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시 비상발전기 'ESS' 대체 첫 사례


LS산전, 연구개발(R&D) 캠퍼스에

민간기업 최초 비상발전기ESS 대체

정전시 최대 2시간 20분 동안 전기 공급,

피난이나 소방활동 지원

비상전원용 ESS 시장 기대감도 고조


   정전시 비상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는 비상전원용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한 첫 사례가 등장했다. 


LS산전에 설치된 ESS 츌처 에너지경제 사진=안희민

edited by kcontents 


지난 2월 ESS를 비상전원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한 뒤 가시적인 성과가 마침내 나오면서 비상전원용 ESS 시장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LS산전이 민간기업으로는 최초로 비상발전기를 ESS로 대체했다고 9월 28일 밝혔다. 


LS산전은 경기도 안양에 있는 지상 9층, 지하 3층 규모의 R&D캠퍼스에 1MWh급 비상전원용 ESS를 설치했다. 기존의 비상발전기를 가동하지 않고 ESS만으로 정전시 최대 2시간 20분 동안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 피난이나 소방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정부는 ESS 산업 육성 차원에서 비상전원용 ESS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ESS를 비상전원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했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발표한 바 있다. ESS를 활용할 경우 전기요금을 할인해주는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내년에는 비상전원용 ESS 구축에 68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ESS를 기존의 디젤발전기 대신 비상발전용으로 운영하면 비상시 신속하게 전기공급을 할 수 있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디젤발전기를 가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 역시 ESS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 2011년 순환정전 당시 비상발전기의 60%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웠는데 ESS는 실시간으로 작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이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상발전용 ESS의 보급확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정부의 발표처럼 디젤발전기를 ESS가 대체하면 비용이나 효율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한계도 있다는 것이다.


ESS는 기존의 비상발전기처럼 항상 대기하고 있는 게 아니라 수시로 충방전을 하면서 피크조절용으로 활용한다. ESS 구축에 드는 비용이 큰 만큼 활용도를 높이는 게 관건이기 때문이다. 전기요금이 싼 심야에 전기를 충전했다가 주간에 방전해 요금차에 따른 수익을 얻는 게 대표적이다.


우태희 산업부 차관은 9월 28일 LS산전 R&D캠퍼스 현장을 방문해 “기업들이 ESS 가격경쟁력 제고, 투자·기술개발 강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에 힘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정부가 내놓은 청사진과 달리 피크조절용도로 ESS를 활용할 경우 비상발전기가 비상시에 제 역할을 못할 수도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LS산전이 1MWh급 ESS를 설치하면서 비상시 2시간 20분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적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비상발전용으로만 활용하기에는 투자대비 효과가 너무 낮다는 것도 문제다.




비상시 사용할 배터리의 잔량을 일정 수준 이상 남겨두는 방안도 제시됐지만 현실적인 대안은 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위대용 기자 wee@electimes.com 전기신문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