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해외건설 분쟁 급증에 '건설업계' 촉각




중동 계약분쟁 지난해 8,200만달러 규모

미청구공사 집중에 ‘우려’


    저유가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중동 국가들의 정부 예산 삭감으로 건설사업에서의 계약분쟁이 크게 증가해 국내 건설업계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은 미청구공사 대부분이 중동지역에 집중돼 있어 준공시 계약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source Arabian Gazette 


관련기사

5대 건설사 해외공사 '미청구금' 8.4조원에 달해

http://conpaper.tistory.com/43264

edited by kcontents 


해외건설업계에 의하면 지난해 중동 내 계약분쟁은 약 8200만달러 규모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동안 두바이 국제금융센터 재판소(DIFC Court)에서 중재·맞고소·법 집행 등으로 처리된 클레임 규모는 약 9억달러(1차심 기준)로 전년동기 대비 48%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계약분쟁의 원인은 이 지역 정부가 프로젝트의 추가 비용 발생에 대한 지출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예산을 줄이면서 발주처들이 추가 비용을 시공사들에게 떠넘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시공사들은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비용손실을 감수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업계에 의하면 중동 건설시장은 발주처 중심의 사업구조가 형성돼 있다. 지난 2008년 리먼발 경제위기 이후 세계 건설 시장이 위축되자 건설사들은 고유가시기 쌓아올린 부를 바탕으로 인프라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동에 대거 진출했다. 하지만, 수주경쟁이 심해지면서 중동지역 정부들은 경쟁을 부추기는 한편 저가입찰을 유도했다. 이에 우리 건설사들은 지난 2011년~2013년 중동을 중심으로 부실수주가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 최근 중동국가들은 정부 재정상황이 악화되자 프로젝트 발주시 입찰 건설사가 스스로 자금력을 동원토록 하는 조건까지 달고 있다. 이는 국내건설사들의 수주를 어렵게 하고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동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턴키’ 계약 방식도 우리 건설사들의 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시공자가 조사·설계·조달·건설·시운전 등 전 과정을 맡아야 해 발주처가 추가비용·공기·분쟁 등의 책임을 전가시키는 활용된다는 지적이다. 


설상가상으로 현재 파악되고 있는 우리 건설사들의 미청구공사는 대부분 중동지역에 몰려있다. 미청구공사는 이미 공사를 진행했음에도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못한 미수채권을 말한다. 사업주와의 협의를 통해 당초 계약금액 이상을 받아내야 하기때문에 손실로 이어질 여지가 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올라온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GS건설 등 주요 건설사의 미청구공사 금액(연결기준·전년 매출액의 5% 이상)은 총 3조7638 억원이다. 이 가운데 81.4%에 해당하는 3조622억원이 중동지역(북아프리카 포함)에 몰려있다. 


특히 GS건설은 중동 해외사업에서 8959억원 규모의 미청구공사가 발생해 전체의 97.2%가 중동에 집중돼 있었다. 대우건설의 경우에도 중동지역 미청구공사액은 총 9698 억원으로 1분기보다 1156억원 증가했다. 현대건설의 중동 미청구공사는 총 7778 억원, 삼성물산은 4187억원의 미청구 공사가 파악된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미청구공사나 미수금은 적어도 준공전까지 발주처와의 협상을 통해 수령하게 된다. 그런데 발주처가 추가비용 등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계약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성창희 기자 동아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