자체에 균열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내재돼 있었다고 할지라도 그 자체만으로 보증대상이 되는 하자가 사용검사 이전에 발생한 것이라고 볼 것은 아니며, 균열 등이 실제로 나타나서 기능상·미관상 또는 안전상 지장을 초래하게 됐을 때 하자가 발생했다고 봐야 한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B아파트의 경우 “표준시방서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시공에서 준수해야 할 기준이므로 사용검사도면에 구배 기준이 없다면 시공자는 표준시방서의 구배 기준을 적용해 시공해야 했다”면서 “특히 B아파트는 초고층 아파트여서 A사는 배관의 구배 시공 시 역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함에도 표준시방서의 기준도 준수하지 않고 시공했다”고 인정했다.


아울러 “사용검사 후 각 가구에서 싱크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역류현상이 실제로 나타나 기능상 지장을 초래했다”면서 “해당 하자는 부실시공 하자로서 구 주택법 제46조에서 규정하는 사용검사 후 하자에 해당한다”며 시공자인 A사의 책임을 분명히 했다.

마근화 기자  yellow@hapt.co.kr 한국아파트신문




#2 원효대교 車방호울타리 설계와 다르게 '부실시공'

볼트로 4곳 고정해야 할 구간 2곳으로 축소 연결 

잠실철도교 기초콘크리트 폭 30cm→25cm 줄여


   서울 한강 원효대교 차량 방호울타리가 당초 설계와 다르게 부실시공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 강변북로 한남방향 원효대교 북단 진입로의 진입이 원효대교 보수공사로 

통제되고 있다. 2016.3.21/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시 감사위원회는 지난 1월 한강교량에 대한 안전관리실테 감사 결과 원효대교에서 이 같은 부실시공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는 A기업과 계약을 맺고 원효대교 C-연결로에 총 길이 228m의 차량 방호울타리를 설치했다. 차량용 방호울타리는 주행 중 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길 밖으로 이탈하거나 교량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이다. 


원효대교 C-연결로 차량 방호울타리는 당초 시방서 대로라면 1개 경간(지주와 지주 사이) 길이를 3m로 하고 경간의 중앙부 보(Beam)는 볼트로 4곳을 체결해 연결하도록 돼 있었다. 


그러나 현장조사에서 C-연결로 바깥쪽 곡선부 길이 123m 구간은 1개 경간의 길이를 3m로 하고 보의 중앙부를 4곳이 아닌 2곳만 볼트로 체결해 시방서와 다르게 시공된 것으로 드러났다. 안쪽 곡선부 105m 중 70m 구간 역시 1개 경간의 길이를 1.5m로 하고 보의 중앙부를 2곳만 체결했다. 


이 때문에 해당 구간 차량 방호울타리는 연결된 상태에서 틈이 생겨 벌어져 있어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됐다. 


이처럼 해당 공사가 당초 설계와 다르게 시공됐음에도 담당공무원은 하자에 대한 시정이나 보완 조치 없이 그대로 준공 처리했다.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차량 방호울타리를 설치한 경우 차량이 경간의 중앙부분에 충돌했을 때 곡선의 바깥쪽에 더 큰 충격이 발생해 추락사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고 감사위는 지적했다. 


또 방호울타리 단부는 보의 중간부가 절단되면 구조적 특성상 차량을 관통해 탑승자를 직접 물리적 충격을 가할 수 있어 보의 끝 부분이 지면에 접속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원효대교 C-연결로 진입부 보·차도 구간 안쪽 곡선부 차량 방호울타리 단부는 보의 단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노출되게 설치돼 차량 충돌 시 운전자에게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잠실철도교 차량 방호울타리의 기초앵커볼트도 설계와 다르게 시공된 사실이 확인됐다.


원래 설계도면에 따르면 차량 방호울타리 지주를 고정하는 기초앵커볼트는 폭 30cm의 기초콘크리트의 철근 내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현장 실측에서 잠실철도교 C-연결로 곡선구간의 차량 방호울타리 5개 지주는 기존 기초콘크리트 폭이 25cm로 설계도면 보다 5cm 부족하게 시공됐다. 


폭이 부족한 기초콘크리트 위에 차량 방호울타리 지주를 설치하게 되면 차량 충돌 시 방호울타리 지주의 저항력이 떨어져 차량 및 인명사고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시 감사위는 안전총괄본부에 "조달물자 납품업자로 하여금 계약된 제품 시방서의 성능이 확보되도록 재시공 또는 보완 시공하도록 조치하고 보가 절단된 채 노출된 차량 방호울타리 단부는 성능이 검증된 단부처리시설로 보완하라"고 시정을 요구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원효대교 C-연결로 보 연결부 볼트가 부족하게 시공된 구간에 대해서는 재시공을 완료했고 절단된 방호울타리 단부는 보완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전성무 기자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