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의 또하나의 고민...도시정비사업 ‘수주 절벽’


GS건설,

작년 활황에 비해 올해 상황 급변

올 들어 최근 수주금액 총 7223억원에 그쳐

타 건설업체도 마찬가지


   건설업계가 도시정비사업 ‘수주 절벽’에 가로막혀 고심하고 있다.


지난해 GS건설이 재건축 시공권을 따낸 서초동의 무지개아파트 단지. 출처 stn.hcn.co.kr

edited by kcontents 


특히 지난해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 시장을 독식하다시피 하며 전국 노후 도심지에 걸쳐 ‘자이벨트’를 구축했던 GS건설은 올해 예상보다 저조한 수주 실적에 근심이 커졌다.


올 한해 도시정비 물량 자체가 부족했고, 예상보다 사업 속도가 느려진 곳이 많아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남은 하반기 도시정비사업을 따내려는 건설사들의 수주전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GS건설은 지난해 강남권을 비롯해 부산과 대구, 광주, 울산 등 전국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공략하며 8조180억원(27단지)의 수주고를 올렸다. GS건설의 직전년도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2조2250억원)보다 약 4배나 많은 금액이다. 


GS건설은 지난해 강남권 도시정비사업 최대어로 꼽힌 서초동 무지개아파트 시공권(3779억원)을 따내며 업계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밖에도 부산 복산1구역(1조1392억원), 촉진2-1구역(6731억원) 등에서도 대규모 수주 실적을 거뒀다.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변했다. 올 들어 최근까지 수주금액은 총 7223억원에 그친다. 지난해 8조원과 비교하면 턱없이 낮다. 수주 지역은 경기도 광명과 능곡, 안양 일대 등 3곳에 그친다. 지난해 대규모 수주고를 올렸던 서울 강남권과 부산, 대구 등에서는 한 곳도 수주하지 못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올해 재건축·재개발 시장의 전체 발주 물량이 줄어들었다. 이와 함께 올해 건설사들이 전략 사업으로 눈여겨보던 서울과 수도권, 부산 지역 등의 재건축·재개발 지역의 사업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진 것도 악재로 꼽힌다.


GS건설뿐 아니라 다른 건설사들도 전반적으로 도시정비 수주 실적이 저조하다. 올해 들어 최근까지 대림산업이 2조3000억원(지분 기준)으로 도시정비사업 수주 1위를 기록 중이고, 이어 서희건설과 포스코건설이 1조원대 수주고를 기록 중이다.


GS건설뿐 아니라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 이른바 메이저 건설사들은 여전히 1조원대에도 못 미친 저조한 수주 실적을 기록 중이다. 특히 GS건설의 도시정비사업팀은 현재 74명으로 지난해와 같은 기간보다 10명이나 늘었지만, 실적은 오히려 줄어 내부 고민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올해 공동시행 건설업자 선정 기준을 바꾼 것도 재건축·재개발 지역의 사업 추진 속도를 더디게 했다. 올해 국토교통부는 조합과 건설사가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공동 시행할 경우 시공사 선정 시기를 ‘조합 설립인가 이후’ 시점으로 앞당기는 내용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시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지난 3월 서울시가 ‘건축심의 이후’에 시공자 선정이 가능하도록 한 별도 기준을 만들어 사실상 공동 시행을 무력화시키면서 올해 발주가 예상됐던 사업 물량 중 상당수가 내년 말과 내후년으로 넘어간 것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사업시행 건설업자 선정기준’과 ‘공동사업시행 표준협약서’ 고시안을 지난달 행정 예고했고 이달 중 최공 고시할 예정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시공자 선정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달리 재건축·재개발 사업들이 차일피일 지연되면서 대부분의 건설사가 수주 목표 달성에 차질이 빚어졌다”며 “통상 조합설립 인가 이후부터 건축심의 이후까지 기간이 대략 1년이 걸리기 때문에 사업 일정이 내년으로 미뤄지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실제 건설업계에 따르면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포와 한남동 일대 재건축·재개발 단지 대부분이 이번 서울시의 조치로 사업 속도가 늦어졌다.


이 가운데 남은 하반기에는 건설사들의 수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저유가 등으로 해외 사업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내 사업 중 도시정비사업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건설업계는 실적 부진으로 신용등급이 깎이면서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진 건설사들이 현금 비축을 위해 도시정비사업에 골몰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이미 발행한 회사채의 만기 상환 압력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말 만기가 돌아오는 10대 건설사의 회사채 규모는 9800억원에 달한다. 롯데건설과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건설 등은 1000억~2000억원 이상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지난해 도시정비사업을 독식한 GS건설도 상황은 마찬가지. GS건설은 2013년 어닝쇼크 발표 전 2월에 각각 3200억원(만기 3년, 이자율 3.54%)과 600억원(만기 5년, 이자율 3.7%)의 회사채를 발행해 올 초 만기가 돌아온 3200억원을 먼저 현금 상환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사업 중 그나마 현금 벌이가 가능한 도시정비사업을 두고 건설사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분위기”라며 “특히 최근 2년간 도시정비사업을 독식해온 GS건설이 가장 타격이 큰 상황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우고운 기자 조선비즈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