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중소형 아파트 단지 인기도..."대형 건설사들도 뛰어들어" ㅣ 소상공인들의 시름...상가 순영업소득↓


집 모자라니… 청약도 수주도 중소형 단지까지 활활


    청약 시장이 활활 타오르면서 과거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던 500가구 미만 중소형 아파트 단지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청약 경쟁률이 대단지 아파트 못지 않게 높아졌다. 그런가 하면 일감이 부족해진 대형 건설사들 역시 과거 별로 눈길을 두지 않던 중소형 아파트 단지 재건축 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12일 부동산·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소형 아파트 단지의 청약 경쟁률이 대단지를 뛰어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 달 공급된 서울 강동구 고덕동 ‘고덕 아르테스 미소지움'의 경우 단지 규모가 100가구에 그치는데,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이 537.1대 1로 역대 최고 경쟁률 기록을 세웠다. 같은 달 서울 서초구에 공급된 ‘서초 자이르네’도 총 67가구에 불과하지만, 평균 경쟁률이 300대 1에 달했다.


고덕 아르테스 미소지움 중앙일보

edited by kcontents


이는 대단지 못지 않은 결과다. 지난 7월 청약을 진행한 서울 강남구 개포1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1235가구 공급)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22.9대 1이었다. 이보다 앞서 청약을 진행한 서울 강서구 마곡동 SH 마곡지구 9단지(962가구 공급)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146.8대 1이었다.




대단지 아파트 정비사업에만 주력해왔던 대형 건설사들도 중소형 단지 아파트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서울·수도권 재건축과 재개발 등 대형정비사업장이 정부 규제 등으로 거의 멈춰선 탓이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9일 현재까지 청약 신청을 받은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전국 분양 아파트 총 333개 단지 가운데 500가구 미만 단지가 155곳으로 조사됐다. 전체 500가구 미만 소단지 비중이 46.5%에 달하는 셈이다. 건설사 입장에서 중소형 단지라도 수주에 성공하면 꾸준히 인력을 돌릴 수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중소형 단지에 적용하는 브랜드를 새로 개발하거나 전문 자회사를 만드는 형식으로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GS건설은 자이에스앤디(자이S&D)를 통해 작년부터 중소형 주택·오피스텔 시장에서 세를 넓히고 있다. 자이에스엔디는 올해 하반기 서울 서초구(67가구)와 


영등포(206가구), 안양(139가구)에서 중소형 전문 브랜드 ‘자이르네’를 단 분양을 마쳤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자회사 HDC아이앤콘스와 ‘아이파크’ 브랜드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중소형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 회사가 올해 청약을 진행한 경기도 파주시 ‘운정 아이파크 더 테라스’는 186가구 단지인데 최고 경쟁률 47대 1로 전체 주택형 모두 마감됐다.

허지윤 기자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11/2020111102532.html



임대인도 `코로나 한파` 직격…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순영업소득↓

서울 중대형 상가 순영업소득, 전분기 대비 31.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소상공인들의 시름이 늘어가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5일 소상공인 131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 10명 중 9명 이상이 코로나로 인해 매출이 하락했고 10명 중 7명은 폐업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기도 했다.

코로나 여파는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임대인들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가 시장의 얼어붙은 분위기로 임대인의 상가 투자 수익률은 감소 추세이며 상가를 통해 얻는 수익인 상가 순영업소득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홍대입구역 인근 상권 전경 [사진 = 상가정보연구소]



순영업소득이란 상가의 임대수입(임대료), 기타 수입(옥외 광고비 등)을 더한 금액에 상가의 영업경비(상가 유지관리비, 재산세, 보험료 등)를 제외한 소득이다. 소득세와 부채 서비스 금액은 영업경비에 포함되지 않는다.

10일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1㎡당 평균 순영업소득은 2만 35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분기 평균 순영업소득 3만 1900원 대비 8400원 하락한 금액이며 약 26.3% 감소한 수치다.

중대형 상가의 순영업소득 감소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올해 1분기부터 시작됐다. 2019년 4분기 전국 순영업소득 3만 3300원을 기점으로 올해는 ▲1분기(3만 2200원) ▲2분기(3만 1900원) ▲2만 3500원까지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투데이
edited by kcontents

수도권을 포함한 지방 광역시 등의 전국 주요 도시 순영업소득도 감소했다. 전국 주요 도시 3분기 평균 순영업소득 중 2분기 대비 가장 크게 감소한 지역은 서울이었다. 올 3분기 서울 중대형 상가 순영업소득 4만 100원으로 지난 분기 5만 8700원 대비 1만 8600원 감소했다. 이는 약 31.7% 감소한 수치다.



그 외 주요 도시는 ▲대구(7100원↓) ▲울산(6100원↓) ▲경기(5900원↓) ▲인천·부산·광주(5600원↓) ▲대전(5100원↓) 등의 지역 순으로 순영업소득이 감소했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상가 시장 분위기가 침체되면서 타격을 받은 건 임대인도 마찬가지다. 은행에 대출을 받은 생계형 임대인들은 공실로 인해 은행 이자조차 내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며 "중대형상가의 순영업소득 감소는 수익률 감소로 이어졌고 이러한 상가 시장의 침체된 분위기는 일부 특별한 상권을 제외하고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1/1151659/
케이콘텐츠

댓글()