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흔들린다…국내 산업계 영향은? Why China's economy is slowing(VIDEO)
증시패닉→경제성장률 목표 미달→실업률↓ㆍ소비↓
스마트폰ㆍ승용차 등 완제품, 中 내수 위축 직격탄
세계 철강 생산 절반 中, 값싼 재고 시장 범람ㆍ국내 기업 타격
출처 washingtonpost.com
blogs.wsj.com/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중국 증시 폭락으로 국내 산업계의 성장 동력이 멈출 위기에 처했다. 중국 경제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의존도는 약 26%에 달한다. 올해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한 7%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실업률 상승에 소비 위축까지 이어져 국내 기업들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마트폰과 승용차 등 완제품은 중국 내수시장 위축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현대자동차는 올해 실적을 우려했다. 현대차는 중국과 내수시장의 판매량 감소로 올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18% 감소하는 등 4년여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내보였다. 현대차 중국공장의 5월 판매실적은 전달과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7%, 1.0% 떨어졌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올해 현재까지 전체 생산량 800만대 중 23%가 중국에서 판매되기 때문이다. 중국 공장 증설이 마무리되는 2018년 중국 내 연생산량은195만대에서 270만대로 대폭 늘어나게 된다. 삼성전자도 2분기 갤럭시S6 시리즈 출시로 정보통신(IT)·모바일(IM)부문 영업이익 3조원 돌파를 노렸지만, 약간 미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자인·성능 등의 호평만큼 판매량이 연결되지 못했다. 그만큼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임을 증명했다. 중국은 지난해 스마트폰 보급률이 4%포인트 성장에 그쳐 3%포인트대인 우리나라와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즉 스마트폰을 살만한 사람은 모두 샀으며 남은 건 교체수요다. 그러나 중국 소비침체는 저조한 스마트폰 교체 수요로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다. 세계 철강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제침체는 국내를 비롯한 글로벌 철강업계에 치명적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미 중국은 생산량이 수요를 넘어서면서 남는 재고를 해외에 덤핑판매하고 있다. 한국도 값싼 중국산 철강의 무분별한 수입으로 국내 철강회사들이 위기를 맞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경제 침체로 자국 내 수요가 줄어들면 값싼 중국산 철강의 해외수출 물량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 철강 회사들이 높은 재고에 생산량을 줄여가고 있지만 경기 침체가 가속화되면 철강가격은 계속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라며 “값싼 중국산 철강이 더 해외로 범람할 경우 국내 철강업체들 타격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해운업계는 유가를 비롯해 세계 경제에 민감하다. 특정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운송 물자 물량 변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발간한 2015년 상반기 해운시황 및 이슈 세미나 자료를 보면 관련 업계는 중국의 물동량 증가 추세가 둔화되는 상황에 집중하고 있다. 노기룡 고려해운 부장은 “중국의 아시아 역내교역이 침체되고 있어 시장의 수급상황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유조선 시황도 유동적이다. 양창호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예측한 중국의 2015년 경제성장률은 6.8%로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노력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이보다 더 낮은 성장률을 보일 수도 있어 원유수요의 증가세도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선주협회 관계자는 “중국이 건설 부양 정책 등 경기부양책을 하지 않는 이상 운영 회복은 지켜봐야 한다는 이야기가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각종 공산품의 원료를 수출하는 석유화학도 글로벌 경기에 실적이 크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어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 침체에 영향이 크다. 지난해 기준 국내 석유화학업체의 해외수출 비중 중 중국 수출은 47%에 달했다. 정유산업 역시 타격은 불가피하다. 다만 빠르게 늘고 있는 중국의 자급률 탓에 수출량이 줄고 있는 추세에 따라 석유화학에 비해서는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정유사들의 해외 수출비중 중 중국은 15.7%에 해당했다. 중장비는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로 굴삭기를 제조하는 업체들의 실적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최근 부동산 침체로 굴삭기 판매량이 크게 줄어드는 동시에 싼 가격을 앞세운 현지 업체들에게 계속 시장을 내주고 있다. 반면 조선업은 중국시장 침체는 국내 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해까지 중국은 한국과 일본을 제치고 3년 연속 세게 1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부터는 침체 일로를 겪고 있다. 아시아투데이 산업부 김성미 기자 |
Why China's economy is slowing
![](http://cdn.static-economist.com/sites/default/files/imagecache/full-width/images/2015/03/blogs/economist-explains/20150314_blp510.jpg)
Mar 11th 2015, 23:50 by S.R. | SHANGHAI
CHINA has cut its growth target for 2015 to 7%, which would be the slowest expansion in more than two decades. Data this week show it will be a stretch to hit even that. This might not seem much to fret about. Even at its subdued current rate, China's growth is still the envy of most countries. But the slowdown is cause for concern. China is faring worse than many had expected (as recently as 2012,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mong others, forecast that annual growth above 8% would continue until 2017). Its deceleration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sell-off of global commodities from iron ore to coal over the past two years. And there are fears it could yet turn uglier. What explains China’s slowdown?
On a basic level, it was inevitable that the Chinese growth rates of the past three decades, which averaged 10% a year, would wane. The law of large numbers (financial, rather than statistical) applies to nations as well as to companies: the bigger an economy gets, the harder it is to keep growing at a fast clip. Growth of 7% this year for China would generate more additional output than a 14% pace did in 2007. Structurally, China’s economy faces headwinds. In the long run, growth is a function of changes in labour, capital and productivity. When all three increase, as they did in China for many years, growth rates are superlative. But they are all slowing now. China’s working-age population peaked in 2012. Investment also looks to have topped out (at 49% of GDP, a level few countries have ever seen). Finally, China’s technological gap with rich countries is narrower than in the past, implying that productivity growth will be lower, too.
More recent trends also explain China’s sharper-than-expected slowdown. The single most important development has been its credit binge. Total debt (including government, household and corporate) has climbed to about 250% of GDP, up 100 percentage points since 2008. This debt allowed China to power its economy throug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also saddled it with a heavy repayment burden. Most worrying, much of the credit flowed to property developers. China’s inventory of unsold homes sits at a record high. The real-estate sector, which previously accounted for some 15% of economic growth, could face outright contraction. New property starts fell by nearly a fifth in the first two months of 2015, compared with the same period a year earlier. From this vantage point, the abruptness of China’s current slowdown looks more cyclical than structural. A period of overheated economic growth tends to be followed by a correction. Not all cycles are created equal, however. Working off a credit overhang can take years. Given that China’s financial system is mostly closed, it has little risk of an acute crisis, but the other side of the coin is that it might need even longer to clean up its bad debts.
Whereas previous leaders propped up growth whenever it slowed, Xi Jinping, China’s president since 2013, has instead spread the gospel of the “new normal”, by which he means less emphasis on growth and faster structural reform. The central bank has been hesitant to ease monetary policy. Changes to fiscal rules have made it ha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spend money. With consumer-price inflation running at a five-year low of 1.1% and producer prices deep in deflation, there is a case to be made that China’s economy, restrained by the government, is performing below its potential. The good news is that neither the cyclical nor the policy explanations for China’s slowdown are permanent. As the cycle turns and policy changes, the outlook should improve. But the structural shifts in the Chinese economy are a different story. They will cap any rebounds. Double-digit growth is most certainly a relic of China’s past.
http://www.economist.com/blogs/economist-explains/2015/03/economist-explains-8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