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의 ‘거품 빼는 방법'은?

카테고리 없음|2016. 10. 18. 00:08


근본 해법은 과잉진료 ‘수술’


기본형 + 다양한 특약’ 구조로 개편

새상품 내년 4월 출시

병원·환자 ‘도덕적 해이’

“보험사에 책임 물어야” 지적도


   직장생활 5년 차인 이모씨(33)는 최근 보험사로부터 1만1000원 수준이던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가 1만4000원으로 올랐다는 통보를 받았다. 



월 3000원을 더 내는 것이 그리 큰 부담은 아니지만 28%나 되는 인상률에 저항감을 느꼈다. 이씨는 “만약 이런 속도로 오른다면 40~50대에는 보험료가 10만원 가까이 될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언제 병원비로 고생하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당장 깰 생각은 없지만 불편하고 불안하다”고 말했다.


올해 초 보험사들이 일제히 실손보험의 보험료를 20%가량 올리면서 가입자 불만이 커지자 금융위원회가 민관 합동 TF를 구성해 실손보험 상품구조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실손보험료의 거품을 빼겠다는 것이지만 가입자들이 체감할 만한 수준으로 부담이 해소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병원비 덜 쓰는 가입자엔 ‘할인’

정부가 염두에 두고 있는 실손보험 개편의 핵심은 ‘기본형 + 다양한 특약’ 구조다. 현재 실손보험은 미용목적 등 일부를 제외한 모든 입원·통원 의료비를 보장한다. 이 중 과잉진료가 빈번해 보험료 인상을 유발하는 의료행위는 ‘기본형’ 보장에서 빼겠다는 것이다. 기본형에서 배제된 의료행위 비용은 특약에 가입해야 보장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렇게 되면 ‘기본형’ 보험료가 현행 실손보험료보다 40% 저렴해질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이 같은 보험료 인하 효과는 가입자들이 주로 ‘기본형’에만 기댈 수 있을 때의 얘기다. 만약 기본형만으로는 불안해 각종 특약을 줄줄이 추가해야 한다면 보험료는 지금과 그대로거나 혹은 더 오를 수도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특정 치료 보장을 (기본형에서 빼서) 특약으로 한다는 것은 그 치료에 대해 보험료를 좀 더 많이 책정하겠다는 의미”라면서 “하지만 너무 많은 치료항목을 특약으로 만들어버리면 소비자와의 신의를 저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선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금융당국과 업계는 도수치료는 기본형에서 배제해 특약에 담기로 했고, 비급여 주사치료의 경우 일정 범위까지는 기본형에 담는 방향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본형 + 다양한 특약’ 구조의 새 실손보험은 내년 4월 출시된다.


병원비를 덜 쓰는 가입자에게 보험료를 깎아주는 방안도 추진된다. 사고를 안 내면 보험료가 내려가고 사고를 많이 내면 보험료가 올라가는 ‘자동차보험’처럼 할인·할증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실손보험은 병원 이용과 관계없이 전체 가입자가 그해 보험료 인상분을 동일하게 분담하는 구조다.


정부는 아울러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을 단독 상품으로 팔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실손보험은 대부분 사망·후유장해 등을 기본계약으로 하는 보험 속에 ‘특약’으로 묶여 있다. 이들 보험엔 암이나 뇌졸중 등 진단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특약까지 함께 붙어 있는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실손보험 자체의 보험료는 1만~3만원이지만 실손보험이 포함된 보험의 전체 보험료는 5만~10만원에 이른다. 2013년 정부가 단독형 실손보험 출시를 의무화했으나 현재 단독형의 비중은 3.1%(2015년)에 그친다.


정부 대책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 상품구조 개편, 할인·할증제도 도입 등은 보험료를 오르게 만드는 ‘비급여 팽창’의 구조를 직접 다루는 방안은 아니다. 해서 가입자가 실감할 만한 ‘부담 해소’로 이어질지는 의문이다.


비급여 진료 급증에 보험료 올라

의료비는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항목과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항목으로 나뉜다. 비급여항목의 전액과 급여항목의 약 20%는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데 바로 이 금액을 실손보험이 80~90% 보장한다. 문제는 증상이 중하지 않은 환자에게 꼭 필요하지도 않은 비급여 진료를 권하는 과잉진료로 인해 보험금 지급 부담이 커진 보험사가 이를 보험료 인상을 통해 상쇄하려는 데 있다. 업계는 거둬들인 보험료 가운데 보험금을 얼마만큼 지급했는지를 보여주는 ‘손해율’이 실손보험의 경우 123%에 이르렀다고 주장한다.


‘비급여 팽창’은 공보험인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도 흔들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이번 대책에 포함시킨 ‘비급여 정보 표준화’에 대해서는 보험업계뿐 아니라 복지분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어느 정도 공감대가 마련돼 있다. 급여와 달리 비급여 진료항목은 병·의원별로 코드명이 달라 가격이 서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과잉진료는 아닌지를 확인하기 어려워 ‘통제불능’ 지대에 있다.


다만 과잉진료 억제와 동시에 보험사의 책임을 묻는 작업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직 의사인 김종명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의료팀장은 “보험사들은 일부 환자와 의사의 ‘도덕적 해이’를 탓하고 있는데 애초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는 상품을 온갖 마케팅을 동원해 판매한 것은 보험사들”이라면서 “실손보험 손해율이 높다지만 실손보험을 ‘특약’으로 끼우면서 함께 판매한 다른 수많은 특약으로는 이익을 보고 있으면서도 이에 대해서는 ‘모르는 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이 오르는 과정에서 보험사들이 5년간 1조5000억원의 반사이익을 거뒀다는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가 나오면서 이 같은 이익의 사회 환원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된다. 실손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이 보장하지 않는 의료비를 보장해주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영역이 커지면 보험사들은 이익을 보게 된다. 하지만 보험업계는 실손보험료 인상을 억제하느라 이익은커녕 손해를 감내해 왔다는 입장이어서 실손보험료 인상을 둘러싼 갈등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송윤경 기자 kyung@kyunghyang.com 경향신문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