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수주, 지난해 461억불 → 올해 279억불..."수주 환경 급변"


금융조달형·디벨로퍼형으로 전환 시급

"단순 도급사업 벗어나야"

선별적 투자·정책지원 필요


   지난해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 7000억달러 달성과 매출액 세계 5위권 진입 등 괄목한 성장을 이어왔던 해외건설시장이 위기를 맞고 있다.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edited by kcontents


저유가로 인한 중동 지역 발주량 급감과 해외건설 강국들의 진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서다.


수주환경도 변하고 있다. 단순 도급 방식에서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형태의 투자개발형으로 확산되면서 국내 건설업체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가 등 외부환경도 신경써야 하지만 국내 업체들의 선별투자와 정부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26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현재 기준으로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수주한 금액은 279억3841만달러다. 지난해 461억4434만달러보다 39% 감소한 수준이다. 2007년 이후 400억달러 밑으로 내려간 적이 없었지만 올해는 200억 달러대로 호황기였던 2010년과 비교하면 수주액이 3분의 1로 급감했다.    


가장 큰 원인은 저유가로 인한 중동 지역 발주량 급감이다. 국내 해외건설 수주액과 유가의 상관계수는 0.9로 높은편이다. 저유가 여파로 중동 발주처가 프로젝트를 연기하거나 취소하면서 발주 물량이 좀처럼 나오지 않는다. 이미 1970~80년대 두 차례 석유파동 때 유가 하락으로 인한 수주 감소를 경험했다. 


해외건설 강국들과의 경쟁도 갈수록 치열하다. 유럽과 일본은 유로화 및 엔화 약세로 수주 경쟁력이 더 높아졌다. 중국마저 풍부한 달러 보유고를 기반으로 공격적인 해외 진출에 나서고 있다. 더욱이 국내 기업들은 지난해 어닝 쇼크를 계기로 무리한 수주를 피하고 있다.


전체 수주의 90%가량을 도급사업에 의존하는 구조도 문제다. 실제로 월드뱅크에 따르면 세계 투자개발형 사업 규모가 2004년 232억달러에서 2014년 1075억달러로 10년 새 5배가량 증가했다. 도급사업 의존도가 높은 만큼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정부 등이 중심이 돼 투자개발사업 진출을 지원하는 전문기구를 설치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14년 해외교통도시개발사업 지원기구(JOIN)를 설립했다. 일본 정부와 민간이 각각 54억엔씩 총 108억엔을 출자해 만들었다. 일본 국토교통성 장관이 투자사업에 대한 지원기준을 세우고 결정 인가부터 감독을 도맡는다. 


아프리카에서 '차관 외교'로 유명한 중국은 지난해 9월 인민은행을 통해 중남미 인프라시장 투자용 기금을 100억달러를 조성하면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창립을 주도하고 아시아에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카타르나 프랑스도 각각 네브라스파워(에너지개발회사)와 이지스(인프라개발공기업) 등의 전문기구를 설치해 금융 역량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있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중국은 부족한 기술력에도 정부의 전폭적 자금지원으로 굵직한 고속철 프로젝트도 잇따라 따냈다"며 "해외도시개발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부족한 금융 지원 시스템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개발형 프로젝트는 초기에 민간업체의 접근이 쉽지 않다"면서 "업체도 리스크 분석을 통해 선별적 투자를 나서야 하지만 정부도 나서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해외건설 촉진지원기구를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원기구는 미국 최대의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인 벡텔(bechtel)을 벤치마킹할 가능성이 크다.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이달초 기자간담회에서 "해외업체가 100억원에 수주한 사업의 20억원 짜리 도급을 받는 데는 수익성에 한계가 있다"며 지원기구를 신설해 국내 기업의 프로젝트 발굴 역량을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국내 건설시장의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건설제도의 글로벌 호완성을 높여야 한다는것이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국내 공공입찰제도는 해외시장에서 원하는 기술력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기술력이 아닌 운에 따라 낙찰자를 결정하는 뽑기 형태의 운찰제도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뉴스1) 진희정 기자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