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트럼프 효과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예상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 결정을 하루 앞둔 가운데 금리 인상 후폭풍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source US News

edited by kcontents


금리 인상을 기대한 뉴욕 3대 주가지수는 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다우존스 지수는 2만선에 성큼 다가섰다. 


12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에서는 최근 고용시장 개선과 트럼프 효과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1년 전을 떠올려 보자. 2015년 12월 연준이 세계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우리나라에서 한 달만에 약 3조9000억원에 달하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이탈했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고금리를 쫓아 이탈한 것이다. 


이번에도 금리가 오르면 외국인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할 수 있다. 더욱이 1년 전 보다 상황이 더 좋아진 미국과는 다르게 한국의 경제 상황은 녹록지 않다. 다년간 성장을 견인하던 내수가 불안하다. 더욱이 가장 불안한 곳은 가계자산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부동산 시장이다. 11.3 부동산 대책과 11.24 가계부채 대책이 연이어 나오면서 전매시장은 힘을 잃었고,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도 커졌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금리 인상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경기상황은 좋지 않은 가운데 금리를 올리면 서민들에 미칠 후폭풍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1%포인트 금리 상승으로 부채를 감당하지 못할 위험이 있는 잠재위험가구는 4만1000명 증가해 약 37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건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금리인상 속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전망치의 점도표를 보면 2017년말까지 3차례 정도의 금리인상 횟수가 반영돼 있다. 이는 이번 금리인상 후 내년에 두 차례 더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인사에 대한 윤곽이 드러남에 따라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는 대통령 임기 동안 최대 5명의 신임 이사를 지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2018년 1월 임기가 종료되는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후임으로 존 테일러 교수를 후보로 올렸다. 


트럼프는 연준의 정치적 중립성을 비판해 왔다. 그 기저에는 금리를 올리면 미국 경제가 나빠질 수 있다는 심리가 깔려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가 당장은 연준에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주문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있다. 




증권업계는 원자재 상승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이 완만한 금리 인상을 한 2004~2006년에 구리는 164% 상승했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현 국면에서도 구리를 중심으로 산업용 금속은 다른 자산 대비 상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유가에 비해 인플레 자극 효과가 낮은 산업 금속이 당분간은 국내외 주식 및 선진국 국채의 대안으로 주목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14/2016121400662.html?main_hot1#csidxad504eefad6e219b8f4ed9313844620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