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롭지 못한 국책 공항프로젝트들



울릉공항 골재원 유용석 부족

제주는 공군시설 유치 논란

경남권은 정치권과 지역 갈등으로 '시끌'


   전국 국책 공항건설 과정에서 잡음이 빚어지고 있다.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이유도 각양각색이다. 울릉공항은 암석 부족, 제주 제2공항은 공군과의 공동사용에 따른 제주도의 반발, 김해 신공항과 대구 통합공항은 각 지역 정치권 이해관계가 엮였다. 조기 대선 과정에서 자금부족 등의 이유로 공항건설 추진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울릉공항 조감도(좌). 울릉공항 골재원인 가두봉. 유용석 부족으로 사업추진에 애로를 겪고 있다.


관련기

울릉공항 건설 '적신호'

http://conpaper.tistory.com/50626

edited by kcontents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울릉군과 부산지방항공청이 조사한 결과 울릉공항 건설을 위한 인근 매립석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공항 활주로 건설을 위해선 울릉도 사동리 앞바다 2만6000여㎡를 메워야 하며 이 과정에 350만㎡의 암석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사용 가능한 암석은 83만㎡로 공항 건설에 필요한 암석량의 25%에도 미치지 못한다.




울릉공항은 바다를 메워 만드는 국내 첫 해상 공항이다. 정부가 2022년까지 5755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하지만 울릉공항은 건설 초기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5월 대림산업과 포스코건설은 턴키(설계 및 시공 일괄 입찰) 방식으로 발주된 울릉공항 공사 입찰을 포기했다. 활주로를 메울 인근 암석의 양, 강도가 현저히 부족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지난해의 문제가 재발한 셈이다. 암석 추가 채취지역 선정, 부족한 암석을 육지에서 운반하는 추가 비용 등을 고려하면 공항 완공일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제주 제2공항도 설립 추진과정에서 잡음이 일었다. 군 시설이 제2공항에 들어설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정경두 공군 참모총장은 지난 9일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 열린 ‘딘 헤스 미 공군 대령 기념비 제막식’에서 제2공항 내 남부탐색구조부대 설치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총장은 “앞으로 관련 기관들(국토교통부, 제주도)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논의해가면서 (제2공항 내 남부탐색구조부대 설치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공군의 발표에 관련 기관들은 발끈하고 나섰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지난 17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막식에서 열린 공식 기자회견에서 “제2공항이 다른 군사적인 이유로 (민간 공항이란) 궤도를 이탈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부 역시 지난 제주도에 공문을 보내는 등의 조치를 통해 “제2공항에 군 공항시설 계획이 검토되거나 논의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경남권 신공항 설립과정도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해 신공항 건설,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대표적이다. 정치권의 이해관계가 엮여 각 지역 간 갈등이 부상하고 있다.


대구 통합공항 건설은 김해 신공항과 연계돼 잡음이 일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역구인 대구를 밀어주기 위해 김해 신공항 규모가 의도적으로 축소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의회 공항 통합이전 추진 특별위원회는 지난달 24일 “김해공항 수요 축소가 대구 신공항 규모 확대를 위한 것이란 근거 없는 의혹을 (부산 일부 정치권에서) 제기한다”며 “대구공항 통합이전에 재를 뿌리고 있는데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경한 어조를 내뱉었다.


김해신공항은 사업축소 의혹이 부산 및 경남 정치권 및 시민단체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외부용역을 바탕으로 한 연간 이용객수를 3800만명에서 2500~2800만명으로 축소했다는 지적이다. 앞서 대구 통합공항 건설을 밀어주기 위한 의도란 목소리가 나온다. 이를 통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김해신공항 규모가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이같은 국책 공항건설 사업 일정이 추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국 불안 및 불확실한 사업일정, 추가 정부지원 필요성 때문이다. 김해신공항의 경우 지난해말 예정된 예비타당성 조사일정이 밀렸다. 또한 제주 제2공항은 여전히 기본계획이 설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대구 통합공항도 세부 계획안이 확정되지 않았다. 조기대선이 확정된 상황에서 구체적 계획안 확정이 더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4개 공항 추진시기가 겹쳐 정상적 추진을 위해 정부지원이 추가로 필요한 점을 국회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바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책 공항건설 추진과 관련해 각 당 차원에서 구체적 공약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이미 공항건설과 관련된 예산이 포함됐지만, 공항건설 추진일정이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형균 기자 chg@sisajournal-e.com 시사저널e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