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 '2만7561달러'..."3만달러 높은 벽 실감"

'10년째 2만 달러'

GDP 성장률 2.8%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561달러를 기록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 보다 0.1%포인트 오른 2.8%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천561달러(3천198만4천원)으로 전년(2만7천171달러)보다 1.4%(390달러) 

늘었다.

edited by kcontents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561달러로 전년(2만7171달러)보다 1.4%늘었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인당 GNI는 원화기준으로 4.0% 증가했으나 달러 기준으로는 1.4% 증가에 그쳤다"며 "이는 원화가 2.6% 약세를 보임에 따라 달러 환산액이 적게 나타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질 GNI는 국내 경제활동에 초점을 맞춘 실질 국내총소득(GDI)과는 달리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GDI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반영해 산출한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생산활동에 참여해 번 소득을 뺀 것이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도 1만5632달러로 전년보다 0.9% 증가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표다. 


지난해 GDP 성장률 2.8%로 1월 속보치 보다 0.1%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 1월 잠정치를 발표한 이후 발표된 각종 연관통계와 12월 통계수치 등을 반영한 데 따른 것이다. 


분기별로는 1분기에 전기보다 0.5% 성장했고, 2분기는 0.9%, 3분기 0.5%, 4분기 0.5% 성장의 흐름을 보였다 

연간 GDP 증가율(실질 기준)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서비스업의 증가율이 하락했다. 


건설업 국내총생산은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이 모두 늘어나면서 10.5% 증가했다. 제조업은 운송장비는 감소했지만 석유 및 석탄제품,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의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2.3%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2.3% 늘었다.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보관업 등의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금융 및 보험업 등이 둔화됨에 따라 전년에 비해서는 성장률이 하락했다. 


농림어업은 폭염 등 기상여건 악화로 재배업의 작황이 부진하면서 전년보다 2.9% 감소했다. 

최종소비지출에서 정부의 비중은 4.3%로 높아졌고, 민간은 2.5%로 낮아졌다. 


정 국장은 "정부 세수가 호조를 보이면서 정부의 기여도가 늘어난 반면 가계는 순이자소득이 줄고 기업은 영업이익이 둔화세를 보이면서 정부에 비해 기업과 가계 등 민간 비중이 낮아졌다"고 풀이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다. 정 국장은 "총저축률은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소비위축으로 소득증가율에 비해 소비증가율이 낮게 나타나면서 저축률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총투자율은 28.9%로 2015년(29.3%)보다 0.8% 포인트 낮아졌다. 가계의 순 저축률은 8.1%로 지난해와 동일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