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복합발전 추진현황 및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 야경

 

평택화력발전소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 원정리에 있는 화력발전소

 

 

455만9610㎡의 부지에 건설된 시설용량 140만㎾(35만㎾급 4기)의 중유 및 가스(LNG) 연소 겸용 화력발전소로 연간 약 98억㎾h의 전력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

 

1970년대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과 함께 전력사업의 국제 규모화를 목표로 세워진 제4차 전원개발계획에 따라 아산 공업지구개발에 따른 전원확보와 수도권 및 중부지역의 기저부하 담당용으로 건설계획이 확정되었다.

 

건설공사는 1·2호기 및 3·4호기로 나누어져 추진되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최초로 국내 주도형 일괄도급방식으로 건설계약을 체결하여, 기술용역 및 설계, 시공을 국내 기술진이 담당하여 성공리에 완공하였다.

 

국내 발전소 건설 기술축적은 물론 발전설비·제작기술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전력사상 일대 전환점을 이룩한 계기가 되었다. 주 기기는 일본의 히타치회사(日立會社)가 제작하였고, 시공은 현대건설주식회사가 일괄도급으로 수행하였다.

 

준공 후 중유전소식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정부의 에너지 다원화정책의 일환으로 1978년부터 추진되어 온 액화천연가스(LNG) 도입계획이 확정되었다.

 

이에 인천화력발전소와 함께 가스수요처로 지정함에 따라 중유 및 가스 겸용 발전방식으로 개조하여 1986년 11월 26일 2호기에 천연가스를 최초로 연소함으로써 가스발전시대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1987년부터 연간 약 100만t의 천연가스를 주연료로 소화하여 본격적인 가스연소 발전소가 되었다.

 

평택화력 1·2호기는 단위기 시설용량 35만㎾급 2기로 구성된 화력발전설비로서 1976년 12월 1일 건설공사를 착공, 1980년 3월 31일 및 같은 해 6월 30일 각각 준공되었다. 총 건설비는 1431억5400만 원이 소요되었다. 1984년 10월부터 1986년 7월간에 걸쳐 중유 및 가스연소 겸용 설비로 개조되었다.

 

평택화력 3·4호기는 기존 1·2호기와 동일한 형식의 설비로 중유전소로 계획되어 1979년 5월 1일 건설공사가 착공되었다. 그러나 건설 도중에 가스연소설비를 추가하여 1983년 5월 4일 및 같은 해 8월 1일에 각각 준공되었으며, 총 건설비는 1828억원이 소요되었다.

 

[평택복합 추진현황]

현재 1조 360억원규모의 946.5MW 규모의 대용량, 고효율 복합발전소 평택복합 2단계 공사가 올해말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으며 (참조 http://www.pgn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12) 900MW급 LNG 복합화력발전소 1기를 건설하는 평택복합화력 3단계 건설사업이 내년 5월 착공 17년 11월 준공을 목표로 입찰 진행 중이다.

 

 

[한국서부발전]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https://www.iwest.co.kr/new/docu/main.asp

wiki

 

한국서부발전(韓國西部發電, Korea Western Power Co., Ltd.)은 2001년 한전으로부터 분리되어 설립된 발전전문회사 6곳중 한곳이다. 2000년 정기국회에서 통과된 전력산업구조개편 촉진법에 의거하여 2001년 한국전력공사의 발전부분이 6개의 자회사로 분리되었는데, 서부발전이 소유하고 있는 발전소의 대부분이 서쪽에 있어 서부발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혁신도시 사업에 따라 충청남도 태안군으로 본사가 이전할 예정이다.

 

발전소 현황

태안화력발전소
평택화력발전소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군산복합화력발전소

 

30년 이상 운전하고 있는 평택화력, 1990년대 초반 건설한 평택1복합과 서인천복합 등 노후 설비를 다수 운영하면서도 철저한 예방정비와 체계화된 점검시스템을 통해 무고장 운전을 지속하고 있다. 발전소 운영 중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의 감축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환경설비를 갖추고 있다.

 

국내 최초로 유기성 고형연료 혼소 설비를 설치해 매년 1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으며 전력과 발전 부산물에 대한 환경부의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발전회사 최초로 획득했다. 더불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석탄재와 탈황석고를 전량 재활용하여 연간 약 160억원의 판매 수익을 창출했다.

 

온실가스·RPS·배출권 거래제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인 가로림 조력과 IGCC 발전설비 건설 외에 국내 최초로 시행 중인 유기성 고형연료의 석탄화력 혼소 확대, 바이오매스 연료 개발 등 다양한 녹색전원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연료전지발전, 신규 조력발전 사업 등도 적극적으로 개발해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도 적극 부응해 나가고 있다.

 

발전사 최초로 자연환경, 작업조건, 작업공정별 위험도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전 상태를 계량화했다. 이를 안전관리시스템과 연계해 위해 요소를 사전에 발굴 조치함으로써 무재해 사업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해외사업은 부채에 부담을 주는 대규모 프로젝트는 축소하고 발전회사 역량을 살려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국내 발전사업을 통해 축적된 기술역량과 경험을 수출 상품화, 투자비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 수익원 확보와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O&M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직원 기술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발전소 건설단계에서부터 설계개선 사항을 피드백하고 발전소 건설 및 운전·정비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분리 운영됐던 발전소 건설 분야와 운전·정비 분야의 엔지니어링 업무의 상호연계를 통해, 발전소 신·증설에서부터 폐지시점까지 라이프사이클 전체를 아우르는 ‘기술경영’으로 명실상부 최고 기술력을 자랑하는 발전회사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다.

 

서부발전은 매년 중소기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 협력업체의 수요를 파악하고 정부 정책과 연계해 세부실행 과제를 수립하는 등 중소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지원책 마련을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해외판로 지원협의회(WP Small Giants)를 구성해 18개 협력기업과 함께 미얀마, 베트남을 방문, 수출상담회를 진행한 바 있다. 올해 5월에도 신규 협의회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수출촉진단 추진을 계획하는 등 해외 분야까지 지원을 넓혀나가고 있다.

 

전자신문

최호기자 snoop@etnews.com

 

 

 

황기철 @conpaper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