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문농부 班門弄斧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반문농부 班門弄斧 노반의 문앞에서 도끼를 자랑한다는 뜻으로, 실력도 없으면서 잘난 척 함 [내용] 公輸班(공수반)은 춘추시대 魯나라의 名 匠人(장인)이다. 어떤 나무토막이든 그의 손에 들어가기만 하면 國寶로 변할 만큼 손재주가 뛰어났다.워낙 技巧(기교)가 뛰어나 도끼놀림이 귀신같고 대패질은 아지랑이 춤추듯했다. 그 때 젊은 木手 하나가 있었다. 조금은 技藝(기예)를 익혔는데 도무지眼下無人(안하무인)이었다. 하루는 자신의 작품 몇 점을 가지고 나타나 한 바탕 자랑을 늘어놓았다. ‘이것을 보시오. 신도 감히 흉내낼 수 없는 작품입니다.’ 하면서 도끼를 직접 꺼내 가지고는 현장에서 시범을 보이는 것이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가 서 있던 곳은 公輸班의 대문 앞이었다. 그러자 구경꾼 중 하나가 가련하다는 듯이 말했다.‘이봐, 젊은이. 어디 등 뒤를 한 번 돌아보시지. 그게 누구 집인 줄 아는가? 바로 천하의 名匠 公輸班의 집이라오.’ 집안을 돌아보고 난 그는 망연자실했다. 귀신도 무안해 할 정도의 재주, 精巧(정교)의 極致(극치)를 다한 조각들…. 자기로서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技藝가 아닌가. 젊은이는 그만 홍당무가 되어 머리를 떨군 채 자리를 뜨고 말았다.明나라 말기에 梅之渙(매지환)이라는 시인이 있었다. 한 번은 천하 대시인 李太白의 무덤을 지나게 되었는데 눈에 거슬리는 장면이 들어왔다. 그의 墓碑(묘비) 위에다 제 딴에는 文才(문재)깨나 갖추었다고 자부하는 자들이 함부로 싯구를 새겨 넣었던 것이다. 불쾌한 마음 반, 안타까운 마음 반으로 자신도 한 수를 적어 넣었다. 采石江邊一堆土(채석강변일퇴토) 채석 강변의 한 무더기 흙이여 李白之名高千古(이백지명고천고) 이백의 이름 천고에 드높도다 來來往往一首詩(래래왕왕일수시) 오가는 사람마다 한 수 씩 남겼으니 魯班門前弄大斧(노반문전농대부) 노반의 문전에서 큰 도끼 자랑하네 출처 사이버고사 |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